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 존핸콕 멀티팩터 대형주 ETF(JHML) 12% 상승 여력 전망

존핸콕 멀티팩터 대형주 ETF(티커: JHML)이 보유한 기초자산의 목표주가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 단위당 83.20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이 제시됐다. 이는 7일 기준 실시간 거래가 74.62달러 대비 약 11.50%의 추가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ETF 채널이 추적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내 종목별 목표주가와 실시간 주가를 비교·가중 평균한 결과 위와 같은 수치가 도출됐다. 특히 JHML이 담고 있는 종목 가운데 백사이트(Vaxcyte·PCVX), 워크데이(Workday·WDAY), 옴니콤그룹(Omnicom Group·OMC)이 두드러진 괴리율을 보였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처럼 거래되지만 여러 종목을 한 바구니에 담아 분산투자 효과를 제공하는 금융상품이다. 투자자는 ETF 한 주만 매수해도 다수의 기초자산을 보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존핸콕 멀티팩터 대형주 ETF는 시가총액, 가치, 모멘텀, 저변동성 등 여러 팩터를 결합해 미국 대형주에 투자하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주요 기초자산별 목표주가 괴리율

‣ 백사이트(PCVX) — 최근가 33.00달러,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125.75달러, 281.06% 상승 여력

‣ 워크데이(WDAY) — 최근가 229.08달러, 목표주가 296.59달러, 29.47% 상승 여력

‣ 옴니콤그룹(OMC) — 최근가 72.95달러, 목표주가 93.56달러, 28.25% 상승 여력

아래 그래프는 세 종목의 지난 12개월 주가 흐름을 비교한 것이다.

PCVX, WDAY, OMC 12개월 상대수익률 차트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 티커 최근가(달러) 애널리스트 12개월 목표(달러) 상승 여력
John Hancock Multifactor Large Cap ETF JHML 74.62 83.20 11.50%
Vaxcyte Inc PCVX 33.00 125.75 281.06%
Workday Inc WDAY 229.08 296.59 29.47%
Omnicom Group Inc OMC 72.95 93.56 28.25%

애널리스트 목표주가의 의미와 위험

애널리스트 목표주가는 기업의 실적 전망, 산업 트렌드, 거시경제 변수 등을 종합해 설정되지만, 과거에 제시된 목표가가 시황 변화에 따라 업데이트되지 않을 경우 현실과 괴리가 커질 수 있다. 목표주가가 실제 가격보다 크게 높은 경우 시장 낙관론을 반영할 수 있지만, 반대로 조정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특히 281% 괴리를 보이는 백사이트의 경우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폐렴구균 백신 후보(VAX-24) 성공 가능성, 규제 승인 일정, 자금 조달 현황 등 불확실성이 높다. 따라서 공격적인 목표주가가 설정된 배경과 그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워크데이는 인사·재무 솔루션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비즈니스 모델 특성상 안정적 구독 수익이 강점이다. 다만 금리 상승기에는 기술주 밸류에이션이 압박을 받는다는 점이 리스크 요인이다.

광고·마케팅 대행사 옴니콤그룹은 글로벌 경기 둔화 시 광고 집행 예산이 줄어드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러나 올림픽·미 대선과 같은 대형 이벤트가 겹치는 2026년을 앞두고 광고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10 ETFs With Most Upside

투자자 유의사항

ETF 투자 시에는 지수 추종 방식, 팩터 가중 방법론, 보수 및 거래비용, 유동성 등을 종합 고려해야 한다. 특히 팩터 기반 전략은 시장의 스타일 로테이션에 따라 성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JHML처럼 다중 팩터를 혼합한 ETF는 개별 팩터 ETF보다 변동 폭을 다소 완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각 팩터의 순수 성과를 희석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애널리스트들은 JHML에 대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대하고 있으며, 주요 기초자산 일부에는 세 자릿수 괴리도 존재한다. 그러나 목표주가가 실제 실적으로 뒷받침될지는 미지수이므로, 투자자는 추가적인 기업 실적 분석과 산업 동향 점검을 통해 목표주가의 현실성을 검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