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급등했다. 2025년 8월 5일(월) ICE 선물시장에서 9월물 아라비카 커피(KCU25)는 전일 대비 1.53%(+4.35센트) 오른 289.35센트에 마감했고, 9월물 로부스타 커피(RMU25)는 2.73%(+91달러) 상승한 톤당 3,4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의 평균 이하 강우량이 단기적인 공급 불안을 키우며 숏커버링을 촉발한 것이 급등의 직접적 배경이다. 민간 기상회사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커피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주는 7월 27일~8월 2일 동안 평년 대비 31% 수준인 2.7㎜의 비만 기록했다.
환율 요인도 가격을 지지했다. 브라질 헤알화는 같은 날 미 달러화 대비 3주 반 만의 최고치로 상승했다. 헤알 강세는 브라질 커피 생산자들의 수출 의지를 약화시켜 국제 시세를 밀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재고 움직임 역시 중요하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5개월 반 만의 최저치인 760,529포대로 줄었다. 반대로 로부스타 재고는 지난주 7,029로트로 1년래 최고치를 경신해 로부스타 가격에는 약세 압력으로 작용 중이다.
“펀드들의 과도한 순숏 포지션은 가격 반등 시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
ICE 유럽에 따르면 7월 29일 기준 로부스타 선물의 펀드 순숏 포지션은 5,854계약으로 2년 만의 최대치다. 숏커버링 발생 시 가격이 급등할 위험이 내재해 있다는 분석이다.
무역정책·수확 상황이 교차하는 변수
지난주 금요일 아라비카 선물은 3주래 최저치로 밀렸었다. 당시 시장은 미국 정부가 브라질산 커피에 부과 예정인 관세를 면제할 수도 있다는 관측에 무게를 뒀다. 세카페(Cecafe)와 미국전국커피협회(NCA)는 관세 면제를 놓고 미 통상당국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루트닉 미 상무장관은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브라질의 2025/26년 작황 수확이 90% 완료되면서 공급 압박도 존재한다. 사프라스앤메르카두(Safras & Mercado)에 따르면 7월 30일 기준 로부스타는 98%, 아라비카는 85% 수확이 끝났다. 브라질 최대 커피 협동조합 코옥수페(Cooxupe)는 회원 농가 기준 7월 25일 현재 수확률이 67%라고 전했다.
최근 3개월간 커피 가격은 풍부한 공급 전망을 반영하며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지난달 아라비카는 8개월 최저, 로부스타는 1년 3개월 만의 최저 근월물 가격을 기록했다. 미 농무부 해외농업국(USDA-FAS)은 6월 25일 브라질 2025/26 시즌 생산량을 전년 대비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 생산량을 6.9% 증가한 3,100만 포대로 추정했다.
브라질의 6월 녹색커피 수출은 세카페 집계 기준 전년 대비 31% 감소한 230만 포대였다. 아라비카는 27%, 로부스타는 42% 줄었다. 반면 동남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인 베트남은 가뭄으로 2023/24 생산량이 20% 감소했음에도, 2025년 1~6월 수출이 4.1% 증가한 94만3,000톤을 기록했다는 베트남 통계총국 발표가 있었다.
USDA가 6월 25일 발표한 글로벌 커피 전망은 다소 약세적이다. 2025/26 시즌 세계 생산량은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 재고는 4.9% 늘어난 2,281만 포대로 예상됐다. 아라비카는 1.7% 감소하지만 로부스타는 7.9% 늘어나는 구조다.
기술적·기후적 리스크: 전문가 시각
전문가들은 라니냐 가능성, 남미 가뭄 지속 여부, 헤알화 변동성, 그리고 헤지펀드 포지션을 향후 가격 결정의 핵심 변수로 꼽는다. 특히 민감한 시기인 개화기(9~10월)에 강우가 부족할 경우 2026/27 작황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 반대로, 브라질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헤알 약세를 유발할 경우, 수출 증가와 가격 하락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한편 아라비카·로부스타 차익거래 전략을 운용하는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은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에 주목한다. 최근 로부스타 재고 급증에도 불구하고 숏 포지션 과잉으로 인해 가격이 단기간 급등할 수 있는 만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졌다는 지적이다.
커피 선물시장에 익숙하지 않은 투자자라면, 먼저 컨탱고·백워데이션, 증거금(Margin), 롤오버 비용 등 파생상품 특유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 계약 단위(아라비카 37,500파운드, 로부스타 10톤)와 가격 호가 방식(센트/파운드 vs 달러/톤), 그리고 ICE 선물 품질 규격을 숙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ETF·ETN을 통한 간접투자 시에도 기초자산 선물 만기 구조에 따른 괴리(Tracking Error)를 점검해야 한다. 실제로 일부 커피 ETN은 롤오버 손실로 인해 장기 보유 성과가 현물 지수 대비 부진했던 사례가 보고됐다.
※본 기사에 언급된 가격·지표·수치는 2025년 8월 5일 기준이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