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선물 가격이 풍작 기대감에 하락 압력을 받았다. 현지 시각 수요일 기준, ICE 뉴욕 12월물 코코아(CCZ25)는 -204(-3.09%) 하락 마감했고, ICE 런던 12월물 코코아 #7(CAZ25) 역시 -189(-3.97%) 내렸다. 이는 최근 반등 흐름을 되돌리는 급락세로, 공급 여건의 개선 전망이 가격에 즉각 반영된 결과다.
2025년 11월 6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서아프리카에서의 대풍(풍작) 기대가 시장 심리를 압도하며 코코아 가격을 끌어내렸다. 코트디부아르(아이보리코스트) 산지 농가들은 코코아 나무 생육 상태가 양호하다고 전했고, 최근의 건조한 날씨가 수확된 원두의 건조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가나의 농가들 또한 우호적인 기상이 코코아 꼬투리(포드)의 빠른 생육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전했다.
수요·공급 관련 주요 현황으로, 글로벌 초콜릿 제조사 몬덜리즈(Mondelez)는 서아프리카 최신 코코아 포드 카운트가 5년 평균 대비 7% 높고 지난해 작황보다 “상당히 높은(materially higher)” 수준이라고 밝혔다. 코트디부아르의 메인 크롭(주요 수확기) 수확은 이제 막 시작됐으며, 현지 농가들은 품질에 대해 낙관적인 분위기다.
지수 편입에 따른 자금 유입 가능성도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화요일 가격은 지난주 목요일 소식의 추세 연장으로 5주래 최고가까지 올랐는데, 이는 블룸버그 커모디티 인덱스(BCOM)가 내년 1월부터 20년 만에 처음으로 코코아를 구성 종목에 포함한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2024년 말 기준 BCOM 추종 자산은 약 $1,090억에 이르며, 인덱스 내 코코아 비중은 1.7%로 설정됐다. 이에 대해 Peak Trading Research LLC는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향후 80일 동안 펀드들은 코코아 선물을 약 19억 달러 규모로 매수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물·재고 동향도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 세계 최대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의 수출 둔화가 가격 하방을 제한하는 모습이다. 월요일 발표된 정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1일~11월 2일 신 마케팅 연도 누적 기준 코트디부아르 농가의 항구 선적 물량은 304,840톤(MT)으로, 전년 동기 365,072톤 대비 -16% 감소했다. 또한 미국 항만의 ICE 모니터링 코코아 재고는 화요일 기준 1,810,657가방으로 7.25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단기 공급 타이트니스 인식에 지지를 제공하는 요소다.
수요 측 약화 신호는 약세 재료로 작용하고 있다. 코코아 가격 급등과 관세 부담이 초콜릿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다. 리서치 업체 서카나(Circana)에 따르면, 9월 7일로 끝나는 13주 동안 북미 지역 초콜릿 캔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1% 이상 감소했다. 허쉬(Hershey)의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할로윈 시즌 초콜릿 판매가 “실망스러웠다”고 밝혔다. 2024년 기준, 할로윈은 미국 연간 캔디 매출의 약 18%를 차지하며 크리스마스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보였다.
가공(분쇄) 지표도 엇갈렸다. 아시아 코코아 협회는 10월 17일 3분기 아시아 그라인딩이 전년 대비 -17% 감소한 183,413톤으로 9년 만에 가장 낮은 3분기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유럽 코코아 협회는 10월 16일 3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전년 대비 -4.8% 줄어 337,353톤을 기록, 10년 만에 가장 낮은 3분기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반면 전미과자협회(NCA)는 3분기 북미 그라인딩이 전년 대비 +3.2% 증가한 112,784톤이라고 밝혔으나, 새로운 보고 참여 기업의 추가가 수치를 왜곡(skew)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지별 생산 변수로는 나이지리아의 생산 감소가 거론된다. 나이지리아 코코아 협회는 2025/26 연도 생산이 전년 대비 -11% 감소한 305,000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는 2024/25 연도 추정치 344,000톤에서 줄어드는 것이다. 한편 나이지리아의 9월 코코아 수출은 전년 대비 14,511톤으로 변함없다(unchanged)고 보고됐다.
국제 코코아 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글로벌 코코아 수급을 -494,000톤 적자(디피싯)로 수정했는데, 이는 60년 넘는 기간 중 최대 적자 규모다. ICCO에 따르면 2023/24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1% 감소한 4.380백만톤(MMT)이었다. 글로벌 재고/그라인딩 비율은 27.0%로 46년 만의 최저다. 다만 2024/25 연도에는 142,000톤의 흑자(서플러스)가 발생해 4년 만에 첫 흑자가 될 것으로 추정됐고, 생산량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4.84백만톤으로 예상됐다.
시장 해석과 전망(기자 견해)전문적 통찰
– 공급: 서아프리카의 생육 호조와 건조한 수확 후 기상은 메인 크롭 품질·물량에 모두 긍정적이다. 이는 단기적으로 현물 및 근월물 스프레드 완화를 통해 가격을 누를 가능성이 크다.
– 수요: 북미 리테일 판매량 -21%+, 유럽·아시아 그라인딩 둔화는 고가·관세 여파를 시사한다. 연말 성수기(홀리데이)에도 가격 민감도가 높아 수요 탄력성이 낮을 수 있다.
– 자금 흐름: BCOM 편입(비중 1.7%)은 향후 80일 동안의 패시브 자금 유입 가능성을 높인다.
리밸런싱 수요는 가격 하락 탄력을 둔화시키며,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하방 경직성을 제공할 수 있다.
종합하면, 중기적으로는 공급 정상화에 따른 레벨 다운이 가능하나, 단기적으로는 지수 편입에 따른 수급 테크니컬이 반등의 완충재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실무적 체크포인트
– 산지 출하: 코트디부아르 주간 선적 추이(10/1~11/2 -16%)의 기저 효과와 이후 회복 여부.
– 재고: ICE 모니터링 재고가 7.25개월 저점(1,810,657가방)에서 누적 감소 지속 여부.
– 수요: 유럽·아시아 그라인딩의 연속성과 북미 리포팅 변경 효과 제거 시 추세 판별.
– 자금: BCOM 리밸런싱 캘린더에 따른 매수 수요 타이밍 점검.
용어 풀이
– ICE: Intercontinental Exchange. 코코아, 커피 등 원자재 선물이 거래되는 국제 거래소다.
– CCZ25/CAZ25: 각각 뉴욕/런던 코코아 2025년 12월물 선물 티커다. Z는 12월 만기, 25는 2025년을 뜻한다.
– BCOM: 블룸버그 커모디티 인덱스. 다양한 원자재로 구성된 대표 지수로, 패시브 펀드가 이를 추종한다.
– 그라인딩(Grinding): 코코아 원두를 분쇄·가공하는 공정량으로, 수요의 간접 지표로 활용된다.
– MT/MMT: Metric Ton(톤) 및 Million Metric Tons(백만 톤).
– 가방(Bags): ICE 재고 공시 단위로, 표준 중량 포대를 의미한다. 기사 수치는 ICE 공시 그대로를 따른다.
– 메인 크롭: 서아프리카의 연간 주요 수확기로, 물량 비중이 큰 시즌을 뜻한다.
참고 및 기타
– 바차트는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 등 시장 분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 관련 기사: Another Similarity Between Soybeans and Cattle Is…, Coffee Is Percolating. How Much Higher Will Prices Go from Here?, Grain Bulls Are Back in Business as China Resumes Soybean, Wheat Purchases. What Comes Next?, Commodity Roundup- October’s Top Performers and Underperformers.
공시Disclosure: 기사 게재일 기준, Rich Asplund는 해당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본 기사 내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자세한 공시는 발행처의 디스클로저 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