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선물가격, 수요일 장 마감 앞두고 약세…현물가도 동반 하락

[시카고 선물시장 동향] 17일(수) 거래에서 옥수수 선물근월물 기준 부셸(bu)당 2~3센트가량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거래소 플랫폼 바차트(Barchart)가 집계한 전미 평균 현물 옥수수 가격은 전장 대비 2.75센트 내린 3.82¼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9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약세 움직임은 최근 발표된 에너지정보청(EIA) 주간 보고서와 향후 수급 전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12월물 옥수수 선물 차트 이미지
12월물(2025년) 옥수수 선물(ZC *1)은 2.75센트 내린 4.26¾달러로 마감했다. 이어 2026년 3월물은 2.5센트 떨어진 4.44½달러, 2026년 5월물도 동일 폭인 2.5센트 하락해 4.54¼달러에 멈췄다. 현물가 또한 2.75센트 내려 3.82¼달러로 집계됐다.

주목

■ 에탄올 생산·재고 지표
EIA가 9월 12일로 끝나는 주간 자료를 통해 발표한 에탄올 생산량은 일일 1,055,000배럴로 전주 대비 50,000배럴 감소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6,000배럴 늘었다. 에탄올 재고는 235,000배럴 줄어든 22.602백만 배럴을 기록했으며, 정유사들의 에탄올 혼합 투입량은 일일 922,000배럴로 42,000배럴 증가했다.

에탄올은 미국 옥수수 소비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바이오연료다. 생산량 증감은 곧바로 옥수수 수요 전망에 영향을 미치며, 투자자들은 재고 추이를 통해 가격 방향성을 가늠한다.

■ USDA 수출 판매·국제 수요
미 농무부(USDA)가 9월 19일 발표할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에서는 2025/26 마케팅연도 옥수수 신규 판매가 50만~190만t(메트릭톤)에 이를 것으로 시장은 예상하고 있다.

국제 수요 측면에서는 한국의 민간 곡물수입협회(KFA)가 지난주 말 옥수수 65,000t을 국제 입찰에서 구매했다. 한편 캐나다 통계청(Stats Canada)이 18일 오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26년도 캐나다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보다 1% 증가한 15.5Mt로 잠정 추정됐다. 이는 8월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이다.

전미 현물 옥수수 가격

주목

■ 세부 가격 현황※부셸(bu)=약 25.4kg
12월물(Dec 25) 4.26¾달러 (-2.75¢)
3월물(Mar 26) 4.44½달러 (-2.5¢)
5월물(May 26) 4.54¼달러 (-2.5¢)
전미 평균 현물 3.82¼달러 (-2.75¢)

■ 시장 해설과 전망
최근 옥수수 가격은 미국 중서부 벨트 지역의 수확 초기 물량 증가풍부한 남미 공급 전망이 동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국제 원유가격이 조정 국면에 진입하면서, 바이오연료 수요 기대감도 다소 약해졌다. 다만 다음 주 예정된 USDA 곡물 재고 보고서에서 의외의 재고 축소가 나타날 경우 숏 커버(공매도 환매)로 인한 단기 반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팩트 기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3.80달러 부근은 기술적 지지선”이라고 진단한다. 생산비용 상승과 농가 저장 의향을 감안하면, 해당 구간에서 현·선물 가격의 반등이 시도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 저자·면책 고지
본 기사를 작성한 오스틴 슈뢰더는 기사 작성일 기준으로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 직접적 혹은 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이 내용은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 공시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


■ 용어 설명
에탄올 혼합 투입량(Refiner inputs of ethanol)은 정유회사가 휘발유에 섞기 위해 하루 동안 소비한 에탄올 양을 뜻한다. 해당 수치는 미국 내 친환경 연료 의무 혼합비율(RFS) 준수와 직결돼 옥수수 수요에 중요한 변수로 평가된다.

MMT(Million Metric Ton)는 100만t을 의미하며, 전 세계 곡물 무역·생산 통계에 폭넓게 사용된다.

■ 전문가 시각
에너지원 다변화·친환경 정책이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 옥수수 기반 에탄올은 중장기적 수요 모멘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단기 시장에서는 미-중서부 기상, 라니냐·엘니뇨 전환, 남미 파종 진척도 등 다양한 변동 요인이 혼재해 가격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 투자자는 수출 판매 속도에탄올 지표를 병행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