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미국 사회보장제도(소셜시큐리티)의 신탁기금 고갈 시점이 2034년으로 제시되면서 19% 수준의 전면적 급여 삭감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연금 의존도가 높은 고령층은 심각한 소득 감소에 직면할 수 있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사회보장 신탁이사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통합 신탁기금(Old Age & Survivors Insurance 및 Disability Insurance) 잔고가 2034년이면 고갈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갈 이후에는 현행 급여의 약 81%만을 지급할 수 있어, 19% 삭감이 사실상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많은 은퇴자들이 매달 받는 사회보장연금으로 생활비 대부분을 충당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러한 삭감은 치명적인 소득 공백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일부 근로자들은 연금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사전 대책을 마련하며 위기에 대비하고 있다.
① “사회보장은 보너스일 뿐”이라는 목표
기사 작성자는 “사회보장 없이도 필수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자금”을 마련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제시했다. 이렇게 되면 실제 급여가 삭감되더라도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논리다.
② 저축을 늘리기 위한 구체적 실천
- 수년간 추가 근무 및 프리랜스 프로젝트를 수락해 발생한 부수입 전액을 은퇴계좌로 이체했다.
- 수입이 늘어도 주택이나 차량을 상향 구매하지 않고 기존 자산을 유지해 절감한 비용을 저축했다.
- 고급 휴가 대신 소규모·저비용 여행을 택해 가족과 추억을 쌓으면서도 과소비를 피했다.
또한 그는 장기 저축액을 단순 현금이나 인덱스펀드에만 두지 않고, 포트폴리오를 적극적으로 리밸런싱해 자산 증식 효과를 도모했다. 여기서 ‘인덱스펀드’란 S&P500 등 대표 지수를 그대로 추종해 저비용으로 시장 평균 수익률을 노리는 상품을 말한다.
사회보장 신탁기금이 고갈되면 무슨 일이 일어나나?
사회보장제도는 현재 근로자가 납부하는 급여세(FICA 세금)와 과거 흑자 시기에 적립한 Treasury 채권 이자수익으로 운영된다. 고령화로 수급자는 늘고 납부자는 줄어드는 구조적 문제 때문에 기금 적립액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2034년에는 적립잔고가 “0”이 되는 시나리오가 제시된 상태다.
적립금이 고갈돼도 세금 납입은 계속되므로 제도가 즉시 중단되지는 않는다. 다만 수입(세수)만으로 급여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명목상 약 81% 수준만 지급 가능하다. 이른바 ‘전면적 삭감’이란 표현은 바로 이 차이를 가리킨다.
정치권 해법은 불투명하다. 의회가 세율 인상·급여 산식 조정·지출 통제 등으로 연금재정을 보강할 수도 있지만, 합의 도출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크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가능한 한 개인 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문 기자 시각: ‘절약+투자’의 병행이 관건
연금 삭감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저소득·고령층일수록 타격이 크다. 반면 노동시장 참여가 가능한 40~50대라면 근로·투자를 통한 자산 축적이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다. 특히 저금리·고물가 환경에서는 현금 비중을 최소화하고, 장기 시장수익률을 추종하거나 배당·채권을 혼합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또한 미국 내 많은 재무설계사는 은퇴 전 예상 지출의 70~80%를 자체 자산으로, 나머지 20~30%를 사회보장으로 충당하는 ‘3층 소득 구조’를 권고한다. 여기서 3층이란 ①개인저축·투자 ②퇴직연금(401(k)·IRA) ③공적연금(사회보장)을 의미한다.
사회보장 급여 극대화 팁(기사 원문 소개)
기사 원문은 “잘 알려지지 않은 사회보장 ‘비밀 전략’”을 활용하면 연 2만3,760달러의 급여를 추가 확보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는 여러 해 동안 최대 연령까지 수령을 연기하거나, 평균인정소득(AIME) 상향을 위해 노후에도 고소득 근로를 유지하는 방식 등을 뜻한다. 다만 해당 수치는 가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실제 적용 전에는 각자의 재무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끝으로, 원문은 “은퇴 자산이 부족하다고 해도 지금부터 전략적으로 움직이면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며, 투자·저축·지출 관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