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발 조디 고도이 기자 –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7개 주 정부가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Live Nation Entertainment)와 그 티켓 판매 자회사 티켓매스터(Ticketmaster)를 상대로 공동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티켓 브로커들이 아티스트나 공연장이 정한 구매 한도를 위반하도록 사실상 방치해, 소비자들에게 과도한 가격 부담을 안겼다고 주장한다.
2025년 9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FTC는 티켓매스터가 전체 대형 공연장의 1차 티켓 유통의 약 80%를 장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FTC는 특히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브로커들을 통해 발생한 재판매 수수료만 37억 달러(약 4조 9,000억 원)에 달했다고 밝히며, 이는 회사가 ‘암묵적 승인’(tacit approval)으로 막대한 부당 이익을 챙긴 결과라고 강조했다.
FTC 성명 “트럼프·밴스 체제의 FTC는 팬들이 정가에 가까운 가격으로 티켓을 살 기회를 되찾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소송은 그 방향으로 가는 중대한 이정표다.” – 앤드루 퍼거슨 FTC 위원장
이번 소송에는 콜로라도·플로리다·일리노이·네브래스카·테네시·유타·버지니아 등 7개 주가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공동 원고로 참여했다. 각 주 검찰총장은 티켓매스터의 ‘드립 요금제’(hidden fees) 관행과 구매한도 위반 방조가 해당 주 소비자 보호법을 정면으로 침해한다고 밝혔다.
● 주요 쟁점 – ‘브로커’와 ‘티켓 바가지’ 구조
‘티켓 브로커’란 전문 소프트웨어(봇)를 이용해 티켓을 대량 매수한 뒤, 이를 2차 시장에서 웃돈을 붙여 되파는 중개상을 의미한다. 미국 내에서는 재판매가 합법이지만, 아티스트나 공연장은 일반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1인당 구매 매수 제한 또는 IP 차단 기능을 둔다. FTC는 티켓매스터가 이 같은 제한 조치를 형식적으로만 적용해왔다고 지적한다.
또 다른 문제는 ‘총액 미표시’다. 티켓매스터는 결제 단계 직전까지 각종 수수료를 숨겨왔고, 이는 소비자의 체감 가격을 높여 ‘가격 투명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FTC는 이를 연방 소비자 보호법(Consumer Protection Act) 위반 사례로 분류했다.
● 시장 반응과 주가
소송 소식이 전해진 직후 라이브 네이션 주가는 장중 한때 2.3% 하락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소송 장기화 시 부과될 잠재적 벌금·시정 명령이 회사 실적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만, 브로커 기반 매출 비중이 큰 만큼 실질적 구조개편이 이뤄질 경우 플랫폼 경쟁 구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 추가 배경 및 용어 해설
FTC(Federal Trade Commission)는 미국 연방 차원의 경쟁·소비자 보호 감시 기구다. 반독점 규제, 허위·과장 광고 감시, 개인정보 보호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드립 요금제는 결제 과정에서 뒤늦게 각종 수수료를 ‘흘리듯’ 추가 부과해 최종 가격을 부풀리는 온라인 상거래 관행을 지칭한다. 최근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항공권·호텔·콘서트 예매 등 전 분야에서 이를 근절하기 위한 ‘정가 표시 법안’(All-In Pricing Bill)을 추진 중이다.
● 전망 및 시사점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미국 티켓 산업의 독과점 구조와 소비자 권익을 동시에 조명했다는 점에서 향후 규제 프레임을 결정짓는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본다. 만약 법원이 FTC의 손을 들어줄 경우, 티켓매스터는 브로커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고 수수료 구조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 이는 가격 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수익성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반면, 기업 측은 “브로커 단속을 위한 기술적·법적 노력을 지속해왔다”는 입장이지만, 이번 소송에서 이른 시일 내 반박 자료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티켓 리셀링 시장에 대한 별도 입법 논의가 촉발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아티스트와 공연 제작사들은 팬 커뮤니티 보호와 수익 극대화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최근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에라스 투어’ 논란^1^도 같은 맥락이다. FTC와 주 정부가 승소할 경우, 향후 글로벌 티켓 플랫폼 역시 비슷한 기준을 적용받을 여지가 크다.
^1 2022년 말 티켓매스터 서버 폭주로 예매가 중단되며 소비자 불만이 폭발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