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테크 섹터 주요 뉴스]
2025년 8월 7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선도 기업 오픈AI(OpenAI)가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 ‘GPT-5’를 공식 출시하고, 유·무료를 불문한 모든 챗GPT(ChatGPT) 이용자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Sam Altman)은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서 “GPT-4로 다시 돌아가 보려 했지만, 상당히 불편했다”며 새로운 모델의 성능 우위를 자신했다. 회사 측은 GPT-5가 글쓰기·코딩·헬스케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더 뛰어난 이해·추론·속도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1. GPT-5 주요 특징
① 낮아진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발생률† — 오픈AI에 따르면 거짓 정보를 생성하는 빈도가 GPT-4 대비 크게 감소했다.
② 안전성 향상 — 5,000시간에 달하는 내부 테스트를 거쳤으며, 위험 질문에는 ‘안전한 응답(Safe Completion)’ 방식을 적용해 피해를 유발할 수 없는 수준의 고수준 정보만 제공한다.
③ 명확한 한계 설명 — 완수 불가한 과제는 거절 대신 이유를 밝히고, 추측을 줄여 무근거 주장을 최소화한다.
“GPT-5는 언제든 박사급 전문가 팀을 곁에 두는 것과 같다.” — 샘 올트먼 CEO
† 할루시네이션은 LLM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사실인 양 생성하는 현상이다.
2. 이용자·요금제별 제공 범위
• Free — 최초로 ‘추론 모델(Reasoning Model)’을 무료 제공. 사용량 한도 초과 시 ‘GPT-5 mini’로 자동 전환.
• Plus — 더 높은 쿼터 제공.
• Pro — 무제한 GPT-5 및 ‘GPT-5 Pro’ 추가 제공.
• Team·Enterprise·Edu — 1주일 내 배포 예정.
개발자(API)용으로는 비용·지연(latency) 수요에 맞춘 gpt-5, gpt-5-mini, gpt-5-nano 세 가지 버전이 출시됐다.
3. ‘바이브 코딩’ 시연… AI가 몇 초 만에 웹앱 완성
브리핑 현장에서 오픈AI 연구진은 ‘바이브 코딩(Vibe Coding)’ 시나리오를 시연했다. “영어 사용자가 프랑스어를 학습할 수 있는 테마형 웹앱을 만들어 달라”는 간단한 프롬프트만으로 플래시카드·퀴즈·진도 추적 기능을 갖춘 두 개의 서로 다른 웹앱이 수 초 만에 완성됐다. 연구진은 “약간의 마감(rough edge)은 있지만, 배경·탭 추가 등 세부 수정은 사용자가 손쉽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4. 마이크로소프트·기업 파트너 생태계 확장
마이크로소프트(MS)는 블로그를 통해 Microsoft 365 Copilot·소비자용 코파일럿·Azure AI Foundry 등 자사 제품군에 GPT-5를 즉시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MS CEO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X(옛 트위터)에서 “2023년 2월 워싱턴 레드먼드에서 GPT-4를 처음 선보인 이후 불과 2년 반 만에 놀라운 진전을 이뤘다”고 평했다.
클라우드 콘텐츠 관리 기업 박스(Box)의 CEO 애런 레비(Aaron Levie)는 CNBC 인터뷰에서 “복잡한 수학·논리를 포함한 장문 문서를 처리할 때 기존 모델은 번번이 실패했지만, GPT-5는 완전한 돌파구”라며 “정보 보존력·추론 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5. 시장 영향 및 성장 전망
오픈AI는 이번 주 주간 활성 이용자 7억 명 돌파를 전망하고 있으며, 5000억 달러 기업가치의 지분 매각을 위해 투자자와 협의 중이다. 업계는 GPT-5 출시가 생성형 AI 경쟁을 더욱 가속화해 헬스케어·교육·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방면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GPT-5를 둘러싼 안전·규제 이슈도 주목된다. 오픈AI는 ‘안전성 외부 평가’를 확대하면서 정부·학계와 협력하겠다고 밝혔지만, AI 거버넌스 확립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동시에 커질 전망이다.
6. 용어 설명
대규모 언어 모델(LLM) — 인터넷 등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자연어를 이해·생성하는 AI 모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소프트웨어 간 기능을 호출·연동할 수 있도록 규정한 인터페이스.
바이브 코딩 — 개발자가 코드 대신 자연어 지시로 소프트웨어를 생성하는 방식.
※ 기사에 인용된 모든 발언·수치는 CNBC 원문(2025년 8월 7일 17:37 GMT)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