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 앞에서 2025년 11월 12일, 제프리 엡스타인 사건 문서 공개를 촉구하는 시위자가 손팻말을 들고 서 있다. 이 장면은 Saul Loeb | AFP | Getty Images가 촬영했다. 해당 시위는 하원 내 문서 공개 압박이 고조되는 가운데 진행돼 정치권의 투명성 요구가 거리의 목소리로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5년 11월 12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 하원에서 이른바 ‘제프리 엡스타인 문서’ 공개를 위한 표결을 강제하는 청원이 이날 최종 필요 서명을 확보했다. 아리조나주 민주당 소속 아델리타 그리할바(Adelita Grijalva) 하원의원이 선서 후 곧바로 218번째 서명을 제공하면서 표결 강제 요건이 충족됐다고 알려졌다. 그리할바 의원의 취임은 약 7주 지연 끝에 이루어졌으며, 그의 서명으로 청원은 하원 절차상 본회의 동의를 강제로 구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다.
하원 청원의 핵심 요건은 과반인 218명의 동의 확보다. 이번에 218번째 서명이 추가되면서 문서 공개 여부를 묻는 표결을 강제로 올릴 수 있는 제도적 조건이 채워졌다. 이는 하원 지도부가 의사일정에 올리지 않는 안건도, 과반서명이라는 정량적 기준이 충족될 경우 본회의 표결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수개월간 엡스타인 관련 수사 문서를 공개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엡스타인은 2019년 미성년자 대상 성매매 혐의로 체포된 뒤 자살했으며, 그 전력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바 있다. 그는 한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사이였으나, 2000년대 초 갈등을 겪고 결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하원 민주당은 소환장(subpoena)을 통해 엡스타인 유산 관리인 측에서 확보한 2만 건이 넘는 문서를 공개했다. 해당 문서에는 엡스타인이 트럼프에 관해 언급한 이메일 및 문자 메시지가 포함돼 있다. 소환장(subpoena)은 사법·의회 절차에서 문서 제출이나 증언을 강제하는 법적 명령을 뜻한다.

공개 문서 중에는 2018년 이메일 스레드에서 엡스타인이 “I know how dirty donald is”원문 소문자 표기라고 적은 대목이 있다. 이 이메일은 당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백악관 법률고문을 지낸 Kathryn Ruemmler에게 보내진 것으로, 그녀가 엡스타인에게 마이클 코언의 선거자금법 위반 유죄 인정 및 대통령 관련 연방 수사 협조 기사 링크를 보낸 직후 답신 형태로 작성됐다.
또 다른 2019년 4월의 별도 이메일에서 엡스타인은 저술가 마이클 울프(Michael Wolff)에게 트럼프가 “그 소녀들에 대해 알고 있었다”(“knew about the girls”)고 말했다. 다만 해당 표현의 구체적 의미는 불분명하다고 전해졌다. CNBC는 민주당이 공개한 이 문서들을 독자적으로 검증하지 않았다고 밝혀 자료의 진위 확인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 측 입장도 즉각 나왔다. 트럼프는 과거 엡스타인의 미성년자·젊은 여성에 대한 성적 학대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부인해 왔으며, 엡스타인 관련 사건에서 어떠한 위법 혐의로도 기소된 적이 없다고 강조돼 왔다.
트럼프는 이어 자신의 트루스 소셜(Truth Social) 계정에 글을 올려 민주당이 미 연방정부 셧다운의 비용 문제를 덮기 위해 엡스타인 문서를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민주당은 셧다운에서 얼마나 형편없는 성과를 냈는지에 대한 책임 회피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하겠기에, 제프리 엡스타인 ‘사기극(Hoax)’을 다시 들먹이려 한다.”
“그 함정에 빠질 공화당원은 매우 나쁘거나, 멍청하다.”
“민주당은 최근 우리의 나라를 잔혹하게 닫는 행태를 벌여 1조5천억 달러의 비용을 초래했고, 많은 사람을 위험에 처하게 했다 —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
“엡스타인이나 그 밖의 어떤 것에도 주의를 분산시키지 말아야 하며, 관련된 공화당원들이 있다면 우리나라를 다시 열고, 민주당이 초래한 막대한 피해를 바로잡는 데만 집중해야 한다!”
핵심 쟁점과 맥락
이번 사안의 핵심은 문서 공개를 위한 하원 내 강제 표결 절차가 공식적으로 요건을 충족했다는 점이다. 218번째 서명의 확보는 하원 다수의사 반영 기준을 충족해, 의사일정에 오르지 못하던 사안을 본회의로 끌어올릴 수 있게 하는 절차적 전기가 된다. 여기에는 하원 지도부 판단과 무관하게 표결의 장에 올리는 것 자체에 의미가 있다는 정치적 해석이 뒤따른다. 다만, 공개될 문서의 범위·형태·시점, 그리고 공개 후 추가 조치 여부 등은 여전히 절차 진행 과정에서 가려질 사안이다.
또한 민주당이 공개한 2만여 건의 자료는 이메일·문자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도널드 트럼프를 직접 언급하는 기록이 일부 존재하지만, 그 맥락과 사실관계는 향후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CNBC가 독자 검증을 아직 수행하지 않았음을 밝힌 점은, 이 문서들이 추가 확인 전까지는 정치적 공방의 소재이면서 동시에 언론 검증의 대상임을 시사한다.
용어와 절차 설명
표결 강제 청원은 하원 내에서 특정 안건을 본회의에 강제로 상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절차를 총칭하는 표현으로, 이번 기사에서 언급된 것처럼 과반(218명)의 서명이 필요하다. 소환장(subpoena)은 자료 제출 또는 증언을 강제하는 법적 명령으로, 의회가 감독·조사 기능을 행사할 때 빈번히 사용된다. 본 사안에서도 하원 민주당은 소환장을 통해 엡스타인 유산 측으로부터 문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배경 인물
제프리 엡스타인은 2019년 아동 성매매 관련 혐의로 체포된 뒤 구치소에서 자살했으며, 그 이전에도 성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인물이다. 엡스타인과 트럼프는 한때 가까운 사이였으나 2000년대 초 갈라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사에 언급된 Kathryn Ruemmler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재임기의 백악관 법률고문을 지냈고, 마이클 코언은 트럼프의 전 개인 변호사로 선거자금법 위반을 인정하고 대통령 관련 연방 수사에 협조하기로 합의했던 인물이다. 또한 마이클 울프는 미 정계와 백악관 관련 저술로 알려진 작가다.
현재 상황과 다음 단계
하원 청원이 218명의 서명을 확보함에 따라, 엡스타인 수사 관련 문서의 공개 여부를 둘러싼 의회 내 절차는 보다 가시화될 전망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이 셧다운 책임에서 시선을 돌리려 한다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박했다. 현재까지 CNBC의 독자적 검증은 진행되지 않았으며, 민주당 측이 공개한 문서들의 구체적 신빙성·맥락은 향후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관련 동향은 속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속보 안내: 본 건은 진행 중인 사안이다. 추가 업데이트가 제공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