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클레이스 “영국 주식 낙관론 되살아나…프랑스 자산은 정치 리스크에 압박”

바클레이스(Barclays)가 영국 국내 지표 개선과 영란은행(BoE)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근거로 “영국 주식시장에 다시 낙관론이 번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프랑스의 경우 2026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反(반)기업 정서’가 고조되며 자산가격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2025년 10월 3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바클레이스 전략가 에마뉘엘 코(Emmanuel Cau) 팀은 최근 보고서에서 “11월은 이벤트가 집중된 달인 만큼, 영국 내수주가 단기적으로 위험 대비 수익(risk-reward) 측면에서 매력적”이라고 진단했다.

■ 지표 개선에 힘입은 영국 증시 흐름

주목

대표 지수인 FTSE 100는 올해 들어 19% 상승해 유로스톡스50(Euro Stoxx 50)과 S&P 500을 현지통화 기준으로 모두 앞질렀다. 다만 내수 비중이 큰 FTSE 250은 같은 기간 8% 상승에 그치며 투자자들의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줬다.

바클레이스는 구매관리자지수(PMI)·소매판매 호조와 물가 둔화가 맞물리면서 영국 국채금리(길트 수익률)가 최근 2주간 약 32bp(0.32%p)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영란은행 통화정책위원회(MPC)가 11월 회의에서 기습적인 25bp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 — 바클레이스 전략팀

시장에서는 해당 시나리오가 23%만 반영돼 있어, 실제 인하가 이뤄질 경우 채권 대체주(bond-proxy)와 내수주에 단기 모멘텀이 형성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11월 26일 예산안…재정 신뢰가 관건

주목

바클레이스 이코노미스트들은 제러미 헌트(Chancellor Jeremy Hunt) 재무장관이 2029/30 회계연도까지 약 400억 파운드를 추가로 재정 건전화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이전 추정치 265억 파운드보다 늘어난 규모다.

전략가들은 “경제 성장 둔화와 2026년 이후 약한 인플레이션이라는 잠재 리스크 속에서도, 정부는 재정 신뢰(fiscal credibility)를 최우선시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를 자극하지 않는 범위에서 세율을 높여서라도 재정목표를 지키려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브렉시트 이후 구조적 과제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전략가들은 예산안이 긍정적 ‘깜짝’ 요소를 제공할 경우 내수·채권 대체주에 전술적(tactical) 매수 기회가 조성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프랑스: 反기업 정서로 번지는 ‘세금 급등’ 논쟁

프랑스에서는 2026년 예산안 논의가 극우·극좌 연합의 ‘친(親)노동·反기업’ 기조 속에 ‘정치 전쟁터’로 변모했다. 바클레이스는 “대기업에 대한 추가 부담이 현실화되면 프랑스 자산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2027년 대선까지 높게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요 세제 변경안*(안)은 다음과 같다.

법인세 할증 유지로 대기업 실효세율이 33.825%까지 상향
② IT·플랫폼 기업 대상 특별부과금을 기존 3%에서 6%로 인상
자사주 매입에 대한 세율을 8%→33%로 ‘네 배’ 인상
④ 고배당 기업에 누진 ‘슈퍼디비던드’ 세 부과

바클레이스는 “상원에서 일부 완화되더라도,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레토릭이 이어지는 한 변동성은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 용어 브리핑

FTSE 100·250 : 영국 런던증권거래소(LSE)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100개·250개 종목으로 구성된 ‘대표 주가지수’다. 구성 종목 비중 차이로 FTSE 100은 다국적 기업, FTSE 250은 내수기업의 비중이 크다.

길트(Gilt) 수익률 : 영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의 금리다. 시장에서는 경기·물가·통화정책 기대를 반영하는 지표로 본다.

채권 대체주(bond-proxy) : 안정적 현금흐름과 고배당을 제공해 ‘주식형 채권’으로 분류되는 기업(유틸리티, 통신 등)이다.


■ 기자 시각

영국은 “낮은 기대치”가 자산가격에 이미 반영돼 있다는 점에서, 소폭의 정책·지표 개선만으로도 주가가 탄력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프랑스는 과세 불확실성이 2027년 대선까지 지속될 공산이 커, 구조적인 디스카운트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 투자자는 영·프 간 정책 모멘텀 차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