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우 선물 상승 마감…‘사육두수 보고서’에서 투입 두수 감소 확인

[시카고 선물시장] 25일(현지시간) 거래를 마친 사육우(Live Cattle) 선물 가격이 전일 대비 0.67~1.00달러 상승하며 주간으로도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8월물은 이번 주에만 2.92달러 올랐다.

현물거래에서는 미 남부 지역에서 파운드당 230~231달러, 북부 지역에서는 240~242달러선에서 거래가 성사됐다. 이날 오전 Central Stockyards가 운영하는 온라인 Fed Cattle Exchange 경매에서도 캔자스(KS) 물량 325두가 237.50달러에, 텍사스(TX) 물량 120두가 BidTheGrid™ 방식으로 233달러에 팔렸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송아지(Feeder Cattle) 선물도 동반 상승했다. 8월물은 2.47달러 오른 331.375달러에 마감해 주간 기준 7.37달러 상승했고, 9월·10월물도 각각 2.55달러, 2.65달러씩 올랐다. CME Feeder Cattle Index는 전일 대비 2.65달러 오른 328.83달러를 기록했다.


사육두수(Cattle on Feed)·재고 보고서

미 농무부(USDA)가 발표한 6월 사육두수 보고서에 따르면 육성장으로 유입된 송아지·비육우 투입(placements)은 전년 동월 대비 7.86% 감소한 141만1,000두로 집계돼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같은 달 출하(마케팅) 물량은 170만7,000두로 2024년 6월보다 4.42% 줄었다. 7월 1일 기준 사육우 두수는 1,119만5,000두로 전년 대비 0.96% 감소했다.

또한 1년 만에 재개된 반기별 소 재고(Cattle Inventory) 보고서에서는 7월 1일 기준 육우 암소(비프 카우) 재고가 전년보다 1.2% 감소한 2,865만두로 나타났다. 번식용 암송아지(비프 Replacement Heifers)는 3.7백만두로 전년 대비 5.1% 줄어 적극적 번식 의지가 약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송아지 투입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하반기 공급 타이트화를 시사한다”는 것이 시장 참가자들의 대체적 평가다.

용어 풀이

  • Live Cattle: 비육 마친 1,200~1,400파운드급 성체우 선물로, 도축 직전 단계 현물가격과 연동된다.
  • Feeder Cattle: 체중 600~800파운드의 미육성우 선물로, 사료비·사육기간 등에 대한 투자 심리를 반영한다.
  • Fed Cattle Exchange: 온라인 경매 플랫폼으로 주간 경매 결과가 현물 기준가 역할을 한다.

같은 날 발표된 냉동창고(Cold Storage)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소고기 재고는 3억9,567만8,000파운드로 전월 대비 2.98%, 전년 동월 대비 0.92% 감소했다.

USDA가 집계한 도매(Boxed) 쇠고기 지수는 선택육(Select)과 최고급육(Choice) 모두 약세였다. Choice 박스는 파운드당 366.68달러로 1.41달러 하락했고, Select 박스는 2.13달러 내린 344.87달러를 기록했다. Choice/Select 가격 차이는 21.85달러로 확대됐다.

USDA가 추산한 주간 도축 두수는 54만9,000두로 전주보다 1만4,000두, 전년 동기 대비 5만6,176두 감소해 공급 축소 흐름이 이어졌다.

Live Cattle Aug 25 Feeder Cattle Aug 25

개별 월물 종가(7월 25일)

  • 8월물 Live Cattle: 226.475달러(▲0.675)
  • 10월물 Live Cattle: 223.150달러(▲1.000)
  • 12월물 Live Cattle: 223.475달러(▲0.825)
  • 8월물 Feeder Cattle: 331.375달러(▲2.475)
  • 9월물 Feeder Cattle: 332.200달러(▲2.550)
  • 10월물 Feeder Cattle: 331.000달러(▲2.650)

본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정보는 투자 참고용이며,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추가 기사: 비수기에도 랠리 지속 가능성은? | 상승세 제동 걸리나? | 사육두수·EU관세 영향 | 8월물 콜옵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