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이상 기상·관세 우려에 커피 선물가격 급등

커피 선물가격이 급격히 상승했다. 9월물 아라비카 커피(KCU25)는 전장 대비 +4.15센트(▲1.39%) 오른 1파운드당 3.0285달러에, 9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U25)는 +130달러(▲4.03%) 오른 톤당 3,352달러에 장을 마쳤다.

2025년 7월 2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급등은 브라질 주요 산지의 우박 피해미·브라질 무역협상 결렬 시 50% 관세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다.

Sucden Financial Ltd는 “미나스제라이스 주에 내린 심각한 우박으로 일부 커피 나무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업계는 관세가 현실화되면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인 브라질발 공급 차질이 불가피해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고 경계한다.


“브라질이 이번 주 금요일까지 미국과 협상에 실패할 경우, 미국이 브라질산 제품에 최대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 시장 관계자

투기적 포지션도 가격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ICE 선물거래소에 따르면 7월 22일 기준 펀드들의 로부스타 순매도 포지션은 4,628계약으로 2년 만에 최대치다. 과도한 숏(매도) 포지션은 단숨에 숏커버링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수확 진도는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브라질 조사기관 Safras & Mercado는 7월 23일 기준 2025/26 시즌 전체 커피 수확률이 84%라고 밝혔다(전년 81%, 5년 평균 77%). 품목별로는 로부스타 96%, 아라비카 76%가 완료됐다. 또 브라질 최대 협동조합인 Cooxupe는 7월 18일 기준 조합원 수확률이 59%라고 보고했다.

재고 흐름도 엇갈린다. ICE 로부스타 인증재고는 7,029로트로 1년 최고치를 찍은 반면, 아라비카 인증재고는 800,326포대로 3.25개월 최저치로 내려갔다.

최근 비 소식도 가격을 누른다. 기상기관 Somar Meteorologia는 7월 26일까지 일주일간 미나스제라이스에 3.5mm의 강수(평년 대비 200%↑)가 기록됐다고 밝혔다.


반대로 브라질 수출 감소는 상승 압력이다. Cecafe 자료에 따르면 6월 녹색 커피 총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1% 줄어든 230만 포대였다(아라비카 -27%, 로부스타 -42%).

공급 전망은 여전히 풍부하다.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 시즌 브라질 생산량을 6,500만 포대(+0.5% YoY), 베트남을 3,100만 포대(+6.9% YoY)로 전망했다.

그러나 베트남은 가뭄으로 2023/24년 생산이 147만2,000톤(-20% YoY)으로 4년래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 수출은 135만톤(-17.1% YoY)으로 감소했다.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는 3월 26.5백만 포대로 2024/25 생산 전망을 하향했다.

USDA 반기 보고서는 세계 생산이 1억7,868만 포대(+2.5% YoY)로 사상 최고, 재고는 2,281만9,000포대(+4.9%)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Volcafe는 2025/26년 아라비카 적자를 850만 포대, 5년 연속 부족으로 추정했다.


용어 설명 및 시장 전망

아라비카로부스타는 전 세계 커피 시장을 양분하는 두 품종이다. 아라비카는 주로 브라질·콜롬비아 등 고지대에서 재배되며 부드러운 맛으로 고급 커피의 원료가 된다. 로부스타는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저지대에서 재배되어 카페인 함량이 높고 쓴맛이 강해 인스턴트커피나 에스프레소 블렌드에 널리 쓰인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뉴욕·런던 기반의 글로벌 선물거래소로, 커피·코코아 등 소프트 상품 선물가격의 지표 역할을 한다. 펀드 순매도(Short) 포지션은 기관투자가가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계약 잔량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브라질 관세 이슈가 단기 재료로 작용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세계 재고 증가 전망이 상존해 가격 변동폭이 커질 수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브라질 우박 피해 규모가 8월 이후 구체화될 경우 추가 상승 동력이 될지 주목된다.

기자 의견* : 단기간에는 악천후·정책 변수로 급등할 가능성이 있으나, 연말로 갈수록 남반구 작황 개선에 따른 단기 조정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헤지 목적의 실수요자라면 분할 매수가, 투기적 접근이라면 포지션 관리가 필수적이다.

* 본 의견은 기사 내용에 근거한 기자의 분석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