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30일(현지 시각) 장중 혼조세 끝에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0% 상승한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1% 오른 수준에 머물렀고, 나스닥 100 지수는 0.46% 상승했다.
2025년 7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4.25%~4.50%로 동결했다. 이날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9 대 2로 동결 결정이 내려졌으며, 두 명의 위원이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 의견을 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해 왔으나, 연준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 이번 결정은 차입 비용을 좌우하는 핵심 금리에 변동이 없음을 의미한다.
고용·성장 지표 ‘깜짝’ 호조
동일한 날 발표된 ADP 민간고용 지표는 7월 신규 고용 10만4,000명으로 시장 예상치(7만6,000명)를 크게 웃돌며 4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월 수치는 -3만3,000명에서 -2만3,000명으로 상향 조정됐다.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연율 +3.0% 증가해 컨센서스(+2.6%)를 상회했다. 같은 기간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2.5% (전기 대비 연율) 오르며 시장 추정치(+2.3%)보다 높았다.
주택 시장에서는 6월 잠정 주택판매가 전월 대비 -0.8% 감소해 +0.2% 증가 기대를 뒤집었다. 또 모기지은행협회(MBA)의 주간 모기지 신청은 한 주 새 -3.8% 줄어든 가운데, 30년 고정금리 평균은 6.83%로 1bp 하락했다.
재무부·무역·관세 이슈
미 재무부는 분기별 차입 계획에서 적어도 향후 수 개 분기 동안 중장기 국채 발행 규모를 동결하고, 초단기 국채(빌 할인증권)를 확대해 2026년까지 재정적자를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로 인도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인도의 대러시아 에너지 수입을 이유로 추가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또한 150여 개국에 관세 인상 가능성을 통보하겠다고 예고하며, 최소 15%에서 최대 50%까지 단순·일률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향후 일정·주요 경제 지표
시장은 8월 1일 무역협상 데드라인과 함께 이번 주 후반 발표될 일련의 경제지표를 주목하고 있다.
◆ 7월 31일(목): 신규 실업수당청구 22만3,000건(전주 대비 +6,000건 예상), 2분기 고용비용지수 +0.8% 예상, 6월 개인소비 +0.4%·개인소득 +0.2% 전망, 6월 근원 PCE +0.3%(전월 대비)·+2.7%(전년 대비) 예상, 7월 시카고 PMI 42.0 예상
◆ 8월 2일(금): 7월 비농업부문 고용 +10만9,000명·실업률 4.2% 예상, 시간당 평균임금 +0.3% m/m·+3.8% y/y, 7월 ISM 제조업지수 49.5 예상,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61.8 유지 예상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연방기금선물(FFR)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확률을 62%로 반영하고 있다.
Earnings Season ‘핵심 구간’ 돌입
이번 주는 S&P 500 종목의 38%가 실적을 공개하는 가장 분주한 주간이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의 실적이 주목된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메타 플랫폼스(META)가 이날 장 마감 후, 애플(AAPL)과 아마존닷컴(AMZN)이 31일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 500 전체 순이익은 시즌 시작 전 +2.8%에서 +4.5%로 상향 조정됐다. 이미 실적을 낸 약 3분의 1 기업 중 82%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해외 증시 및 금리 동향
유럽 증시는 유로스톡스 50이 0.33% 올랐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2.5bp 하락한 4.608%를 기록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도 -0.1bp 내린 2.707%다.
아시아에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9.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0.17% 올랐고, 일본 니케이 225는 -0.05% 소폭 하락했다.
미국 채권시장에서 9월 만기 10년물 국채선물(티노트)은 -8틱 하락했으며, 10년물 금리는 4.313% 저점에서 4.368%로 반등했다. 고용·GDP 호조에 따른 매도 압력이 강했으나, FOMC 결과 발표를 앞둔 단기 숏커버가 낙폭을 제한했다.
기업별 주가 변동 Top & Bottom
상승 종목
- 테라다인(TER): 2분기 조정 EPS 0.57달러(예상 0.54달러) → 주가 +18%
- 마벨 테크놀로지(MRVL): 모건스탠리 목표가 73→80달러 상향 → +9%
- VF코퍼레이션(VFC): 1분기 매출 18억달러(컨센서스 17억달러) → +11%
- 제너랙 홀딩스(GNRC): 2분기 매출 10.6억달러(예상 10.3억달러) → +8%
- 휴마나(HUM): 2분기 조정 EPS 6.27달러(예상 5.74달러), 연간 가이던스 상향 → +5%
하락 종목
-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CHKP): 2분기 조정 EPS 2.37달러(예상 부합) → -11%
- IDEX(IEX): 연간 EPS 가이던스 7.85~7.95달러로 하향 → -9%
- 올드도미니언 프레이트 라인(ODFL): 2분기 EPS 1.27달러(예상 1.29달러) → -8%
-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 2분기 매출 57.5억달러(예상 57.7억달러) → -7%
- 몬덜리즈(MDLZ): 북미 유기적 매출 -3.4%(예상 -1.83%) → -6%
알아두면 좋은 용어
ADP 고용보고서는 Automatic Data Processing사가 집계하는 민간 고용지표로, 매달 첫 번째 금요일 발표되는 미국 노동부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근원 PCE는 개인소비지출에서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해 인플레이션 기조를 보여주며,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알려졌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시장 참여자들이 예측하는 향후 연방기금금리 기대치를 반영한 파생상품이다. 이를 통해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다.
향후 실적 발표(7월 30일 기준 예정)
알베말(ALB), 얼라인테크놀로지(ALGN), 올스테이트(ALL), 알트리아(MO),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AEP), 아메리칸워터웍스(AWK),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아발론베이커뮤니티즈(AVB), 번지글로벌(BG), CH로빈슨(CHRW), 코그니전트(CTSH), 덱스컴(DXCM) 등 총 50여 개 기업이 이날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제3자에게 투자 자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기자는 언급된 종목에 어떠한 투자 포지션도 보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