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카 커피 선물 가격이 브라질 헤알 강세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고, 로부스타는 베트남 기상 변수 완화로 소폭 하락했다고 보도됐다. 12월 만기 ICE 아라비카 커피(KCZ25)는 화요일 +7.95센트(+1.92%) 상승 마감해 2.5주래 최고가를 기록했고, 1월 만기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5달러(-0.11%) 하락 마감했다.
2025년 11월 11일, 나스닥닷컴에 실린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아라비카 가격의 동력은 브라질 헤알화 강세였다. 환율 지표 ^USDBRL이 화요일 17개월래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브라질 생산자들의 달러 기준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아 수출 유인이 약화됐고, 이는 국제선물 가격을 지지했다. 일반적으로 헤알 강세는 브라질산 커피의 달러 표시 가격 경쟁력을 낮춰 해외 판매 속도를 둔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로부스타 커피는 반대로 베트남의 기상 리스크 완화가 부담으로 작용했다. 지난주 목요일 베트남에 상륙한 태풍 갈매기(Kalmaegi)에 대한 초기 평가에서 커피 주요 산지에 유의미한 피해가 없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공급 차질 우려가 누그러지며 로부스타 가격은 약보합을 보였다.
한편 가격은 전일에 이어 공급 타이트 신호에서도 지지를 받았다. 국제커피기구(ICO)는 현 마케팅 연도(10월~이듬해 9월)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만8천 포대(bag·60kg 기준)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ICE 인증 재고 감소 역시 가격을 떠받치고 있다. 미국의 대(對)브라질 커피 수입에 부과된 50% 관세로 인해 ICE 커피 재고가 빠르게 줄었다. 화요일 기준 ICE 모니터드 아라비카 재고는 1.75년래 최저인 406,129포대로 감소했고, 월요일에는 ICE 로부스타 재고가 3.75개월래 최저인 5,873랏까지 하락했다. 관세 부담으로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산 커피 신규 계약을 취소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미국 내 공급이 조여졌다. 미국의 생두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라는 점을 고려하면, 관세 변화의 파급효과는 적지 않다.
다만 브라질의 충분한 강우는 건조 우려를 완화하며 가격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 기상기관 소마르 메토로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월요일,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가 11월 7일로 끝난 주간에 강우량 72.1mm를 기록해 과거 평균의 160%에 달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 라니냐(La Niña) 발현 가능성을 10~12월 기간 71%로 상향했다. 라니냐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초래할 수 있어 2026/27 커피 작황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커피 생산국이다.
베트남발 공급 증가는 가격에 약세 요인이다. 베트남 통계청은 지난주 목요일,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베트남의 2025/26 작기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만 톤(약 2,940만 포대)으로, 4년래 최고가 예상된다. 아울러 베트남 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으로 유지될 경우 2025/26 커피 생산이 전 작기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브라질의 공식 작황 전망도 변동했다. 브라질 작황예측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5월 예측치 3,700만 포대에서 -4.9% 하향한 3,520만 포대로 수정했다. 같은 날 브라질 2025년 전체 커피 생산 전망도 5월의 5,570만 포대에서 -0.9% 줄인 5,520만 포대로 낮췄다.
미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발표에서 세계 2025/26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 생산은 -1.7% 감소한 9,702만2천 포대, 로부스타 생산은 +7.9% 증가한 8,165만8천 포대로 예상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의 2025/26 생산이 +0.5% 늘어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로 내다봤다. 기말재고는 2024/25의 2,175만2천 포대에서 +4.9% 증가한 2,281만9천 포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용어·지표 해설
아라비카는 산지 고도가 높고 풍미가 섬세한 종으로 고급 커피 블렌드의 주류를 이루며, 로부스타는 카페인이 높고 병충해에 강해 인스턴트·에스프레소 블렌드에 많이 쓰인다. ICE 인증 재고는 ICE 거래소가 감시하는 실물 인도 가능 재고로, 재고 감소는 단기 현물 타이트를 시사해 선물 가격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KCZ25는 ICE 아라비카 커피 2025년 12월물, RMF26는 ICE 로부스타 커피 2026년 1월물을 의미한다. ^USDBRL은 달러/브라질 헤알 환율 관련 지표로, 브라질 통화의 체감 강·약세가 수출 채산성과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시장 해석과 전망
이번 랠리는 환율·관세·재고라는 세 축이 아라비카를 지지한 전형적 사례다. 헤알 강세는 브라질산 공급의 달러 표시 경쟁력을 약화시키며 수출 타이밍을 늦추는 유인을 만들고, 미국의 50% 관세는 물류·가격 전가를 통해 미국 내 공급 축소 및 기초 베이시스 타이트를 야기한다. 여기에 ICE 인증 재고의 지속적 감소가 더해지면서 단기 수급 팽팽함이 가격을 끌어올렸다. 반면 베트남 생산·수출 확대는 로부스타 쪽의 공급 여력을 강화해 종 간 스프레드(아라비카-로부스타 가격차)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기상변수가 핵심이다.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의 풍부한 강우는 개화·결실기에 긍정적 신호로 해석되지만, 라니냐 71% 가능성은 2026/27 작황 리스크를 여전히 내포한다. 정책 측면에선 관세 정책의 지속·변경 여부가 미국 수입구조와 글로벌 재고 흐름에 직접적 변수를 제공한다. 투자자·수입사 관점에선 환헤지 전략과 원산지 다변화, 그리고 선물-현물 조달 믹스의 재점검이 요구된다.
시나리오 관점에서 헤알 강세 지속과 미국 재고 감소세 연장이 겹치면 아라비카는 추가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베트남 수확 호조와 기상 우호성 지속이 확정되면 로부스타는 상대적 약세를 보이며 스프레드 축소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단, 본 변동성은 ICO 월간 수출 데이터, Conab 추정치 수정, USDA/FAS 글로벌 밸런스 업데이트에 민감하게 반응할 전망이다.
유의 사항
본 보도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자료 출처와 수치는 보도 시점의 공시·기관 발표에 근거한다.
관련 기사
• Coffee Is Percolating. How Much Higher Will Prices Go from Here?
• Soft Commodities in Q3- What are the Prospects for Q4 and Beyond?
• 1 Way to Trade Cold Coffee Prices Now as Global Supply Fears Percolate
• As Starbucks Cuts Jobs and Closes Stores, Should You Buy, Sell, or Hold SBUX Stock?
편집자 주: 본 기사는 바차트(Barchart)의 원문을 토대로 구성됐으며, 나스닥 인크(Nasdaq, Inc.)의 공식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모든 정보는 보도 시점 기준이며, 바차트 디스클로저 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