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뉴욕·런던 코코아 선물 가격이 서아프리카의 비정상적 저강수 우려 속에 일제히 급등했다. 9월물 뉴욕 ICE 코코아(CCU25)는 전 거래일 대비 +205달러(+2.52%) 오른 8월 25일 장을 마감했고, 같은 만기 런던 ICE 코코아(CAU25)는 +142파운드(+2.66%) 상승했다.
2025년 7월 2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는 “올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 지역 강수량이 30년 평균치를 밑돌고 고온 현상이 겹치면서 10월 시작되는 주요 산지의 메인 크롭(main crop) 발육이 위협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조한 날씨뿐 아니라 수출 속도 둔화도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코트디부아르 정부 집계에 따르면 2024/25 마케팅 연도(10월 1일~다음 해 9월 30일) 기준 7월 20일까지 선적된 물량은 174만 t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으나, 지난 12월의 +35% 급증세와 비교하면 현저히 둔화됐다.
“런던 ICE 코코아 시장에서 상품펀드의 대규모 순매도 포지션(8,265건)은 2년 만의 최대치로, 향후 쇼트커버링(short covering) 유입 시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 ICE 퓨처스 유럽 주간 보고서(7월 22일)
수요 측면에서는 초콜릿 제조사의 실적 악화가 약세 요인으로 부상했다. 스위스의 린트&슈프렝글리(Lindt & Sprüngli)는 상반기 판매 부진을 이유로 연간 마진 전망을 하향 조정했고, 글로벌 가공업체 배리칼리바우(Barry Callebaut) 역시 3개월 새 두 번째로 판매량 가이던스를 낮췄다. 3~5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하며 10년 만의 최대 분기 감소폭을 기록했다.
실제 그라인딩(grinding)※ 지표가 이를 입증한다.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7.2% (y/y) 감소한 331,762t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16.3%, 176,644t)와 북미(-2.8%, 101,865t)도 줄줄이 감소했다. 이는 작년 대비 뉴욕 선물이 8개월 만에, 런던 선물이 17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는 직전 주 낙폭을 설명한다.
미국 항만 보관량 증가도 매도 압력을 높였다. ICE 관리 재고는 2,368,141포대로 10.5개월 만의 최고치를 나타냈다.
공급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가나 생산 전망이 호재다. 가나코코아위원회(COCOBOD)는 2025/26 작황이 +8.3% 증가한 65만 t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코트디부아르 중소득(middle-crop) 품질 저하는 또 다른 불확실성이다. 라보뱅크 조사에 따르면 트럭 적재분의 5~6%가 불량으로 판정돼 평시(1%) 대비 네 배가 넘는 폐기율을 기록했다. 이는 늦게 도착한 비 탓에 생육이 불안정했던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 중소득 수확량 전망치는 40만 t으로 지난해보다 -9% 감소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발표에서 2023/24 연도 세계 공급 부족을 -49만4,000t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60여 년 만의 최대치다. 글로벌 재고/소비 비율은 27.0%로 46년 만의 최저치로 추락했다. 다만 2024/25 연도에는 14만2,000t 공급 과잉이 처음으로 예상됐다. 같은 해 생산량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484만 t으로 전망된다.
※ 그라인딩은 원두 상태의 코코아를 분쇄·가공해 재고로 전환하는 공정으로, 실제 수요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일반 농산물의 ‘크러쉬(crush)’ 개념과 유사하다.
※ 쇼트커버링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공매도(차입매도) 거래자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반대매매(매수)로 포지션을 청산하는 행위를 말한다. 대규모 쇼트 포지션이 존재할 경우, 가격이 급등하면 연쇄적으로 추가 매수가 발생해 “숏 스퀴즈(short squeeze)”를 촉발할 수 있다.
전망 및 기자 분석
현재 시장은 공급 쇼크와 수요 둔화라는 상반된 요인이 교차한다. 기상 변수가 단기간 가격 방향성을 좌우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초콜릿 업체들의 원가 전가 능력과 소비 회복 속도가 결정적이다. 유럽·아시아 그라인딩 감소세가 3분기에도 이어질 경우, ICCO가 제시한 2024/25 공급 과잉 전망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가나·나이지리아 등 2선 산지가 생산을 확대하고, 상품펀드의 쇼트커버링 수요가 일정 부분 해소된다면 단기 랠리는 제한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