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 “연방준비제도 전체를 제도 차원에서 재검토해야” 강조

[워싱턴 DC]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21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이하 연준)라는 기관 전체를 다시 한 번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연준이 과연 스스로 제시한 목표를 충실히 달성해 왔는지, 그리고 현재의 정책 기조가 미국 경제에 적합한지에 대해 “성공 여부를 가늠할 엄정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년 7월 21일, 로이터 통신 및 CNBC 보도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연준의 최근 거시경제 판단과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문제 삼았다. 특히 관세(tariff) 정책을 둘러싼 ‘공포 조장(fear-mongering)’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연준의 태도가 과도했다고 지적했다.

베센트 장관 발언
연준이 시장 불안을 과장함으로써 정책 신뢰성을 스스로 잠식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그는 제롬 파월(Jerome Powell) 의장의 거취와 관련된 백악관 내부 논의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삼갔다. 로이터가 최근 ‘베센트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파월 의장을 경질하지 말라고 조언했다’는 보도를 내놓았지만, 베센트 장관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는 원칙론만 되풀이하며 구체적 확인을 피했다.

연준(제도)의 역할이란?
연방준비제도는 미국의 중앙은행 체계를 통칭하며, 통화정책 결정·금리 조정·은행 감독 등을 담당한다. 1913년 설립된 이후 물가 안정·완전 고용·금융 안정이라는 ‘트리플 맨데이트’를 추구해 왔다. 이 기관이 발표하는 기준금리와 경제 전망은 전 세계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은 “최근 몇 년간 연준 내부 의사결정과 대외 소통이 시장에 교란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연준이라는 시스템 자체를 검토해야 한다”고 발언해 파장이 예상된다.


◇ 관세와 인플레이션 논쟁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대중(對中)·대EU 관세는 일각에서 ‘물가 급등’을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를 낳았다. 하지만 베센트 장관은 “관세가 발효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에 유의미한 변동이 없었다”고 지적하며, 연준이 체계적 데이터를 근거로 판단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베센트의 발언을 두고 정책 라인 간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를 조짐으로 해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저금리 선호를 숨기지 않았고, 파월 의장은 독립성을 내세워 긴축·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 왔다. 베센트가 ‘제도적 재점검’을 내세운 배경에는 정책 목표와 실물 결과 간 괴리를 드러내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견해도 있다.

직관적 용어 설명
• 관세(tariff) :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이 목적이다.
• 인플레이션 : 화폐 가치가 하락해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 연준 의장 해임 : 미국 역사상 전례가 드물며, 통상 대통령은 의장 임기(4년)를 존중해 왔다.


◆ 향후 관전 포인트
연준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 베센트의 공개 지적이 금리 결정과 성명서 표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백악관-연준 간 인사·정책 갈등 : 파월 의장 재신임 여부, 이사회(Board of Governors) 인선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시장 반응 : 미 10년물 국채금리와 달러 인덱스 변동이 베센트 발언 다음 날까지 제한적이었는지 관찰해야 한다.

베센트 장관은 인터뷰 말미에 “재무부는 성장·안정·책임 있는 재정 운영이라는 3대 원칙을 따라 연준과 건설적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며, 제도 개편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은 “향후 의회·백악관·연준이 함께 협의할 사안”이라고 밝혀 일단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는 모습이었다.

※ 본 기사는 원문(Reuters·CNBC)을 전문 번역한 것이며,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해 맥락 설명과 분석을 추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