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레알 강세에 아라비카 커피 선물 상승…로부스타는 혼조 마감

아라비카 커피 선물 가격이 브라질 레알 강세에 동조하며 상승했다.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5)는 화요일 +7.95센트(+1.92%) 상승 마감했고, 1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5달러(-0.11%) 하락 마감해 커피 가격이 혼조세를 보였다. 아라비카는 장중 2.5주 만의 고점을 기록했다.

2025년 11월 11일, 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레알(^USDBRL)이 이날 17개월 만의 강세를 보이며 브라질 생산자들의 수출 판매를 위축시킨 것이 아라비카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통상 산지 통화가 강세를 보이면 현지 생산자의 달러 표시 수입이 줄어 수출 유인이 약화되는 메커니즘이 작동한다.

아라비카 커피 선물 개요

주목

아라비카 커피는 브라질 레알 강세 속에 상승 흐름을 이어가며 2.5주 만의 고점을 경신했다.

반면, 로부스타 커피는 지난 목요일 베트남에 상륙한 태풍 ‘칼마에기’ 이후 초기 피해 평가에서 주요 커피 산지의 유의미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압력을 받았다. 이는 단기 공급 차질 우려를 완화해 가격의 추가 상승을 제약했다.

로부스타 커피 선물 개요


공급 타이트닝 신호도 가격을 지지했다. 국제커피기구(ICO)는 현행 마케팅 연도(10월~다음 해 9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 3,865만 8천 포대(138.658 million bags)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글로벌 수급이 빠듯하다는 인식을 강화했다.

미국달러/브라질레알 환율

주목

ICE 커피 재고 축소도 주목된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 부과ICE 공인 재고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 화요일 기준 ICE 모니터드 아라비카 재고는 1.75년래 최저치인 406,129포대로 떨어졌고, 로부스타 재고는 월요일 3.75개월 최저치인 5,873롯트로 집계됐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바이어들은 브라질산에 대한 50% 관세 여파로 신규 계약을 해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의 생두 수입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미국 내 공급 타이트닝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브라질의 강우 소식은 가격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민간 기상사 소마르 메토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월요일,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재배지인 미나스제라이스11월 7일로 끝나는 주에 72.1mm의 비를 기록해 과거 평균의 160%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는 토양 수분과 개화·결실 조건을 개선시켜 생산량 회복 기대를 키우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기후 변수: 라니냐 가능성도 가격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 10~12월 기간에 라니냐 발생 확률을 71%로 상향했다. 이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초래할 수 있어 2026/27 커피 작황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커피 생산국이다.

반대로, 베트남의 공급 확대는 가격에 약세 요인으로 거론된다. 베트남 통계청은 지난주 목요일,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해 131만 톤(1.31 MMT)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2025/26 작기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1.76 MMT, 포대 기준 2.94천만)으로 4년래 최고치가 전망된다.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10월 24일, 기상이 우호적일 경우 2025/26 생산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브라질 작황 전망도 혼조 신호를 보낸다. 브라질 산지 예측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4일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을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 하향했다. 동시에 브라질 2025년 총 커피 생산 추정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0.9% 낮췄다.

세계 수급 측면에서,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2025/26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사상 최대 1억 7,868만 포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 생산-1.7% 감소한 9,702만 2천 포대, 로부스타 생산+7.9% 증가한 8,165만 8천 포대로 내다봤다. 또한 브라질 2025/26 생산은 전년 대비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 2025/26 생산+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래 최고)로 예상했다. 2025/26 기말 재고+4.9% 증가한 2,281만 9천 포대로, 2024/25 시즌의 2,175만 2천 포대에서 확대될 전망이다.


투자자에게 의미하는 바: 현재 시장은 상쇄되는 요인들이 교차하는 균형의 변곡점에 위치해 있다. 브라질 레알 강세와 ICE 재고 축소는 단기 타이트닝을 강화해 아라비카 가격에 우호적이다. 반면, 베트남의 로부스타 공급 확대는 하방 완충 역할을 한다. 라니냐 리스크중장기 작황 불확실성을 키우는 잠재적 상방 요인인 반면, 브라질의 충분한 강우는 직전 작기 대비 생산 회복 기대를 뒷받침한다. 결과적으로, 품종 간 스프레드(아라비카-로부스타 가격차)와 환율·관세 이슈가 가격 방향성의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

화요일 마감 시사점

실무 팁: 선물·옵션 운용자라면 ICE 모니터드 재고 지표브라질 레알 추세를 나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NOAA의 계절 전망Conab·USDA FAS의 생산 추정 업데이트 주기를 캘린더화하면, 공급 사이드 재평가가 이뤄지는 시점의 변동성에 대비할 수 있다. 다만, 본 기사에 언급된 수치와 전망은 보도 시점의 정보에 근거한다.


용어 해설

아라비카 vs 로부스타: 아라비카는 고지대 재배, 맛과 향이 섬세하며 프리미엄을 형성하는 편이다. 로부스타는 내병성과 수확량이 높고 카페인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인스턴트·블렌딩에 널리 쓰인다.

ICE 공인 재고: 뉴욕 ICE 거래소가 모니터링·인증하는 창고 재고로, 단기 인도 가능 물량의 타이트/여유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Bag(포대) 단위: 국제 커피 시장에서 1포대(bag)는 일반적으로 60kg을 의미한다. 기사 내 포대 수치는 모두 이 기준을 따른다.

MMT(Million Metric Tons): 백만 미터톤(백만 톤)을 뜻한다. 1.31 MMT는 약 131만 톤이다.

라니냐: 열대 태평양의 해수온이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으로, 지역별로 강수·온도 패턴을 변화시켜 농산물 작황에 큰 영향을 준다.


원문 주요 문구

Don’t Miss a Day: From crude oil to coffee, sign up free for Barchart’s best-in-class commodity analysis.

관련 소식 (Barchart)

화요일 장 마감에서 배운 점은 무엇인가
세계 설탕 가격은 얼마나 더 하락할 수 있는가
곡물·면화 트레이더를 위한 11월 14일 체크포인트
대두와 육우의 또 다른 공통점

설탕 시장 동향


면책

게재일 기준으로,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직·간접)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는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공개 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문에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견해와 의견이며, 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