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8일,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 원당 #11 (SBN25)과 런던 정백당 #5 (SWQ25)의 가격이 각각 0.07포인트(-0.40%)와 1.00포인트(-0.21%) 하락했다. 이러한 하락은 뉴욕 설탕이 3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런던 설탕은 4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결과로 나타났다.
지난 2주 동안 세계 설탕 공급 과잉에 대한 기대감이 가격을 압박했다. 지난 목요일 USDA는 반년마다 발행하는 보고서에서 2025/26년 전 세계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4.7% 증가하여 기록적인 1억 8931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증가로 인해 세계 설탕 잉여는 전년 대비 7.5% 증가한 4118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설탕 생산의 증가 징후는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 농무부 외국농업서비스는 브라질의 2025/26년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2.3% 증가하여 447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인도의 설탕 생산은 좋은 몬순 비와 증가한 설탕 재배 면적을 바탕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한 353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의 2025/26년 설탕 생산도 전년 대비 2% 증가한 103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설탕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설탕 가격 하락의 요인이다. 4월 15일 인도의 지구과학부는 올해의 몬순이 평년보다 많은 105%의 강수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인도의 몬순 시즌은 6월부터 9월까지이다.
또한, 1월 20일 인도 정부는 올해 설탕 밀에게 설탕 100만 톤을 수출할 수 있도록 허가하면서 2023년에 있던 수출 제한을 완화했다. 그러나 인도 설탕 및 바이오 에너지 제조협회는 2024/25년 인도의 설탕 생산을 전년 대비 17.5% 감소한 5년 만에 최저치인 2620만 톤으로 전망했으며, 인도 식품부 차관인 초프라는 5월 1일 인도의 2024/25년 설탕 수출이 예상보다 낮은 80만 톤에 그칠 수 있다고 밝혔다.
태국의 설탕 생산 증가 또한 가격 하락 요인이다. 5월 2일 태국 사탕수수 및 설탕 위원회는 2024/25년 태국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1000만 톤이라고 보고했다. 태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설탕 생산국이자 두 번째로 큰 설탕 수출국이다.
한편, 세계 설탕 생산 감소는 가격에 긍정적이다. 5월 13일 유니카는 2025/26년 브라질의 중남부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38.6% 감소한 158만 톤이라고 보고했다. 또한, 4월 14일 유니카는 2024/25년 브라질 중남부의 누적 설탕 생산량이 3월까지 전년 대비 5.3% 감소한 4016만 9천 톤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반대로, 5월 12일 국제설탕기구는 2024/25년 전 세계 설탕 적자가 9년 만에 최대인 547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2023/24년 전 세계 설탕 잉여 131만 톤에서 시장이 타이트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국제설탕기구는 또한 2024/25년 전 세계 설탕 생산량 전망치를 1748만 톤으로 2월 전망치보다 내렸다.
작년의 가뭄과 과도한 더위는 브라질에서 화재를 발생시켜 브라질 상파울루 주의 설탕 작물에 피해를 주었다. 그린 풀 상품 전문가들은 화재로 인해 최대 500만 톤의 사탕수수가 손실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브라질 정부 농작물 예측기관인 코납은 가뭄과 과도한 더위로 인한 사탕수수 수확량 감소를 이유로 2024/25년 브라질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3.4% 감소한 4411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USDA는 지난 목요일 발표한 반년보고서에서 2025/26년 전 세계 설탕 생산량이 전년 대비 4.7% 증가하여 기록적인 1억 8931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2025/26년 전 세계 인류의 설탕 소비량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기록적인 1억 7792만 1천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USDA는 또한 2025/26년 전 세계 설탕 마감 재고가 전년 대비 7.5% 증가한 4118만 8천 톤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