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가뭄 우려로 국제 코코아 선물 가격 2주 최고치

ICE 뉴욕 상품거래소 9월물 코코아 선물(CCU25)은 25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205달러(+2.52%) 급등한 채 마감했으며, ICE 런던 9월물 코코아 선물(CAU25)도 142파운드(+2.66%) 오르며 동반 상승했다.

2025년 7월 2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코코아 가격 급등의 직접적 요인은 서아프리카 지역의 지속적인 강수 부족이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에 따르면, 코트디부아르와 가나의 현지 우기 강수량은 30년 평균치를 크게 밑돌고 있으며, 고온 현상까지 겹쳐 10월 시작되는 메인 크롭(main crop) 수확기에 코코아 꼬투리의 생장 불량이 우려된다.

전일 뉴욕과 런던 시장 모두 2주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코트디부아르 수출 물량 둔화에 따른 공급 타이트(tight) 전망과 맞물린 결과다. 현지 정부 통계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농가에서 항구로 운송된 물량은 174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으나 지난해 12월 집계됐던 35% 증가율에 견주면 크게 둔화됐다.


펀드 포지션 변화와 쇼트 커버링 가능성

ICE 퓨처스 유럽 자료에 따르면 7월 22일 기준 런던 코코아 선물 순쇼트 포지션은 8,265계약으로, 2년여 만에 최대 규모다. 이처럼 공매도(Short) 잔고가 쌓여 있으면 가격 급등 시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이 동반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쇼트 커버링: 가격이 예상과 달리 오를 때 손실을 막기 위해 공매도 포지션을 급히 되사들이는 행동

반면, 수요 측면에서는 초콜릿 소비 둔화 소식이 약세 재료로 작용하고 있다. 23일 스위스의 린트&슈프룽글리(Lindt & Spruengli)는 상반기 판매 부진을 이유로 올해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를 하향했다. 초콜릿 원료 메이저 바리 칼레바우트(Barry Callebaut)도 3개월 만에 두 번째로 판매량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3~5월 분기 매출 물량이 전년 대비 9.5% 감소해 10년 내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원두 가격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커졌다. 이는 결국 최종 제품 가격을 끌어올려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 업계 관계자

실제로 지난주 코코아 시장은 급락세를 경험했다. 뉴욕 선물은 8개월 만의 최저치, 런던 선물은 17개월 만의 저점을 각각 기록했다. 유럽코코아협회(ECA)가 발표한 2분기 유럽 그라인딩(분쇄) 물량은 전년 대비 7.2% 감소한 331,762t으로, 시장 예상치(-5%)를 밑돌았다. 아시아코코아협회(ACA) 역시 같은 기간 아시아 그라인딩 물량이 16.3% 줄어든 176,644t으로,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북미 그라인딩은 2.8% 감소(101,865t)해 아시아·유럽보다는 낙폭이 작았다.


재고·생산 전망과 품질 이슈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 항만 보유 코코아 재고는 23일 기준 236만8,141포대로, 10.5개월 만의 최고치다. 이는 단기적으로 가격을 누를 수 있는 약세 요인이다.

그러나 가나코코아위원회(Ghana Cocoa Board)는 7월 1일 2025/26년도 생산량이 65만t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나는 세계 2위 생산국으로, 이 같은 증산 전망은 장기적 공급 완화 기대를 높이고 있다.

품질 측면에서는 코트디부아르 미드 크롭(mid-crop)의 등급 저하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현지 가공업체들은 트럭 한 대 분량 중 5~6%가 불량품이라고 지적한다. 주 수확기인 메인 크롭(10~3월)의 1% 내외 불량률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Rabobank는 “늦게 내린 비 때문에 꼬투리 성장에 문제가 생겼다”고 분석했다. 올해 미드 크롭 예상 수확량은 40만t으로, 작년(44만t) 대비 9% 감소할 전망이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2023/24 시즌 세계 코코아 공급부족 규모를 49만4,000t으로 상향 조정해 60여 년 만에 최대치라고 밝혔다. 같은 시즌 생산량은 13.1% 감소한 4,380만t이었다. 재고 대비 분쇄 비율(Stocks-to-Grindings Ratio)은 27%로 46년 만에 최저치다.※ 재고 대비 분쇄 비율: 전 세계 재고를 연간 분쇄량으로 나눈 지표로, 수급 타이트 여부를 나타낸다

다만 ICCO는 2월 전망에서 2024/25 시즌 세계 코코아 시장이 14만2,000t 흑자(공급 과잉)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량도 4,840만t(+7.8%)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 평가와 전망

장기적으론 서아프리카 기후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 한, 공급 불확실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메인 크롭 개막 시점인 10월까지 우기 강수량이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할 경우, 추후 ICCO의 공급 과잉 전망도 재차 조정될 여지가 있다.

반대로 단기 수요를 좌우하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초콜릿 가격 인상은 소비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장은 기상 변수·펀드 포지션·소비지표 세 가지 지표를 동시에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필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재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적 참고 용도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