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 베스 해맥(Beth Hammack)이 지속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추가 금리 인하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다. 해맥 총재는 목요일 연설에서 현재 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다며, 정책은 이에 맞서 경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다.
2025년 11월 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해맥 총재는 뉴욕 경제 클럽(Economic Club of New York)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다.
“저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며, 정책은 이에 맞서 기울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는 현재의 통화정책이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거의 억제적(barely restrictive)이지 않다”고 평가하면서, “현 시점에서 통화정책이 더 많은 조치를 해야 한다고 보기는 명확하지 않다”고 덧붙였다다.
해맥 총재는 지난주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25bp) 인하해 3.75%-4.00% 범위로 낮춘 결정에 반대했다고 밝혔다다. 다수의 연준 정책입안자들이 고용시장 약화 가능성을 우려하는 가운데, 해맥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의 2% 목표를 여전히 상회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다.
그는 올해 말 인플레이션이 3%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으며, 2026년까지 높은 수준이 이어진 뒤 점진적으로 목표에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다. 이는 연준의 물가목표 초과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결과적으로 목표 초과 기간이 10년에 이를 수 있다는 함의를 담고 있다다.
고용과 관련해 해맥 총재는 일부 노동시장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비교적 긍정적인 견해를 유지했다다. 그는
“노동시장이 둔화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몇 달간 실업률이 소폭 상승해 올해 말에는 장기균형 수준을 약간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노동시장 경기침체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높은 확률을 두지 않는다.”
고 말했다다.
또한 해맥 총재는 최근 주가 상승과 신용여건의 용이함을 반영해 금융여건이 “상당히 완화적(Quite accommodative)”이라고 평가했다다. 이러한 환경은 내년 경제성장에 보탬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다.
핵심 포인트 정리
– 추가 금리 인하 반대: 인플레이션이 높아 정책은 이에 맞서야 한다는 입장이다다.
– 정책 스탠스 평가: 현 통화정책은 “거의 억제적이지 않다”고 진단했다다.
– 최근 결정에 반대: 연준의 3.75%-4.00% 범위 인하(25bp)에 반대표를 표했다다.
– 물가 전망: 연말 3%, 2026년까지 높은 수준 지속 후 점진적 복귀를 예상했다다.
– 고용 전망: 실업률은 단기적으로 소폭 상승하되, 노동시장 침체 확률은 낮게 봤다다.
– 금융여건: 완화적 상태가 내년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봤다다.
맥락과 해석
정책 신호: 해맥 총재의 발언은 연준 내부에서 인플레이션 경계 기조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다. 시장 일부가 고용 둔화를 근거로 추가 인하를 기대하는 가운데, 그는 물가 목표(2%)의 신뢰성을 우선시하며 완화 사이클의 속도 조절을 주문했다다. 이는 향후 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며, 데이터 의존적 접근이 강화될 가능성을 내포한다다.
물가 경로의 함의: 연말 3% 전망과 2026년까지의 고물가 지속 언급은, 목표 상회 기간의 장기화를 시사한다다. 이는 실질금리와 정책중립금리 추정에 대한 논쟁을 자극할 수 있으며, 통화정책이 “더 오래 제약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다.
금융여건과 성장: 해맥 총재가 지목한 완화적 금융여건(주가 상승, 신용공급 용이)은 통화정책의 실물 파급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다. 이는 단기 성장에는 우호적이지만, 물가 안정을 위한 긴축 효과를 상쇄해 추가 인하 필요성을 낮출 근거가 될 수 있다다.
용어 설명
– 억제적(restrictive) 통화정책: 경기와 물가를 누르는 방향의 정책 기조를 뜻한다다. 금리 수준이 경제의 중립 수준을 웃돌 때, 총수요를 둔화시키는 효과가 나타난다다.
– 완화적(accommodative) 금융여건: 주가 상승, 신용 스프레드 축소, 대출 접근성 개선 등으로 기업·가계의 자금조달이 용이한 상태를 의미한다다.
– 25bp(0.25%p) 인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는 결정을 뜻한다다. 기사에서 언급된 연방기금금리 목표범위는 3.75%-4.00%다다.
– 장기균형 실업률: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는 자연실업률 개념으로, 실업률이 이 수준을 크게 하회하면 물가 압력이 커질 수 있다다.
인용 원문 하이라이트
“저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며, 정책은 이에 맞서 기울어져야 한다.”
“현재 통화정책은 거의 억제적이지 않다고 본다. 지금 더 할 것이 명확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노동시장 둔화를 감안할 때 실업률은 향후 소폭 상승하겠지만, 노동시장 침체 가능성은 높게 보지 않는다.”
“금융여건은 최근 주가 상승과 용이한 신용을 반영해 상당히 완화적이며, 이는 내년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