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동향] 29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가격이 정오 기준 전일 대비 3 ¼~5센트 상승하며 대부분의 근월·원월물에서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일(28일) 장 마감 이후 나타난 대규모 쇼트커버링(short covering)*이 이날 상승세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시장 전문 데이터업체 바차트(Barchart)가 집계한 예비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28일 하루 동안 18,903계약 감소했으며, 특히 12월물(ZCZ25)에서만 21,393계약이 빠졌다.
같은 시각
CmdtyView가 집계한 전국 평균 현물옥수수가 7부셸(부셸당) 3.92달러 ½센트로 4 ¼센트 상승했다.
이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 업무중단(셧다운) 여파 및 작황 지표 공백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으로 인해 28일자 작황진척도(Crop Progress) 보고서는 발간되지 않았다. 시장 참가자들은 자체 추정치로 “10월 26일 기준 미국 옥수수 수확률 72%”를 가정하며 포지션을 조정하고 있다.
쇼트커버링*이란?
매도(숏) 포지션을 보유한 투자자가 가격 상승 위험을 피하기 위해 해당 포지션을 되사서 상쇄하는 행위다. 이 과정에서 매수 주문이 집중돼 단기적으로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
국제 수급 뉴스
또 다른 지지 요인은 해외 구매 수요다. 대한민국 사료곡물협회(KFA) 소속 민간 수입업체가 204,000톤 규모의 옥수수 구매 입찰을 야간 시간대 체결했으며, 구체적인 원산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남미에서도 수출 전망 조정이 이어졌다. 브라질 곡물수출업협회(ANEC)는 10월 옥수수 수출량 추정치를 6.19백만 톤(MMT)으로 0.38MMT 하향 조정했다. 이는 북반구 신곡(新穀) 공급과 맞물려 글로벌 재고 전망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이다.
위 이미지는 CBOT 12월물(ZCZ25) 일간 차트를 나타낸다. 가격은 4.33달러로 4 ¼센트 상승한 위치에서 거래되고 있다.
세부 호가 현황
– 12월물(2025년 인도): 부셸당 4.33달러, +4 ¼센트
– 3월물(2026년 인도): 4.47 ¾달러, +3 ½센트
– 5월물(2026년 인도): 4.57달러, +3 ¼센트
– 전국 평균 현물가: 3.92 ½달러, +4 ¼센트
선물가격이 현물보다 높은 수준(콘탱고)을 유지함에 따라 당분간 저장 비용을 감안한 보유 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전문가 시각과 리스크 포인트
시장관계자들은 “미 플레인스 지역에 예보된 건조한 기상 패턴이 수확 진척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공급 측 압력을 경계한다. 반면, 단기 미결제약정 감소는 매도세 약화를 의미하므로 가격 저점 통과 여부를 가늠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또한 미국 의회 예산안 협상이 지연될 경우 정부 통계 공백이 장기화될 수 있어, 시장은 민간 조사기관의 데이터에 더욱 의존해야 한다. 이로 인해 변동성(volatility) 확대가 예상된다.
거래 전략 — 기자의 시각
① 숏커버링 이후 눌림목 매수
전일 급격한 미결 감소를 고려하면 추가적인 강제 청산은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날 시가 대비 3~4센트 하락 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② 스프레드(달력 차익) 모니터링
콘탱고 구조 속에서 12월물 매도·5월물 매수의 역스프레드 공략은 위험 대비 수익이 제한적이다. 오히려 3월·5월물 간 캐리(carry) 축소 압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③ 해외 수요 추적
한국·대만·베트남 등 아시아 복합사료 업체의 추가 구매 여부가 향후 펀더멘털을 좌우할 전망이다.
※Austin Schroeder 기자는 해당 종목에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본 기사 정보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다. 바차트 Disclosure Policy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웹사이트(영문)를 참고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