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캐나다 객실승무원 파업 돌입…수백 편 운항 차질 불가피

에어캐나다 객실승무원들이 40년 만에 전면 파업에 들어가면서 북미 항공시장이 대규모 지연·결항 사태에 직면했다.

2025년 8월 16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새벽 1시(동부시간)부터 캐나다노동조합연맹(CUPE) 소속 1만 여 명의 객실승무원들이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업무 중단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은 1985년 이후 40년 만에 발생한 에어캐나다 객실승무원 파업이다. 노조는 “기내 이동 시간뿐 아니라 탑승 수속 지원·환승 대기 등 지상 근무 시간에도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반면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에어캐나다는 현행 이동 시간당 임금 체계를 고수하며 Air Canada flight attendants picketing 노사 간 입장 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항공사 측은 파업 돌입 전날까지 이미 500편의 항공편을 취소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는 여름 성수기 하루 평균 수송객 13만 명 가운데 10만 명 이상이 직접적인 차질을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탑승 10분 전 게이트가 바뀌더니 ‘지연’으로, 다시 ‘취소’ 알림이 반복됐다.” — 토론토 피어슨공항에서 다른 목적지로 재예약된 승객 프레디 라모스(24)

에어캐나다와 자회사인 저비용항공사 에어캐나다 루즈는 통상 하루 13만 명을 실어나르며, 미국 노선을 운항하는 해외 항공사 중 운항 횟수가 가장 많다. Passengers walk past Air Canada sign


정부 개입 압박

노조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미·캐 무역 분쟁으로 피해를 입은 캐나다 기업들은 연방 정부에 구속적 중재(binding arbitration)를 발동하라고 촉구했다. 이는 노동부 장관이 노사 양측에 강제 중재를 명령해 즉각 파업을 종료시키는 제도다.

패티 하이두 고용부 장관은 캐나다 노동법에 따라 경제 보호를 위해 산업관계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할 권한이 있다. 그는 “교섭장으로 복귀하라”고 반복 촉구했지만, 노사는 현재 공식 협상 테이블조차 차리지 못한 상태다.

노사 제안·요구 요약

  • 회사안: 4년간 총보상 38% 인상(첫해 25%), 지상 근무 중 일부 업무에 대해 시간당 임금의 50% 지급
  • 노조안: 지상·기내 구분 없이 동일 시급 적용, 모든 무급 시간에 대한 전면 보상

투자자 우려와 시장 반응

TD 코웬 분석가들은 고객 메모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에 발생한 운항 차질이 노동비 절감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며 “회사 측은 화해 손짓(olive branch)을 내밀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양보 없는 승리는 결국 피로스의 승리(Pyrrhic Victory)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항공산업 전문가들은 파업이 일주일만 지속돼도 수천만 달러의 매출 손실과 추가 보상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한다. 특히 미·캐 경유 노선이 빈번한 비즈니스 여행객과 화물 운송 기업은 대체 항공편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 관광청 역시 “여름 성수기 외래 관광객 유치 목표에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서둘러 정부 중재를 도입할 경우 다른 운수·공공 부문 노사분규에도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반면, 노조 측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사측이 조속히 실질적 보상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용어 해설

Binding Arbitration(구속적 중재)은 노사가 스스로 합의하지 못할 때 정부나 제3의 중재인이 최종 결정을 강제해 파업이나 직장폐쇄를 즉시 종료시키는 제도다. 결정 효력이 법적으로 구속력을 갖기 때문에 파업권·교섭권을 침해한다는 논란이 있다.

한국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

한국발 북미 환승객 중 상당수가 캐나다 토론토·밴쿠버를 경유해 미 동부·유럽으로 이동한다. 전문가들은 “에어캐나다를 이용한 여정이 있는 여행객은 대체 노선 확보항공사 공지사항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관전 포인트

향후 협상은 정부 개입 여부, 지상 근무수당 적용 범위, 성수기 영업손실 부담 주체라는 세 갈래 쟁점이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만약 사측이 제시한 38% 인상안에 추가 양보가 없다면, 노조 역시 장기전으로 맞설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40년 만의 객실승무원 파업은 에어캐나다의 브랜드 신뢰도뿐 아니라 캐나다 경제 전반에도 적잖은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평행선’의 노사관계가 얼마나 신속히 접점을 찾느냐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