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반도체 강세에 상승 마감

미국 증시고용·서비스업 지표의 예상 상회와 반도체주 강세를 발판으로 상승 마감했다. S&P 500 지수($SPX)는 +0.3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48%,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72% 올랐다. 선물시장에서 12월물 E-미니 S&P(ESZ25)는 +0.36%, 12월물 E-미니 나스닥(NQZ25)은 +0.60% 상승했다.

2025년 11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약세로 출발했던 주요 지수는 미국 경제의 견조함을 시사하는 지표에 힘입어 반등했다. 민간 고용을 보여주는 ADP 고용보고서가 예상치를 웃돌았고, ISM 비제조업(서비스) 지수는 8개월 만에 가장 빠른 확장세를 기록했다. 여기에 반도체주 전반의 강세가 더해지며 시장 전반의 위험선호가 강화됐다.

S&P 500

주목

다만 장 초반 한때 S&P 500과 나스닥 100은 1.5주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AI 인프라 관련주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uper Micro Computer)는 1분기 순매출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발표 이후 -10% 이상 급락하며 해당 섹터의 약세를 주도했다.

동시에 미국 경제지표 호조미 국채 금리가 상승해 주식에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ADP 고용과 ISM 서비스 지표 호조 이후 미 10년물 국채수익률은 4주 만의 고점인 4.159%까지 올라섰다. 장 마감 기준 10년물은 +7.0bp 상승한 4.155%를 기록했으며, T-노트(12월물)는 -14.5틱 하락했다.

재무부는 다음 주 분기 환매(refunding)에서 $1250억 규모의 중장기물(T-notes·T-bonds) 판매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과 부합하는 규모이며, 내년 한참 이후까지는 중장기물 발행을 늘릴 계획이 없고 대신 단기 국채(T-bills)에 더 의존해 예산적자를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주택 지표에서는 10월 31일로 끝난 주에 MBA 모기지 신청이 전주 대비 -1.9% 감소했다. 구입(index)은 -0.6%, 재융자(index)는 -2.8% 하락했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금리는 전주 6.30%에서 6.31%+1bp 상승했다.

주목

10월 ADP 민간고용+4만2000명 증가로, 시장 예상치(+3만 명)를 상회했다. 이는 고용시장의 점진적 완만화 기조 속에서도 민간 부문이 여전히 완만한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0월 ISM 서비스업 지수는 전월 대비 +2.4포인트 상승한 52.4로, 예상치(50.8)를 웃돌며 8개월 만의 최고 확장 속도를 보였다. 다만 가격지불지수(prices paid)는 예상 하락과 달리 +0.6포인트 오른 70.0을 기록해 3년래 최고로 치솟았다. 이는 서비스 부문의 물가 압력 재고조를 시사한다.

금리 선물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추가 -25bp 인하가 단행될 62%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지표 호조로 장기금리는 상승했지만, 단기 기대금리는 완화 기조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Nasdaq Futures

무역정책 리스크 측면에서는, 연방대법원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가 합법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로버츠 대법원장을 비롯해 고서치, 배럿 대법관은 1977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한 비상 권한 남용 여부를 문제 삼았고, 로버츠는 관세가 “미국인에 대한 세금 부과로서 의회의 핵심 권한”이라고 지적했다.

“관세는 미국인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며, 이는 전통적으로 의회의 핵심 권한이다.” —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장

연방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올해 말에서 2026년 초 사이 나올 전망이다. 하급심은 이미 상호관세를 불법으로 판단했으며, 대법원이 이를 확정할 경우 상호관세와 펜타닐 연계 관세 등으로 거둔 $800억+을 환급해야 할 수 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은 무역법 232·301·201조 등에 근거한 정합적 조항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3분기 실적 시즌은 이번 주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P 500 구성 종목 중 136개 기업이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80%의 기업이 예상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수준의 어닝 서프라이즈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3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7.2% 증가로, 최근 2년 중 가장 작은 폭의 성장에 그칠 전망이며, 매출 증가율도 2분기 +6.4%에서 3분기 +5.9%로 둔화가 예상된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6주차에 접어들며 역대 최장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각종 정부 통계 발표를 지연시키고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외증시는 엇갈렸다. 유로스톡스50은 +0.16%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 종합은 1.5주 저점에서 반등해 +0.23%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1.5주 저점으로 밀리며 -2.50% 하락했다.


금리·채권 동향

12월물 10년 T-노트(ZNZ5)는 하락 전환하며 4주 저점을 기록했고, 10년물 금리4.159%까지 올라 4주 고점을 찍었다(마감 4.155%). ADPISM이 확인한 경기 모멘텀과, 서비스 부문의 높은 물가 압력연준의 매파적 해석을 자극했다. 기대 인플레이션도 상승해, 10년물 손익분기 인플레이션율2.327%로 3.5주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럼에도 셧다운 장기화성장 둔화·고용 감소·소비 위축을 통해 연준의 추가 완화 여지를 넓힐 수 있는 채권의 하방 경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금리가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분트금리는 장중 3.5주 고점인 2.678%까지 올랐고, 마감은 +1.9bp 오른 2.673%였다.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장중 2주 고점 4.473%를 기록했고, 마감은 +3.7bp 오른 4.463%였다.

유로존 지표 측면에서는, 10월 S&P 종합 PMI 확정치가 52.5로 상향(잠정 52.2)되며 약 2.5년 만의 최고 확장을 보였다. 9월 PPI는 전월 대비 -0.1%, 전년 대비 -0.2%로 예상(0.0%, -0.2%)과 유사했다. 독일 9월 공장수주는 전월 대비 +1.1%로 예상(+0.9%)을 상회하며 5개월 만의 최대 증가를 기록했다. 시장은 ECB의 12월 18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4%로 낮게 반영하고 있다.

10Y T-Note


미 증시 섹터·종목 동향

반도체주 전반이 랠리를 이끌었다. 시게이트 테크놀로지(STX)+11% 이상,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9% 이상 상승했다. 마벨 테크놀로지(MRVL)+7% 이상, 램리서치(LRCX)웨스턴 디지털(WDC)+6% 이상 올랐다. 또한 온세미콘덕터(ON), 퀄컴(QCOM),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4% 이상, KLA(KLAC), 글로벌파운드리즈(GFS), NXP(NXPI), 아날로그디바이시스(ADI), 인텔(INTC)+3% 이상 상승했다.

루멘텀 홀딩스(LITE)는 1분기 조정 EPS가 $1.10으로 컨센서스($1.03)를 상회하고, 2분기 조정 EPS 가이던스를 $1.30~$1.50(컨센 $1.17)로 제시하며 +23% 이상 급등했다.

유니티 소프트웨어(U)는 3분기 매출이 $4.706억으로 예상($4.526억) 상회, 4분기 매출 가이던스 $4.80~$4.90억(컨센 $4.77억)을 제시하며 +18% 이상 상승했다.

토스트(TOST)는 3분기 매출 $16.3억으로 컨센서스($15.9억)를 웃돌며 +10% 이상 상승했다.

존슨 컨트롤즈 인터내셔널(JCI)은 4분기 순매출이 $64.4억으로 컨센($63.3억) 상회, 주가가 +8% 이상 상승했다.

앰젠(AMGN)은 3분기 제품매출이 $91.4억으로 컨센($85.7억)을 상회해 다우 구성 종목 중 상승 선두(+7% 이상)에 섰다.

AES 코퍼레이션(AES)은 3분기 매출 $33.5억으로 컨센($31.9억) 상회, 주가가 +6% 이상 상승했다.

캐터필러(CAT)는 가스터빈 사상 최대 백로그를 확인했으며, 데이터센터·AI 전력수요 대응을 위해 생산능력을 2배로 확대할 계획을 밝혀 주가가 +4% 이상 상승했다.

반면 지머 바이오메트(ZBH)는 3분기 순매출 $20.0억이 컨센($20.1억)을 하회하며 -15% 이상 급락, S&P 500 내 하락을 주도했다.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는 3분기 조정 EPS $1.17이 컨센 $1.51을 크게 밑돌아 -9% 이상 하락, 나스닥 100 내 약세를 이끌었다.

핀터레스트(PINS)는 4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3.1~$13.4억으로 제시해 컨센 $13.4억하단 미달을 보이며 -21% 이상 급락했다.

크라토스 디펜스(KTOS)는 4분기 매출 가이던스 $3.20~$3.30억이 컨센 $3.335억에 못 미쳐 -14% 이상 하락했다.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MCI)는 1분기 순매출 $50.2억이 컨센 $60.9억을 크게 하회해 -11% 이상 하락했다.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는 4분기 조정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 62~63%가 컨센 63.2%를 하회해 -8% 이상 하락했다.

휴마나(HUM)는 연간 EPS 전망을 $13.77 → $12.26으로 하향 조정(컨센 $14.69)하며 -5% 이상 하락했다.

Disclosure


실적 발표 예정(11/6/2025)

Air Products and Chemicals(APD), Airbnb(ABNB), Akamai(AKAM), Alliant Energy(LNT), AstraZeneca(AZN), Becton Dickinson(BDX), Block(XYZ), Camden Property Trust(CPT), ConocoPhillips(COP), Consolidated Edison(ED), Cummins(CMI), Datadog(DDOG), DuPont(DD), EOG Resources(EOG), EPAM Systems(EPAM), Evergy(EVRG), Expedia Group(EXPE), Gen Digital(GEN), Insulet(PODD), Mettler-Toledo(MTD), Microchip Technology(MCHP), Moderna(MRNA), Monster Beverage(MNST), News Corp(NWSA), NRG Energy(NRG), Parker-Hannifin(PH), Ralph Lauren(RL), Rockwell Automation(ROK), Solstice Advanced Materials(SOLS), Solventum(SOLV), Take-Two Interactive(TTWO), Tapestry(TPR), The Trade Desk(TTD), Viatris(VTRS), Vistra(VST), Warner Bros Discovery(WBD), Wynn Resorts(WYNN).


서비스 안내 — 바차트는 매일 정오 브리핑(Barchart Brief) 뉴스레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많은 구독자에게 필수 읽을거리로 소개되고 있다.

출처 고지 — 본 문서의 저자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에서 언급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한다. 바차트의 공시정책(Disclosure Policy)은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다.


용어 설명 및 투자 포인트

ADP 고용보고서: 민간 급여처리업체 ADP가 집계하는 민간부문 고용 동향 지표다. 공식 고용보고서보다는 변동성이 크지만, 고용선행 시그널로 널리 활용된다.

ISM 서비스업 지수: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조사하는 서비스(비제조) 부문 경기지수로, 50 초과면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뜻한다. Prices Paid 서브지수는 물가 압력을 가늠하는 핵심 구성요소다.

T-노트·손익분기 인플레이션율: 미 재무부 발행 중기 국채(T-노트) 가격과 금리는 역의 상관관계다. BEI(손익분기 인플레이션율)는 명목채와 물가연동채(TIPS) 간 금리 차로, 시장 기대 인플레이션을 가늠한다.

분기 환매(Quarterly Refunding): 재무부가 분기마다 시행하는 중장기 국채 재발행·증액 일정이다. 이번에는 $1250억 규모로, 단기물 비중 확대라는 발행전략이 재확인됐다.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상대국 관세 수준에 상응하는 관세를 부과하자는 접근으로, 1977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의 비상 권한을 근거로 한 합법성 여부가 쟁점이다.


종합 분석

이번 랠리는 경기 확장을 시사하는 고용·서비스 지표반도체주 강세가 동반된 결과다. 그러나 서비스 물가의 뜨거운 온도(Prices Paid 70.0)는 재가열 우려를 키우며 장기금리 상승으로 연결됐다. 시장은 연내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62%로 반영하지만, 금리곡선의 상단 경직과 셧다운 장기화 리스크변동성 요인으로 남는다. 단기적으로는 AI·데이터센터 수요가 견인하는 반도체·전력 인프라 모멘텀이 상대적 초과성과를 지지할 수 있으나, 마진 가이던스 둔화(예: 네트워크·AI 인프라 일부) 및 실적 미스 리스크가 선택적 조정을 유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표 호조 → 금리 상승이라는 상반 신호 속에서, 이익의 질과 가이던스, 현금흐름 가시성을 갖춘 업종·종목 선별이 유효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