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모디, 톈진 회담서 “경쟁 아닌 협력”…무역·국경·대미 공조 논의

톈진 정상회담 관전 포인트에 참석한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양국 관계를 ‘경쟁’이 아닌 ‘협력’으로 규정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와 국경 안정, 서방 압력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2025년 8월 31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7년 만의 중국 방문 일정으로 이틀 간 진행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톈진을 찾았다. 이번 회의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파키스탄 및 중앙아시아 4개국 정상 등 ‘글로벌 사우스’ 주요 지도자들이 대거 모여 서방 주도의 국제질서에 대한 대안을 모색했다.

SCO(상하이협력기구)는 2001년 중국·러시아가 주도해 창설한 안보·경제 협의체로, 중앙아시아 4개국(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이 창립 회원이며,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2017년), 이란(2023년)이 정회원으로 가입했다. ‘글로벌 사우스’란 전통적으로 미국·유럽 중심의 ‘북반구’ 선진국과 구분되는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등 신흥·개도국 연대를 뜻하는 외교 용어다.

주목

모디 총리는 시 주석에게 “상호 존중·신뢰·민감성에 기반한 관계 진전을 약속한다”고 밝히며, 992억 달러(약 132조 원)에 달하는 양국 무역 적자 축소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2020년 유혈 충돌 이후 5년째 이어진 국경 군사 대치가 완화되고 있다며 “평화·안정의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은 “

중국과 인도는 서로의 위협이 아닌 발전 기회

라며, 국경 문제 하나가 양국 관계 전체를 규정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협력 중심으로 접근하면 양국 관계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3,800km에 달하는 히말라야 국경선은 1950년대부터 명확히 획정되지 않아 갈등의 불씨가 돼 왔다. 2020년 6월 갈완 계곡 충돌로 인도군 20명·중국군 4명이 사망한 이후 양측은 중장비와 병력을 대거 배치해 긴장이 극도로 고조됐다.

주목

그러나 작년 10월 체결된 국경 순찰 합의 이후 상황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비크람 미스리 인도 외무차관은 설명했다. 그는 “국경 정상화가 진행 중이며, 이를 토대로 경제·통상 협력도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미 통상 압박도 회담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며칠 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50% 징벌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뉴델리를 ‘중국 견제의 핵심 축’으로 삼아온 미국의 오랜 전략과 상충하며, 인도는 새로운 통상 파트너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 측은 “워싱턴의 과도한 관세에 반대하며 인도와 확실히 연대하겠다”는 입장을 시 주석의 입을 통해 재확인했다. (주중 인도대사관 발언)

교역·물류 정상화 신호

모디 총리는 2020년 팬데믹 이후 중단됐던 중·인도 직항 노선 재개 계획을 공개했지만, 구체적 일정은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중국은 희토류·비료·터널보링머신에 대한 수출 제한 해제에 합의해 인도 인프라 프로젝트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한편, 중국의 티베트 초대형 댐 건설 계획은 건기(乾期) 브라마푸트라강 유량을 최대 85%까지 줄일 수 있다는 인도 정부 추산으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더불어 인도가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를 보호하고, 중국이 파키스탄에 전폭적 지원을 이어가는 문제는 여전히 장기 과제로 남아 있다.

전문가 시각

타크샤실라 연구소마노즈 케왈라라마니 연구원은 “양측 보도자료에는 복합적 정치 신호가 교차하지만, 관계 안정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향후 전망으로는 ① 관세 보복에 대응한 중국·인도 공조 강화, ② 국경 긴장 완화에 따른 양국군 지출 감소, ③ 희토류·인프라 프로젝트 협력 확대가 시장에 구체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특히 992억 달러 적자 해소 협상이 인도 제조업·IT 서비스의 중국 진출 기회를 넓힐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