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23일(현지시간) 큰 폭으로 상승했다. S&P500지수는 1.52%, 나스닥100지수는 1.54%,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89% 급등하며 마감했고, 다우 지수는 장중·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같은 날 9월물 E-mini S&P 선물과 나스닥 선물도 각각 1.52%, 1.55% 오르면서 현물 상승세를 뒷받침했다.
2025년 8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심리를 끌어올린 결정적 요인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비둘기파적(dovish) 전환’이다. 파월 의장은 고용시장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리스크 균형의 변화에 따라 통화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1주일 만에 4.24%까지 급락했고,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이 반영한 9월 29~30일 FOMC에서의 25bp 인하 확률은 71%에서 81%로 급등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다음과 같다.
“실업률과 다양한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을 감안할 때 우리는 정책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금리가 제약적(restrictive) 영역에 있는 만큼, 기본 시나리오와 리스크 균형의 이동에 따라 정책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 용어 설명
• 비둘기파(dovish)ㆍ매파(hawkish): 통화 완화를 선호하면 ‘비둘기파’, 긴축을 선호하면 ‘매파’로 불린다.
• E-mini 선물: CME에 상장된 소액 지수선물로, 기관·개인이 지수를 손쉽게 매매할 수 있는 대표 상품이다.
•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 국채와 물가연동채(TIPS) 금리 차이로 산출하는 기대인플레이션 지표.
반면 보스턴 연은 총재 수전 콜린스는 “미국 성장세는 둔화되고 있지만 펀더멘털은 여전히 견조하다”며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경계해 다소 매파적 목소리를 냈다. 그럼에도 시장은 파월 의장의 메시지에 더 주목하며 ‘9월 인하 베팅’을 확대했다.
국채·해외시장 동향
9월물 10년 만기 T-노트 가격은 19틱 올라 1주일래 최고가를 기록했고, 금리는 7.2bp 하락한 4.256%에 마감했다. 유럽에서도 10년물 독일 국채금리가 3.5bp, 영국 길트금리가 3.7bp 각각 내려 글로벌 채권 랠리로 이어졌다. 독일 2분기 GDP가 전기 대비 ‑0.3%로 하향 수정된 점도 독일 금리 하락을 부추겼다.
관세·지정학 리스크
한편 미국의 대(對)러시아 중재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비서관 제임스 밴스 부통령은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협상이 진행 중이라며 푸틴·젤렌스키 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소비재 400여 개 품목으로 확대했고, 반도체·칩에 최대 300% 관세를 예고했다. 미·중 관세 휴전은 90일 연장됐지만, 인도산 수입품 관세는 두 배(50%)로 높아질 예정이다.
미국 경제·기업 실적
S&P500 2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사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았다. 94%의 기업이 실적 발표를 마친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주간 단위로 보면 ‘매그니피션트 세븐(Alphabet·Amazon·Apple·Meta·Microsoft·Nvidia·Tesla)’이 다시 주도주로 부상했으며, 특히 테슬라가 6% 넘게 급등했다.
반도체주는 온세미컨덕터(+6%), 글로벌파운드리즈·인텔(+5%대) 등이 강세를 보였고, AMD·TI·마벨·ASML·퀄컴도 2% 이상 올랐다. 항공·크루즈주는 경기 낙관론에 노르웨이지안크루즈·아메리칸항공·알래스카항공이 7% 넘게 상승했다. 주택건설 관련주는 국채금리 하락 덕분에 빌더스퍼스트소스(+8%), 모호크인더스트리(+7%) 등이 급등했다.
개별 종목 중에선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업체 줌 커뮤니케이션즈가 매출 호조와 2026년 가이던스 상향으로 12% 급등했고, 통신주는 AT&T·T-모바일이 2% 이상 조정을 받았다. 인트루이트는 2026년 영업이익 전망이 기대 이하로 ‑5% 급락했다.
향후 일정과 시장 전망
FF 금리선물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81%, 10월 연속 인하 가능성을 55%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시장은 파월 의장의 ‘균형 이동’ 발언을 정책 피벗(pivot) 신호로 해석하며, 국채와 성장주에 동시 베팅하는 ‘리플레이션 트레이드’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완화 전환이 확인될 경우 성장주 랠리는 장기화될 수 있지만, 콜린스 총재처럼 인플레이션 상방 리스크를 지적하는 매파 발언이 잇따를 경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한편 25일 예정된 HEICO, NAPCO, PDD홀딩스, 셈텍 등 주요 기업 실적과 함께, 9월 초 발표될 미 노동부 고용지표가 연준 결정의 ‘마지막 퍼즐’이 될 전망이다.
※ 기사 작성자는 본 기사에서 언급되는 어떤 종목에 대해서도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보유 지분이 없음을 밝힌다. 본 기사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