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기업 분석] PAYPAL HOLDINGS INC(PYPL)
글로벌 투자 리서치 업체 밸리디아(Validea)가 공개한 ‘구루 펀더멘털 보고서’에 따르면, 페이팔 홀딩스(PayPal Holdings Inc.·종목코드 PYPL)는 밸리디아가 추종하는 22가지 ‘구루 전략’ 가운데 토비아스 칼라일(Tobias Carlisle)의 ‘어콰이어러스 멀티플(Acquirer’s Multiple)’ 전략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해당 전략은 인수·합병(M&A) 대상으로 매력적인 ‘저평가 종목’을 찾는 딥 밸류(Deep Value) 투자 모델이다.
2025년 8월 1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밸리디아는 PYPL을 ‘대형 성장주(large-cap growth)’로 분류했으며, 소프트웨어·프로그래밍 업종 내에서 총점 68%를 부여했다. 밸리디아는 “80% 이상이면 투자 관심 대상, 90% 이상이면 강력 매수 후보”라는 자체 기준을 제시하지만, PYPL의 이번 점수는 해당 전략 관점에서 ‘보통 이상’ 수준으로 평가된다.
■ 전략별 세부 평가*
밸리디아가 공개한 요약 표에 따르면, PYPL은 SECTOR(업종)와 QUALITY(품질) 항목에서 ‘PASS’를 받았으나, 핵심 지표인 Acquirer’s Multiple 항목에서는 ‘FAIL’로 기록됐다. 밸리디아는 “모든 항목이 동일 가중치를 갖는 것은 아니며, 세부 기준 간에는 상호 의존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어콰이어러스 멀티플’은 시가총액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제외한 기업가치(EV)를 과거 12개월(직전 4분기) 영업이익(EBIT)으로 나눈 값이다. 숫자가 낮을수록 잠재적 인수자 관점에서 저렴하다는 의미다. 일반적으로 EV/EBIT가 낮은 기업은 ‘적정 가치 대비 할인된 기업’ 또는 ‘현금흐름이 견조한 인수 후보’로 간주된다.
■ 토비아스 칼라일은 누구인가
“거부(億萬長者)들이 선택한 딥 밸류 전략”
호주 출신 투자전략가 토비아스 칼라일은 딥 밸류 및 행동주의 투자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The Acquirer’s Multiple: How the Billionaire Contrarians of Deep Value Beat the Market』와 『Deep Value: Why Activist Investors and Other Contrarians Battle for Control of Losing Corporations』의 저자로, 행동주의 헤지펀드 애널리스트·M&A 전문 변호사 경력을 갖고 있다. 현재는 ‘어콰이어러스 펀즈(Acquirers Funds)’를 설립해 동일 전략을 ETF·펀드로 운용하고 있다.
■ 추가 리서치 자료
밸리디아는 PYPL에 대해 ‘구루 분석(Guru Analysis)’과 ‘펀더멘털 분석(Factor Report)’ 원문을 별도로 제공했다. 또한 나스닥 100, 기술주, 대형 성장주, 고모멘텀주, 고지분 보유주 등 다양한 모델 포트폴리오 링크를 함께 제시했다.
■ 밸리디아(Validea) 소개
밸리디아는 워런 버핏·벤저민 그레이엄·피터 린치·마틴 츠바이크 등 ‘월가 전설’로 불리는 투자 고수들의 공식 전략을 계량화해 모델 포트폴리오와 종목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구독 기반 리서치 플랫폼으로, 개별 종목 점수와 포트폴리오 추적 기능을 통해 장기적 초과수익 가능성을 탐색한다.
■ 용어 해설
• 딥 밸류(Deep Value) — 내재 가치 대비 극단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해 장기 보유하거나, 행동주의 전략으로 기업 가치를 끌어올려 차익을 실현하는 접근법이다.
• EV/EBIT — 기업 인수 시 실제 지불해야 할 가치(EV)를 영업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PER보다 부채·현금을 동시에 반영해 인수 관점의 ‘가격’을 평가할 수 있다.
• 구루 전략(Guru Strategy) — 시장을 장기적으로 능가한 유명 투자자의 투자 철학과 룰을 정량화한 모델이다.
■ 면책 조항
“본 문서에 제시된 견해와 의견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라는 원문 고지를 함께 인용한다.
*표기: 밸리디아가 제시한 ‘PASS/FAIL’ 결과표는 전략별 핵심 지표 충족 여부를 요약한 것으로, 모든 항목이 동일 가중치를 갖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