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선물 가격이 숨 고르기 이후 다시 반등했다. 18일(현지시간) ICE 뉴욕 9월물 코코아 선물(CCU25)은 전일 대비 +6.72%(+491달러) 오른 파운드당 7,791달러에, ICE 런던 9월물 코코아 선물(CAU25)은 +5.10%(+245파운드) 상승한 톤당 5,054파운드에 각각 마감했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급등은 그동안 시장을 짓눌렀던 숏(Short) 포지션을 되돌리는 숏커버링(Short Covering)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다. 특히 북미 지역의 2분기 코코아 분쇄(그라인딩) 실적이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오며 매수세에 불을 지폈다.
북미 2분기 코코아 분쇄량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101,865톤으로 집계됐다. 유럽(-7.2%·331,762톤), 아시아(-16.3%·176,644톤)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선방한 수치다.
시장에서는 최소 -5% 이상의 감소를 점쳤으나 실제 감소폭이 절반 수준에 그치면서 ‘수요 둔화’ 우려가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펀드의 과도한 공매도, 반등의 도화선
ICE 선물거래소가 15일 발표한 주간 포지션 보고서에 따르면, 런던 코코아 선물에 대한 커머디티 펀드의 순매도(숏) 잔량은 6,361계약으로 2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1 즉, ‘포지션이 한쪽으로 기울어 있었다’는 점이 반등의 불씨가 된 셈이다. 가격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공매도 세력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선물을 되사야 하고, 이 과정에서 상승 압력이 배가된다.
다만 이번 주 초까지만 해도 분위기는 정반대였다. 뉴욕 선물은 8개월, 런던 선물은 17개월 만의 최저치로 밀렸다. 그 배경에는 글로벌 수요 부진과 주요 산지 호우·적정 기온 등 우호적 기상이라는 이중 악재가 자리했다.
수요 불안 요인…여전히 존재
스위스 기반 글로벌 초콜릿 기업 바리칼리바우트(Barry Callebaut AG)는 고가의 원료 부담을 이유로 3개월 만에 또다시 연간 판매량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다. 3~5월 분기 판매량은 -9.5% 감소해 10년 만에 최대폭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는 향후 코코아 원두 수요에도 부정적인 시그널로 해석된다.
또 하나의 약세 변수는 재고다. ICE가 모니터링한 미국 항만 보관 코코아 재고는 6월 18일 236만 3,861자루로 10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었다. 19일 기준으로 소폭 줄었지만 재고 부담은 여전히 유효하다.
공급 측면: 가나·코트디부아르·중앙서부 아프리카 동향
가나 코코아위원회는 2025/26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8.3% 증가한 65만 톤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가나 생산이 늘면, 세계 1위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와 합산 공급량이 크게 확대된다.
다만 코트디부아르의 미드 크롭(mid-crop·4~9월 수확) 품질 저하가 변수로 꼽힌다. 현지 가공업체들은 트럭 한 대당 5~6%의 원두를 ‘불량’으로 분류해 되돌려보내고 있다. 주로 늦은 우기로 인한 생육 부진과 곰팡이 감염 확대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제 코코아기구(ICCO) 전망
ICCO는 5월 말 2023/24년 세계 코코아 공급부족 규모를 -49만4,000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60년 만의 최대치다. 같은 기간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1% 급감해 438만 톤에 그친 반면, 재고/소비(분쇄) 비율은 27.0%로 46년 만의 최저치에 머물렀다.
흥미롭게도 ICCO는 2024/25년에는 14만2,000톤의 흑자를 예상한다. 이후 2025/26 시즌부터 가나·코트디부아르·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생산 회복세가 본격화할 경우, 시장 균형은 빠르게 정상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품질 이슈와 병충해, 기후 리스크 등 변수가 많아 공급 전망은 여전히 유동적이다.
시장 전문가 시각
국내 원자재 리서치사 관계자는 “북미 분쇄량이 ‘마지노선’을 지켰다는 점은 투자심리 회복에 기여했으나, 절대 물량 자체는 여전히 전년 대비 감소 구간”이라며 “단기 기술적 반등을 장기 추세 반전으로 보기는 이르다”고 진단했다.
숏커버링은 단기적 매수 압력일 뿐, 소비가 실질적으로 되살아나지 않으면 되돌림 역시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트레이더들은 아시아·유럽의 3분기 분쇄 동향과, 서아프리카 우기 이후 작황 보고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용어 설명
분쇄(Grindings)란 코코아 원두를 걸러내 가루·버터·케이크 등 반제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지표는 실수요(초콜릿·음료·제과 제조사)의 즉각적인 원료 수요를 보여주기 때문에 ‘코코아 산업의 PMI’로 불리기도 한다.
숏커버링(Short Covering)은 가격 하락에 베팅했던 투자자가 손실을 막거나 이익을 확정하기 위해 해당 상품을 되사는 행위를 뜻한다. 매도세가 많을수록, 가격이 오를 때 매수 압력이 한꺼번에 몰려 변동성이 커지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