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서리(냉해) 가능성에 커피 선물값 상승

국제 커피 선물시장이 다시 반등했다. 9월물 ICE 아라비카 커피(KCU25)는 전일 대비 +3.10센트(+1.06%) 오른 파운드당 2.9645달러에, 9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U25)는 +67달러(+2.10%) 상승한 톤당 3,26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주요 재배지에 한랭 전선(Cold Front)이 접근하면서 서리 피해(frost) 우려가 커진 것이 가격 반등의 핵심 동인으로 지목된다. 현지 기상서비스 ‘Climatempo’는 이번 주 후반 브라질 남동부 커피벨트에 기온이 급락해 작황에 치명적인 서리가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러나 장 초반 분위기는 달랐다. 아라비카 선물은 1주 만에 최저치를, 로부스타 선물은 최근월물(N25) 기준 1.25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며 하락세로 출발했다. 이는 브라질 수확 압력(harvest pressure) 때문이다. 브라질 민간 조사기관 사프라스&메르카두(Safras & Mercado)는 7월 16일 기준 2025/26년도 커피 수확률이 77%로 작년 동기(74%)와 5년 평균(69%)을 모두 웃돈다고 밝혔다. 특히 로부스타는 93%, 아라비카는 67%가 이미 수확을 마쳐 조기 공급이 시장에 풀리고 있다. 최대 수출 협동조합인 코옥수페(Cooxupé) 역시 7월 18일 기준 회원 농가 수확률이 59%라고 전했다.

아라비카 선물 차트

재고 측면에서도 상반된 흐름이 나타난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로부스타 재고는 6,401롯으로 11.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가격을 압박하고 있다. 반면 아라비카 재고는 81만1,024포대로 3개월 최저치로 감소했다.

펀드의 과도한 순매도 포지션(Short Position)도 불안 요인이다. ICE 유럽은 7월 15일 기준 헤지펀드 등이 로부스타 선물을 1,294계약 순매도하며 2년 만의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만약 서리로 인한 돌발 악재가 현실화될 경우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이 급격히 발생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브라질 내 건조(Excessive Dryness) 기상도 변수다. 민간 기상사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7월 19일 기준 최대 아라비카 산지 미나스제라이스(州)에 강우가 전무했다고 보고했다. 장기간 건조는 꽃눈 분화와 착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내년도 생산량을 저해할 수 있다.

수출도 주춤했다. 브라질 커피수출업협회 세카페(CECAFE)는 6월 브라질 산 녹원두 수출이 231만 포대로 전년 대비 31% 급감했으며, 아라비카가 -27%, 로부스타가 -42% 각각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제 가격엔 지지 요인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브라질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물류 차질 우려가 커졌다. 브라질은 전 세계 아라비카 최대 생산·수출국이므로, 고율 관세는 미 시장 수급뿐 아니라 글로벌 유통망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로부스타 선물 차트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과잉 전망이 여전히 가격 상단을 누르고 있다. 미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서비스국(USDA-FAS)은 6월 25일 발표한 반기 보고서에서 2025/26년도 브라질 생산량을 전년 대비 0.5% 증가한 6,500만 포대로, 베트남 생산을 6.9% 늘어난 3,100만 포대로 각각 예상했다. 베트남은 로부스타 세계 1위 생산국이다.

다만 베트남은 2023/24 crop year에 기록적 가뭄으로 생산이 147만2,000t(−20%)으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4년 수출도 135만t(−17.1%)로 감소했다. 베트남커피코코아협회(Vicofa)는 2024/25년도 생산 전망치를 2,650만 포대로 하향했다. 반면 베트남 통계총국은 올 1~6월 수출이 94만3,000t으로 4.1% 증가했다고 별도 집계했다.

USDA 보고서는 전 세계 2025/26년도 커피 생산이 1억7,868만 포대로 2.5% 증가하리라 예상했다. 아라비카는 −1.7% 줄어 9,702만 포대, 로부스타는 +7.9% 늘어 8,165만 포대를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세계 기말재고는 2,281만9,000포대로 4.9%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스위스계 트레이더 볼카페(Volcafe)는 2025/26년 아라비카 시장이 850만 포대 적자를 기록해 5년 연속 공급부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장기 수급 타이트닝 가능성을 시사한다.

용어 설명
ㆍ아라비카(Arabica): 향미가 뛰어나 고급 원두로 분류되며, 전 세계 생산의 약 60%를 차지한다.
ㆍ로부스타(Robusta): 카페인 함량이 높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으로, 즉석커피·에스프레소 블렌드에 주로 사용된다.
ㆍICE(Intercontinental Exchange): 뉴욕과 런던에 선물·옵션 거래소를 운영하는 글로벌 파생상품 거래소 그룹이다.
ㆍ쇼트 포지션: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선물을 매도해둔 상태를 의미한다.


요약하면, 브라질 남동부에 다가오는 한랭 전선이 커피 벨트에 서리를 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커피 선물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섰다. 다만 브라질의 빠른 수확 진척과 로부스타 재고 증가, 그리고 USDA의 생산 증가 전망 등 공급 과잉 시그널도 상존해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펀드의 과도한 순매도 포지션, 미국의 고율 관세 변수, 베트남·브라질의 기상 불확실성이 뒤얽히며 향후 가격 방향성은 기상·정책 뉴스플로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