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디펜스 파업 조합원, 회사가 거부한 노조 제안 계약안 90% 찬성

미국 방산 업계 보잉 디펜스(Boeing Defense)에서 파업 중인 기계·항공기 조립 기사(Machinist)들이 노조 지도부가 제시한 4년짜리 단체협약안을 90%의 압도적 찬성으로 승인했다. 국제기계항공노동조합(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chinists and Aerospace Workers, IAM)은 20일(현지시간) 이 같은 투표 결과를 발표하며, 회사가 해당 안을 수용하면 46일째 이어지고 있는 파업을 즉시 종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5년 9월 19일, 로이터(Reuters) 보도에 따르면, IAM 디스트릭트 837 지부 토머스 뵐링(Tom Boelling) 회장은 “우리 조합원들은 분명히 의사를 밝혔다. 보잉이 이 협약을 받아들이는 즉시 현장에 복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보잉 디펜스 부사장 댄 길리언(Dan Gillian)은 “노조 지도부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조건을 놓고 조합원들에게 투표를 강행한 점이 유감”이라며
“회사 측이 이미 제안한 20% 임금 인상과 휴가 확대 이상의 비용 부담은 받아들일 수 없다”
고 반박했다.


IAM 측 계산에 따르면 이번 노조 제안안은 보잉에 연평균 약 4,000만 달러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는 회사가 이전에 제시한 3,000만 달러 규모 제안보다 1,000만 달러 증가한 수준이다.

주목

보잉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지역 시설에서 탄약·전투기·기타 군용 항공기를 조립하기 위해 대체 인력을 채용하겠다는 방침을 이미 밝힌 상태다. 실제로 회사는 비노조 인력을 투입해 생산 차질을 완화해 왔지만, 경영진은 여러 프로그램 일정이 지연되고 있음을 인정했다.

노조안 핵심 내용
ㆍ회사 제안보다 큰 비준 보너스(ratification bonus)
ㆍ퇴직연금(401(k) 등)에 대한 회사 기여금 상향
ㆍ상위 호봉(시간당 최고 임금) 근로자 임금 인상폭 확대
이는 지난해 워싱턴·오리건주 상업용 항공기 공장에서 IAM 751지부가 쟁취한 조건과 동일한 수준이다.

IAM 지도부는 지난 9월 12일, 약 3,200명의 조합원이 회사 제안을 57% 반대로 부결한 뒤에도 보잉이 추가 협상에 나서지 않는다며 이번 일방적 계약안 제시 전략을 택했다. IAM 관계자 조너선 바탈리아는 “이 방법으로 파업을 끝낸 전례가 있다”고 로이터에 설명했다.

정치권 압박
미 의회 노동 코커스 소속 민주당 공동의장 5인은 18일 서한을 보내 보잉에 협상 재개를 촉구했다. 미주리주 공화당 상원의원 조시 홀리(Josh Hawley) 역시 지역 방송 미주리넷(Missourinet)에 출연해 “경영진은 막대한 보수를 챙기며 현장 노동자를 홀대했다”며 “회사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생산 현장의 기술자·엔지니어들을 존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목

이번 파업은 8월 4일, 조합원이 회사의 두 번째 제안을 부결하면서 시작됐다. 보잉 CEO 켈리 오트버그(Kelly Ortberg)는 7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지난해 33,000명의 IAM 751지부 파업 때와 달리 재무적 영향은 훨씬 작을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관리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설명: IAM은 북미 최대 기계·항공 우주 분야 노조로, 항공기 제조사·항공사·방산 업체 노동자 약 60만 명이 가입해 있다. 디스트릭트 837은 미주리·일리노이 등에 있는 보잉 방산 공장을 대표한다.

산업적·재무적 함의
보잉은 차세대 공군 전투기 F-47 생산과 미 해군 차세대 전투기 F/A-XX 수주전에 대비해 세인트루이스 지역 공장·엔지니어링 설비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한 상태다. 현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생산 일정 차질이 수주 경쟁력 및 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자 해설
노조가 제안안을 단독으로 투표에 부친 것은 미국 노동계에서 보기 드문 ‘최후통첩 전략’이다. 보잉이 추가 비용을 이유로 거절 의사를 고수할 경우, 대체 인력 투입 현실화와 함께 노사 갈등이 한층 격화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미 의회와 방위 당국의 정치적 압박, 차세대 전투기 프로그램 일정 등을 감안하면 양측이 연내 타협점을 찾을 여지도 남아 있다는 것이 현지 산업계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