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17일(현지시각) 소폭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0.13%,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7%, 나스닥100 지수는 ‑0.08%씩 내렸다. 또한 9월물 E-mini S&P 선물은 ‑0.11%,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04% 하락했다.
2025년 9월 1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다음 날 공개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앞두고 포지션 정리(long liquidation)와 이익 실현 움직임을 보이며 매수세를 줄였다.
시장 컨센서스는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25bp(0.25%p) 인하할 것으로 단정적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진짜 관심은 점도표(dot-plot)※에 쏠려 있다. 현재 금리선물 스와프 시장은 올해 말까지 총 70bp 인하를 반영하고 있어, 연준 위원들의 중장기 전망이 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가 핵심 변수다.
※ 용어 설명
점도표(dot-plot)는 FOMC 위원 각각이 향후 금리수준을 어떻게 예상하는지 점으로 표시한 도표다. 시장에서는 이를 통해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한다.
거시지표 및 섹터 동향
같은 날 발표된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해 예상치(+0.2%)를 크게 상회했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도 +0.7%로 컨센서스(+0.4%)를 웃돌아 미국 소비가 여전히 견조함을 보여줬다.
다만 제조업 생산의 경우 시장이 예상했던 ‑0.2% 감소 대신 +0.2% 증가를 기록, 경기 경착륙 우려를 완화했다.
이 같은 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증시는 헬스케어 섹터 급락에 발목이 잡혔다. 웰스파고가 업종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축소(unfavorable)’로 하향하면서 UnitedHealth(-2% 이상) 등 주요 종목이 동반 약세를 보였다.
반면 반도체와 에너지 업종은 강세를 이어갔다. ON세미컨덕터(+3% 이상)를 비롯해 인텔·마벨·마이크로칩 등이 2% 이상 상승했다. 유가(WTI)가 1.5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APA(+6% 이상), OXY(+5% 이상) 등 에너지주는 지수 하방을 방어했다.
주요 경제·통화정책 일정
이번 주 시장의 시선은 온통 FOMC에 집중돼 있다. 18일(수) 기준금리는 4.25%→4.00% 구간으로 25bp 인하될 가능성이 100%로 가격에 반영됐으며, 50bp 인하 가능성은 5%에 그친다. 이어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은 84%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연말까지 연방기금금리가 4.33%→3.65% 수준으로 68bp 하락할 것으로 시장은 기대한다.
1 연방기금금리(FFR)는 미국 은행 간 초단기 자금(overnight) 거래 금리로, 사실상 미국 기준금리다.
2 bp(basis point)는 0.01%p를 뜻한다.
채권 및 글로벌 시장
12월물 10년물 미국채(트레저리 노트) 선물은 2.5틱 상승해 금리는 ‑1.2bp 하락한 4.026%를 기록했다. 오후 실시된 200억 달러 규모 20년물 국채 입찰이 양호한 응찰률(2.74, 10회 평균 2.59)을 보이며 매수세를 당겼다.
유럽에서는 10년물 독일국채 금리가 +0.1bp(2.693%), 영국 국채 금리가 +0.6bp(4.639%) 상승했다.
ECB 집행이사회 시무커스(Simkus) 위원은 “유로존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2%)에 근접했으며, 금리인하 사이클이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발언했다.
한편, 미국 정치권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 독립성에 도전하는 듯한 발언과 인사를 단행해, 채권시장에 정치리스크 프리미엄을 키웠다.
개별 종목 동향
하락 종목 ‑ Dave & Buster’s(-17%)는 2분기 조정 EPS가 0.40달러로 예상치(0.89달러)를 크게 밑돌았고, 로켓랩은 7억5천만 달러 규모 증자 계획을 발표한 뒤 12% 급락했다. 워너브러더스디스커버리(-6%)는 TD코웬의 투자의견 하향(매수→보유) 영향으로, 에베레스트그룹(-2% 이상)은 울프리서치의 ‘언더퍼폼’ 커버리지로 각각 하락했다.
상승 종목 ‑ 웹툰엔터테인먼트(+38%)는 월트디즈니가 2% 지분 취득 의사를 밝히며 급등했고, 블룸에너지(+8%)는 모건스탠리 목표주가 상향(44→85달러)으로 강세를 보였다. 퍼거슨(+7%)은 4분기 매출 85억 달러(예상 84.1억 달러)로 호조를 보였으며, 스틸다이내믹스(+6%)는 3분기 EPS 가이던스(2.60~2.64달러)가 컨센서스(2.58달러)를 상회했다. 허쉬(+4%)는 골드만삭스가 투자의견을 두 단계 상향(매도→매수)하면서 급등했다.
또한 CBS보도에 따르면 오라클(+1% 이상)이 TikTok 미국사업 유지 방안을 모색하는 컨소시엄에 참여하면서 주가가 올랐다.
향후 이벤트
18일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의 기자회견 이후 19일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3만 건(전주 대비 ‑2.3만 건)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장 마감 후에는 크래커배럴(CBRL)과 제너럴밀스(GIS)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면책조항
본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에 대해 필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직접적·간접적 보유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닌 참고용이다.
자료: Barchart·Nasdaq, 2025년 9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