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선물가격이 기상 악재에 반응하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 15일(현지시간) ICE 선물시장에서 12월물 뉴욕 코코아(CCZ25)는 전장 대비 +214달러(+2.88%) 급등해 1주 반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12월물 런던 코코아(CAZ25) 역시 +105파운드(+2.06%) 올라 거래를 마감했다.
2025년 9월 1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전역의 폭우·건조 이중(二重) 기상 현상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아이보리코스트에서는 집중 호우로 농민들이 농장에 접근하지 못해 항구로의 수송량이 감소했고, 가나와 나이지리아 일부 지역은 강수 부족으로 코코아 꼬투리가 말라붙었다.
반면 런던 코코아 상승폭은 영국 파운드화 환율 강세가 제한했다. 파운드/달러 환율(GBPUSD)은 2개월 만의 고점을 기록하며 파운드 표시 코코아 가격의 상대 가치를 낮췄다.
■ 재고 및 물동량 동향
미국 ICE가 모니터링하는 코코아 재고는 9월 12일 기준 2,092,823포대로, 4.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공급 빡빡함이 심화된 셈이다. 같은 날 아이보리코스트 정부 통계에 따르면 10월 1일 이후 2024/25 마케팅연도 기준 선적 물량은 1,820만t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 당시 35% 증가율에 비하면 크게 둔화됐다.
“재고가 빠르게 줄고 있는데 수출 속도까지 느려지면 단기 공급 부족이 불가피하다.”— 현지 트레이더 코멘트
■ 수요 둔화 우려와 기업 실적
지난주 초 코코아 가격이 1.75개월 저점을 찍은 배경에는 수요 약화 우려가 자리한다. 스위스 초콜릿 기업 린트 & 슈프렁글리(Lindt & Sprüngli)는 7월, 상반기 판매 부진을 이유로 연간 마진 가이던스를 하향했다. 같은 달 베리 캘리바우트(Barry Callebaut)도 3개월 만에 두 번째로 판매량 전망을 낮추며 3~5월 분기 판매량이 전년 대비 9.5% 감소해 10년 만의 최대 폭 감소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유럽코코아협회(ECA)는 7월 17일 2분기 유럽 그라인딩(가공) 물량이 -7.2% 감소했다고 발표했고, 아시아코코아협회(CAA)는 아시아 그라인딩이 8년 만의 최저치인 -16.3% 감소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북미 역시 -2.8% 감소했으나, 유럽·아시아보다는 낙폭이 작았다.
■ 공급 전망: 나라별 변수
가나 코코아위원회는 7월 1일 2025/26년 생산량을 전년 대비 8.3% 증가한 65만t으로 전망했다. 반면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는 2025/26년 생산이 30만5,000t으로 11%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4/25년 예상치(34만4,000t) 대비 약 4만t 줄어드는 셈이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연도 세계 코코아 공급 부족 규모를 49만4,000t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60여 년 만에 최대치다. 다만 2024/25연도에는 14만2,000t 공급 과잉을 예측하며 4년 만의 흑자 전환을 내다봤다.
■ ‘그라인딩’이란?
‘코코아 그라인딩’은 코코아 원두를 분쇄·가공해 코코아 리커·버터·파우더 등 중간재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통계적으로 수요 지표로 이용되며, 감소세는 초콜릿·제과 업계의 침체를 간접적으로 반영한다.
■ 전문가 시각
시장 분석가들은 서아프리카 날씨패턴이 향후 몇 주간 계속된다면 10월 시작 예정인 메인 크롭에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최근 60일 강수량이 1979년 이후 최저”(Commodity Weather Group)라는 통계는 수확손실 리스크를 재차 부각시킨다.
과거 대형 흉작기는 곧바로 가격 폭등으로 이어졌다. 현재 재고 수준과 수출 속도 둔화를 감안하면, NY 코코아 5,000달러/톤선 재차 테스트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다만 유럽·아시아의 수요 부진이 지속될 경우 랠리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이 반(反)론으로 제시된다.
■ 결론
단기적으로는 기상 변수와 재고 감소가 가격을 떠받치지만, 수요 회복 여부가 중·장기 추세를 결정할 전망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10월~12월 메인 크롭 수확과 4분기 초콜릿 소비 시즌 지표에 주목하고 있다.
※ 본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수치와 데이터는 원문(바차트) 자료에 기반하며, 정보 제공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