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반도체·제약주 급락에 장중 상승분 반납…S&P 500·다우 2주 최저

뉴욕증시가 31일(현지시간) 장 초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하락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0.3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74% 떨어지며 2주 만의 최저치로 밀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도 -0.55% 하락했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43%,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60% 각각 내려 투자 심리 위축을 반영했다. 특히 반도체 설계업체 ARM 홀딩스(ARM)가 2분기 실적 전망을 하향하면서 주가가 하루 만에 13% 넘게 폭락, 동종 업종 전반에 매도세를 촉발했다.

S&P 500 차트

제약주도 동반 조정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7개 제약사에 약가 인하를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브리스톨마이어스(-5%↓), 머크(-4%↓), 일라이 릴리(-3%↓)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 장 초반 기록적 고점…그러나 매도 전환
장 시작 직후만 해도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메타플랫폼스(META)가 AI 투자 확대 및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 덕분에 S&P 500과 나스닥100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오후로 접어들며 차익 실현 매물과 ARM 쇼크, 제약 규제 우려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면서 지수는 급격히 반락했다.

“AI 투자는 지속된다” —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경영진은 이번 실적 발표에서 클라우드·AI 인프라 지출을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15% 관세를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며, 대만·태국·캄보디아와도 유사한 협정이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이미 높은 관세 불확실성에 놓인 글로벌 공급망에 추가 부담을 줬다.


■ 거시 지표: 고용은 견조, 물가는 끈질겨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만 8천 건으로 전주 대비 1천 건 증가했으나 시장 예상(22만 4천 건)에는 미치지 않아 노동시장 탄탄을 재확인했다. 또한 6월 개인소득은 전월 대비 0.3% 늘어 예상을 넘어섰지만, 소비지출 증가율은 0.3%에 그쳐 기대(0.4%)를 밑돌았다.

연준(Fed)이 선호하는 근원 PCE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올라 시장 전망(2.7%)을 상회했다. 같은 달 고용비용지수(ECI)도 0.9% 상승해 임금발 인플레이션 압력을 시사했다. 시카고 PMI는 47.1로 넉 달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기준선(50) 아래에 머물렀다.

근원 PCE란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지수에서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수치를 말하며, 연준이 물가 추세를 판단할 때 가장 중시하는 지표다.


■ 채권·금리 동향

9월물 미국 10년물 국채선물 가격은 2틱 상승했고, 10년물 금리는 4.365%로 0.6bp 하락했다. 영국 길트채 강세, 인플레이션 기대 하락(10년 BEI 2.381%)과 함께 월말 듀레이션 조정 수요가 매수세를 뒷받침했다. 다만 고용비용·PCE 지표가 예상보다 강해지며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는 약화됐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금리는 -1bp, 영국 10년물은 3.5bp 떨어졌다. 독일 7월 CPI는 10개월 만에 최저인 1.8% y/y로 둔화돼 물가안정 기대를 키웠다.


■ 개별 종목 열전

반도체 — ARM(-13.4%)의 실적 가이던스 쇼크로 글로벌파운드리즈(GFS -5%), 마이크론(MU -4%),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4%), 텍사스인스트루먼츠(TXN -4%) 등이 일제히 급락했다.

제약 — 트럼프발 약가 인하 압박에 BMY(-5%), MRK(-4%), LLY(-3%), PFE·AMGN·GILD·VRTX(-2% 이상)까지 동반 약세를 보였다.

실적 부진 — 어라인테크놀로지(ALGN -36%), 백스터(BAX -22%), 인터내셔널페이퍼(IP -12%), 퀄컴(QCOM -7%), 라므리서치(LRCX -4%)가 예·실적 쇼크로 주가가 폭락했다.

호재주 — 메타플랫폼스(+11%), 이베이(+18%), CH 로빈슨(+18%), 카르바나(+17%), 웨스턴디지털(+10%), 노르웨이지안크루즈라인(+9%), 헌팅턴잉걸스(+7%), 마이크로소프트(+3%) 등이 실적 호조로 급등했다.

한편 이번 주는 S&P 500 기업의 38%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실적 슈퍼위크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55% 이상이 실적을 공개했으며, 그중 82%가 시장 추정치를 상회했다. 2분기 S&P 500 순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4.5%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고 있다.


■ 향후 일정·전망

시장 참가자들은 8월 1일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시한과 8월 2일 발표될 7월 비농업부문 고용(예상 +10만9천 명), 실업률(예상 4.2%), 평균 시간당 임금(예상 +0.3% m/m)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 기준금리 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42%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며, 10월 회의의 인하 확률은 36%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어, 연준이 성급히 전환하기는 어렵다“며, 당분간 금리 보유 기간이 길어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한 AI 투자 열기를 확인한 빅테크 대장주가 단기 과열 구간에 접어들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론적으로, 반도체·제약주의 급격한 조정높아진 관세·물가 리스크가 뉴욕증시의 상단을 제한하고 있다는 평가다. 향후 발표될 고용·물가지표와 8월 초 관세 정책이 단기 방향성을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