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베이징 공동】 세계적인 쇼트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권을 둘러싼 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오라클(Oracle)・실버레이크(Silver Lake)・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a16z)로 이뤄진 투자자 컨소시엄이 틱톡 미국법인의 지분 80%를 인수해 지배권을 확보하는 방안이 유력해졌다.
2025년 9월 1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당국은 해당 구조를 골자로 한 최종 합의안을 조율 중이다. 거래가 성사될 경우, 틱톡은 미국법인을 분리해 신설 법인(NewCo) 형태로 출범시키며, 이 법인에 미국 투자자들이 약 8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나머지 지분은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를 비롯한 중국계 주주가 보유한다.
WSJ는 또한 “새로운 법인은 미국인 중심의 이사회를 구성하며 이 가운데 한 명은 미국 정부가 직접 지명한다”는 세부 조건을 전했다. 이를 통해 미 정부가 요구해 온 데이터 보안·감사 체계를 제도적으로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 기존 사용자, ‘새로운 앱’으로 전환 유도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틱톡은 이미 미국 시장 전용의 독립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사내 테스트 단계에 돌입했다. WSJ와, 이를 재인용한 워싱턴포스트는 “현재 이용자들은 향후 업데이트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신설 앱으로 이관하라는 안내를 받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 오라클, 텍사스 데이터 센터에서 이용자 정보 관리
거래가 성사될 경우, 오라클이 텍사스주 데이터 센터에서 미국 이용자 데이터를 전담 관리한다. 이는 2024년 제정된 ‘외국적 소유 소셜미디어 데이터 보호법’(가칭)의 취지에 부합하는 형태다. 해당 법은 안전한 물리적·법적 경계를 갖춘 on-shoring을 요구하고 있다.
“오라클의 멀티클라우드 인프라는 미국 국방부(DoD) 인증을 받아 보안성이 검증된 만큼, 틱톡에게도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 — 업계 소식통
■ 트럼프 대통령, 매각 시한 12월 16일까지 유예
같은 날 조 바이든 대통령의 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발동해, 2024년에 발효될 예정이던 ‘중국 지분 강제 매각’ 시한을 2025년 12월 16일로 1년가량 연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미·중이 윈윈할 해법에 도달했다”며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지속을 공식화했다.
■ 용어 설명
컨소시엄(consortium)은 공동의 사업 목적을 위해 여럿이 모여 결성한 투자·경영 연합체를 뜻한다. a16z는 실리콘밸리 대표 벤처캐피털 ‘안드리센 호로위츠’를 지칭하는 줄임말이다.
■ 전문가 시각과 시장 파장
정보기술(IT) 및 규제 전문 변호사들은 “미국 정부가 지분과 이사회 구조를 통해 사실상 관리·감독권을 확보함으로써, 국가안보 우려를 대폭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한다. 반면 중국 당국은 ‘알고리즘 이전’ 문제에서 완고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최종 협상 과정에서 알고리즘 소스코드의 공유 범위를 둘러싼 미묘한 신경전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장 측면에서는, 틱톡의 기업가치가 2,500억~3,000억 달러로 재평가될 것이라는 전망이 증권가에서 제기된다. 만약 신설 법인이 미국 증시에 상장할 경우, IPO(기업공개) 규모가 메타(옛 페이스북) 이후 최대 수준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도 있다.
■ 향후 일정 및 변수
미 국무부와 중국 상무부는 조만간 구체적 합의문을 교환하고, 내달 초까지 최종 서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미국 의회 내 초당파 의원들이 “알고리즘·추천 시스템의 해외 통제 가능성” 문제를 집중 거론하고 있어,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추가 조건이 붙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틱톡·오라클·실버레이크·a16z 측은 로이터 통신의 논평 요청에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공식 발표 전까지는 ‘노코멘트’(no comment)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 결론
이번 합의가 최종 타결되면, 틱톡은 별도 법인·독립 알고리즘·온쇼어링 데이터 체계 등 다층적 안전장치를 갖추게 된다. 이는 미·중 디지털 패권 경쟁 속에서 ‘기술 디커플링(decoupling)’을 관리형 형태로 구현하는 첫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 IT 업계와 규제 당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