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DXY)가 목요일(현지시간) 2주래 최저로 하락해 -0.33%의 일일 낙폭으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정부의 재가동으로 그간 지연됐던 경제지표가 순차적으로 공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지면서, 미 경제의 둔화를 확인하고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금리 인하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기대가 달러 약세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동시에 목요일 증시 약세는 유동성 선호를 자극해 달러에 일시적 수요를 제공했으나, 방향성을 바꾸기엔 역부족이었다.
2025년 11월 14일, 바차트(Barchart)의 리치 애스플런드가 집필하고 나스닥닷컴에 게재된 보도에 따르면,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이 이어졌음에도 달러는 하락했다. 보스턴 연은의 수전 콜린스,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맺, 세인트루이스 연은의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가 모두 현 수준에서의 금리 동결 선호를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가동에 따른 지표 공개 재개 기대가 우세해 달러는 약세 흐름을 보였다.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알베르토 무살렘은 “통화정책이 지나치게 완화적이 되는 것을 피하려면 추가 완화의 여지는 제한적이라고 본다”고 경고했다.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베스 해맺은 “끈질긴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한, 경제 여건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추가 금리 인하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보스턴 연은 총재 수전 콜린스는 수요일 저녁 “매우 불확실한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고용 간 위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당분간 정책금리를 현 수준에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러한 매파적 수사에 따라 목요일 미 국채(T-note) 금리가 상승하며 금과 은의 초반 강세를 되돌렸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은 오는 12월 9~10일 FOMC에서 25bp(=0.25%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51%로 반영하고 있다. 이는 전주 70%에서 하락한 수치다. 시장은 ‘연준의 인내적 동결’과 ‘경기둔화에 따른 추가 인하’ 사이의 미묘한 균형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EUR/USD는 목요일 2주래 고점으로 상승해 +0.37%로 마감했다. 약한 달러가 유로에 우호적으로 작용했고, 통화정책 기조의 분화(ECB는 대체로 인하 사이클을 마무리, 반면 Fed는 2026년 말까지 추가 인하가 예상되는 점)도 유로 강세를 지지했다. 다만 유럽의 9월 유로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2% 증가로, 시장 예상치인 +0.7%를 하회하며 상방을 제약했다. 스와프 시장은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3%로 가격에 반영 중이다.
USD/JPY는 목요일 -0.19% 하락했다. 엔화는 전일 달러 대비 9.25개월래 최저에서 일부 반등했다. 이날 예상보다 강한 일본 생산자물가(PPI)가 BOJ의 정상화 가능성을 높이며 엔 강세를 거들었다. 또한 전일 일본 가타야마 재무장관이 “최근 일방적이고 빠른 환율 변동을 보고 있다”고 언급해,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점도 엔화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반면, 상승한 미 국채 수익률은 엔화의 추가 강세를 제한했다.
최근 엔화 약세의 배경에는 일본 정치 불확실성과 BOJ의 금리 인상 지연이 있다. 여기에 다카이치 총리가 연간 재정균형 목표를 폐기할 의사를 밝히며 보다 확장적 재정을 추진할 것이라는 우려가 더해져 엔화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은 12월 19일 BOJ 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이뤄질 확률을 34%로 반영하고 있다. 일본 10월 P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2.7%로, 예상치(+0.3% m/m, +2.5% y/y)를 상회했다.
12월물 뉴욕(COMEX) 금(GCZ2)은 목요일 -19.10달러(-0.45%) 하락 마감했고, 12월물 은(SIZ2)도 -0.287달러(-0.54%) 내렸다. 장 초반 상승했으나,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으로 미 국채 수익률이 오르며 귀금속 가격이 상승분을 반납했다. 다음 달 FOMC의 인하 확률은 51%로, 지난주 70%에서 낮아졌다.
다만 장 초반에는 12월 금이 3주 최고가를, 12월 은이 계약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근월물(X25) 은은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이는 미 정부 셧다운 종료로 지표 공개가 재개되면 경기 약화가 드러나 연준의 추가 인하 기대가 강화될 수 있다는 관측, 그리고 일본의 확장적 재정 가능성 확대에 따른 가치저장 수요 증가가 맞물린 결과다. 여기에 미 대외관세 불확실성, 지정학 리스크,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그리고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정치적 압력 가능성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기저에 유지되고 있다.
중앙은행의 견조한 금 매수는 가격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10월 금 보유고를 7409만온스로 늘려 12개월 연속 보유를 확대했다. 월드골드카운슬(WGC)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는 220톤으로 전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한편, 10월 중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에는 차익실현을 포함한 롱 청산 압력이 귀금속 가격을 눌렀다. 금·은 ETF 보유량은 10월 21일 3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뒤 최근 감소세로 전환됐다.
기술·용어 해설
– DXY(달러 인덱스): 달러를 유로, 엔, 파운드 등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로 측정한 지수다. 보통 달러 강·약세의 대표 지표로 쓰인다.
– bp(basis point): 금리의 최소 단위로 1bp는 0.01%p를 의미한다. 25bp=0.25%p다.
– FOMC: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다. 정책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설정한다.
– 스와프 시장의 확률: 파생상품 가격에 내재된 정책 이벤트(인하·인상)의 시장 추정 확률이다.
– T-note 수익률: 미 재무부 중기 국채의 금리로, 글로벌 자산 가격에 광범위한 영향을 준다.
– BOJ 매파/비둘기: 금리 인상·긴축 성향을 매파, 인하·완화 성향을 비둘기로 칭한다.
분석과 시사점
이번 달러 약세는 단순한 기술적 되돌림을 넘어, 정책·지표·리스크의 삼각 축이 교차한 결과로 보인다. 첫째, 미 정부 재가동은 데이터 공백을 메우며 경기 둔화 모멘텀을 확인시킬 수 있다. 둘째, 연준 인사들은 현 수준 동결을 선호하지만, 시장은 물가 둔화 및 성장 완만화를 반영해 ‘점진적 인하 경로’를 여전히 가격에 담고 있다. 셋째, ECB가 인하 사이클을 사실상 종료했다는 인식과 BOJ의 정상화 가능성은 정책 분화를 통해 유로·엔의 탄력성을 키우고 있다. 귀금속은 중앙은행 수요와 정책 불확실성에 기반한 안전자산 프리미엄을 유지하는 가운데, 금리·달러·지정학 변수에 민감한 상·하방 변동성이 확대될 공산이 크다. 결론적으로, FOMC 12월 회의를 앞둔 현재의 51% 인하 확률은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동전 던지기’ 구도이며, 그 사이 유로/엔 및 금·은의 상대 강세·조정은 데이터와 발언의 톤 변화에 신속히 반응할 것으로 보인다.
면책 및 출처
리치 애스플런드는 본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 이해관계를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표명된 견해와 의견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More news from Barchart
- 레이 달리오, “다음 대형 부채 위기는 은행이 아니라 정부에서 온다.”
- 은 가격이 $50을 재돌파. 그 의미와 금 시장에 주는 시그널은 무엇인가.
- ‘바퀴벌레’ 파산과 팔란티어 실적 이후 급락: 시한폭탄이 금·은의 가격 하방을 지지한다.
- 우리는 귀금속에 신중해야 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