[시카고 선물거래소(CBOT) 옥수수 시황] 6일(현지시간) 거래에서 옥수수(corn) 강세론자들은 장중 내내 저가 매수세를 이끌었으나, 결과적으로 근월물 대부분이 –1 ¾센트 안팎의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전미 평균 현물 가격을 집계하는 CmdtyView 기준 현물 옥수수 가격은 전일 대비 2 ¼센트 내린 부셸당 3.63 ¾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8월 1일 종료 주간 일평균 에탄올* 생산량이 108만1,000배럴로 전주 대비 1만5,000배럴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생산량 감소에 따라 재고는 96만 배럴 줄어든 2,375만6,000배럴로 집계됐다. 정유업체의 에탄올 혼합 투입량은 하루 92만2,000배럴로 2,000배럴 늘었으며, 에탄올 수출은 3만8,000배럴 감소한 하루 11만6,000배럴로 나타났다.
“에탄올 생산량이 줄어든 가운데 재고가 빠르게 감소했다는 점이 옥수수 수요 안정에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 — 업계 관계자
수출 판매 전망도 주목된다. 7일(목) 아침 발표될 USDA(미 농무부)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20만~40만t 규모의 구작(2024/25연도) 옥수수 판매와, 130만~250만t 규모의 신작(2025/26연도) 판매를 예상하고 있다. 지난주에는 일일 공시를 통해 이미 110만t의 신작 판매가 발표된 바 있다.
한편 한국 사료용 곡물 수입업체는 전날 밤 14만t 물량의 입찰에서 6만8,000t을 낙찰받았다. 통상 한국 업체들은 입찰 물량 전량을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향후 옵션 조항을 활용해 추가 구매를 이어가는 사례가 많다.
브라질 물량 동향도 눈길을 끈다. 브라질은 7월 한 달간 총 243만4,000t의 옥수수를 수출해 전년 동월 대비 31.51% 감소했으나, 전달(6월)보다는 크게 늘었다. 현지에서는 두 번째 수확기(세파사프리나) 진도가 더딘 데다 대두(soybean) 선적이 선적 선복을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종목별 종가(6일 기준)
• 2025년 9월물 : 부셸당 3.79 ¾달러(–1 ¾센트)
• 현물가 : 3.63 ¾달러(–2 ¼센트)
• 2025년 12월물 : 4.01 ¼달러(–¾센트)
• 2026년 3월물 : 4.19 ¼달러(–¾센트)
• 신작 현물가 : 3.60 ¾달러(–1 ¾센트)
*참고│에탄올(Ethanol)
옥수수를 주원료로 발효·증류해 만드는 바이오 연료다. 미국 교통용 휘발유의 10%가량을 차지하며, 옥수수 소비의 최대 수요처 중 하나다. 따라서 에탄올 생산·재고 지표는 곧 옥수수 시장 수급을 가늠하는 핵심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투자자 고지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저자 오스틴 슈뢰더는 언급된 어떠한 자산에도 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