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DXY00)가 18일(현지시간) 전장 대비 0.59%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이번 하락은 전날 저녁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7월 29~30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지지한 영향이 컸다. 여기에 7월 미시간대학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완화된 점, 그리고 뉴욕증시 강세로 안전 자산 수요가 줄어든 점도 달러 매도를 자극했다.
2025년 7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물가가 목표에 근접한 만큼 노동시장이 악화될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도비시(dovish, 통화 완화 선호)’ 발언은 연준이 빠른 속도로 긴축을 되돌릴 수 있다는 기대를 키우며 달러 약세로 이어졌다.
달러에 대한 상반된 지표도 눈길을 끈다. 6월 미국 주택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 1000건으로 시장 예상치(130만 건)를 웃돌았다. 건축허가도 0.2% 증가한 139만 7000건으로 예상치(-0.5%)를 뒤집고 플러스로 돌아섰다. 같은 달 미시간대학 소비자심리지수는 61.8로 전달보다 1.1포인트 올라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4%로 5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으며 연준이 금리를 내릴 여지를 넓혔다.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3.6%로 내려 앉았다.
“물가가 목표치 근처이고 상방 위험이 제한적인 만큼 노동시장이 흔들릴 때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나는 2주 뒤 금리를 25bp 인하하는 데 찬성한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무역전선 변수도 존재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150여 개국에 8월 1일부터 10% 또는 1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무역 갈등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며 안전 자산인 금·은 가격을 끌어올렸다.
연방기금선물(페드워치) 시장은 7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 9월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페드워치: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집계하는 연방기금선물 가격 지표
유로·엔 등 주요 통화 동향
같은 시각 유로/달러(EUR/USD)는 0.47% 상승했다. 달러 약세가 직접적인 배경이며, 유로존 5월 건설생산이 2년 반 만에 최대폭(-1.7%) 감소하고 독일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1.3%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로 강세가 유지됐다. 스왑시장은 7월 24일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1%로 본다.
달러/엔(USD/JPY)은 0.08% 하락했다. 일본 6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CPI, 신선식품·에너지 제외)가 3.4% 올라 17개월래 최고를 찍으면서 엔 강세 요인이 됐다. 다만 21일 치러질 참의원 선거에서 집권 자민당이 과반을 잃을 수 있다는 정치 불확실성과 현금 지급·세금 인하 공약에 따른 재정 악화 우려가 엔 강세를 제한했다.
귀금속·금리 시장
8월물 금 선물은 0.55%(18.50달러) 오른 온스당 1,700달러 선을 회복했다. 9월물 은 선물도 0.89% 상승했다. 달러 약세와 미 국채(T-노트) 금리 하락에 따른 수요 확대, 그리고 월러 이사의 완화적 발언이 금·은 가격을 끌어올렸다. 반면 증시 강세와 주택지표 호조는 금리 인하 전망을 일부 상쇄하며 금의 추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용어 해설
도비시(dovish)는 매(긴축)와 비둘기(완화)로 구분되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성향에서 ‘비둘기파’에 해당하는 용어다. 금리 인하나 유동성 공급 확대에 우호적일 때 사용된다.
T-노트는 만기 2~10년 사이의 미국 국채를 가리키며, 이 수익률이 내려가면 안전 자산이 선호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연방기금선물은 연준의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예상치를 거래하는 파생상품으로, 시장의 금리 전망을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작성자 Rich Asplund는 본문에서 언급된 증권을 보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