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지수(DXY00)가 목요일 2주래 최저치로 내려선 뒤 -0.33% 하락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정부의 운영 재개로 지연되었던 경제지표들이 곧 공개될 수 있고, 그 결과가 미 경제 둔화 조짐을 보여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금리인하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며 달러 약세를 부추겼다는 해석이 나왔다.
2025년 11월 1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달러는 매파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도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보스턴 연은의 수전 콜린스 총재,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맥 총재, 세인트루이스 연은의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는 모두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는 데 무게를 두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주식시장의 약세는 일시적으로 달러 유동성 수요를 자극했으나, 전반적 달러 약세를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세인트루이스 연은 무살렘 총재는 “통화정책이 지나치게 완화적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추가 완화 여지는 제한적이라고 본다”고 경고했다. 클리블랜드 연은 해맥 총재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한 추가 금리인하를 지지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전날 저녁, 보스턴 연은 콜린스 총재는 “매우 불확실한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고용 리스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당분간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경로 가격반영과 관련해, 시장은 다음 FOMC(12월 9~10일)에서 25bp 인하 가능성 51%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불과 일주일 전 70%에서 낮아진 수치로, 연준 인사들의 잇단 매파 발언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유로/달러(EUR/USD)는 목요일 2주 최고로 상승해 +0.37%로 마감했다. 달러 약세가 유로 강세를 뒷받침했으며, 통화정책의 차별화도 유로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보도에 따르면, 유럽중앙은행(ECB)은 대체로 금리인하 사이클을 마무리한 반면, 연준은 2026년 말까지 여러 차례 추가 인하가 예상되고 있다. 다만 유로에 부정적인 요소로는 유로존 9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2% 증가에 그쳐 기대치(+0.7%)를 밑돈 점이 지목됐다. 파생상품 시장의 스와프는 ECB의 12월 18일 회의에서 25b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약 3%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달러/엔(USD/JPY)은 -0.19% 하락했다. 엔화는 전날 기록한 9.25개월래 달러 대비 최저에서 일부 되돌림에 성공했다. 이날 일본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2.7%로 예상(+0.3%, +2.5%)을 상회해, 일본은행(BOJ)의 정책에 매파적으로 해석되며 엔화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또한 전날 가타야마 재무상이 “최근 일방적이고 급격한 환율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며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점도 엔화 강세 요인이었다. 다만, 미 국채(T-note) 수익률 상승은 엔화 상승 폭을 제한했다.
엔화는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과 BOJ의 금리인상 지연 우려로 약세를 보였다. 여기에 다카이치 일본 총리가 연간 기재건전성(재정 균형) 목표를 철회하고 보다 확장적 재정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이 겹치며 엔화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시장은 BOJ의 다음 통화정책회의(12월 19일)에서 금리 인상 확률 34%를 반영하고 있다.
귀금속은 장 초반 오름세를 반납하고 하락 전환했다. 12월물 COMEX 금 선물(GCZ2)은 -19.10달러(-0.45%) 하락 마감했고, 12월물 COMEX 은 선물(SIZ2)은 -0.287달러(-0.54%) 내렸다.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코멘트 이후 미 국채 수익률이 오르자 금과 은 가격이 눌렸다. 앞서 언급한 콜린스, 해맥, 무살렘 총재가 금리 동결 선호를 한 목소리로 밝히면서, 다음 달 FOMC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지난주 70%에서 51%로 낮아졌다.
다만 장 초반에는 12월물 금이 3주 최고를, 12월물 은이 계약 최고를 각각 경신했고, 근월물(X25) 은은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이는 미 정부 셧다운 종료로 지연된 경제지표 공개가 재개되면서, 미 경기 둔화 시그널이 확인될 경우 연준의 추가 인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가 선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추진 우려가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금·은 수요를 자극했다. 이 밖에 미 관세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 리스크,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연준 독립성에 대한 정치적 압력 등은 안전자산 선호를 뒷받침하는 배경으로 남아 있다.
중앙은행 수요는 금 가격의 중요한 지지 요인으로 확인된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10월 말 기준 금 보유고를 7,409만 트로이온스로 늘려 12개월 연속 순매입을 이어갔다. 또한 월드골드카운슬(WGC)은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순매입이 220톤으로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편, 10월 중순 사상 최고가 경신 이후 차익실현(롱 청산) 압력이 귀금속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10월 21일 3년래 최고를 기록했던 금·은 ETF 보유량은 최근 감소세로 돌아섰다.
추가 맥락과 용어 해설
DXY(달러지수)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지수화한 척도로, 유로 비중이 가장 크다.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회의다. 스와프시장 확률은 금리파생상품 가격에서 역산한 정책금리 인하/인상 확률 추정치를 뜻한다. T-note 수익률은 미 재무부 발행 중기 국채의 시장 금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수익률 상승은 달러 강세·금 가격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다*. 계약 최고(Contract High)는 특정 선물 월물의 상장 이후 최고가를 말한다.
*다만, 해당 관계는 시점·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련 뉴스레터
20만 명 이상이 구독 중인 바차트의 Midday Barchart Brief는 매일 참고할 만한 필독 뉴스레터로 소개됐다.
기타 시장 동향과 일정
• ECB: 12월 18일 통화정책회의, 시장은 25bp 인하 확률을 3%로 반영.
• BOJ: 12월 19일 회의, 시장은 금리 인상 확률을 34%로 반영.
• FOMC: 12월 9~10일 회의, 25bp 인하 확률 51%.
바차트 추가 기사
• 유로 약세장 대응: 현재 통화 부진을 거래하는 법
• 달러지수가 중립 구간에 갇힌 이유
• 유로 약세장: 지금 바로 고려할 한 가지 트레이드
• 루블 급등이 시사하는 러-우 전쟁의 함의와 트레이딩 전략
공시 및 고지
본 기사 작성 시점에서 필자 리치 애스플런드는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 내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