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6일(현지시간) 미시간대 소비심리 악화 여파로 약보합권에서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는 -0.20% 내렸고, 나스닥 100 지수는 -0.43% 하락했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7% 상승해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1) 이날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3bp 오른 4.318%를 기록하며 주가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투자자들은 다음 두 차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춰 잡고 있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시장 예상치(+0.6%)를 밑돌았으나 6월 수치가 +0.9%로 상향 조정돼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해석이 나왔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 증가해 예상과 일치했다.
소비심리·물가·생산 지표 부진이 동반
미시간대 8월 예비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월 대비 3.1포인트 하락했고, 시장 컨센서스(62.0)도 하회했다. 설문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향후 1년 인플레이션을 4.9%, 5~10년은 3.9%로 내다봤고, 58%는 물가 부담으로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같은 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예상 +0.1%) 급등했으며, 석유를 제외한 수입물가도 +0.3%로 반등했다. 산업생산은 -0.1%로 소폭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6월 수치가 +0.4%로 상향 조정됐다. 제조업 생산은 변동이 없었다.
연준 인사 발언·물가 경계심 확대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오스턴 굴스비 총재는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며 “추가 데이터 확인 전까지는 성급한 판단을 경계한다”고 밝혔다. 전날 발표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동월 대비 3.3%(근원 3.7%)로 급등한 가운데 시장은 9월 50bp 인하 기대를 즉시 철회했고, 25bp 인하 가능성도 93%에서 85%로 낮춰 반영했다.
트럼프발 관세 변수·중국 경기 둔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혹은 다다음 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결정할 것”이라며 반도체에는 최대 300% 관세를 예고했다. 같은 날 중국은 7월 소매판매(+3.7%), 산업생산(+5.7%) 등 주요 지표가 모두 예상치를 밑돌면서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를 키웠다.
투자 용어 해설
• bp(베이시스포인트)는 0.01%p를 의미한다.
• FOMC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 기구다.
• PPI는 도매단계 물가를 측정해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 지표로 쓰인다.
업종·개별 종목 동향
이날 마그니피슨트 세븐은 혼조 마감했다. 테슬라는 -1.49%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고, 알파벳과 메타는 소폭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12%)와 세일즈포스(+3.9%) 급등에 힘입어 방어적 흐름을 보였다.
반도체주는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14%), KLA(-8.4%), 램리서치(-7.3%)가 급락해 업종 전반을 압박했다. 반면 인텔(+2.7%)은 미국 정부가 ‘칩법’ 자금을 활용해 지분 참여를 검토한다는 보도에 상승했다.
비트코인은 -0.7% 하락했고, 라이엇 플랫폼스(-7.5%)·코인베이스(-2.2%) 등 암호화폐 관련주도 부진했다. 유나이티드헬스, LEN, DHI는 버크셔 해서웨이와 앱팔루사 매수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반면 산디스크(-4.6%)와 타깃(-1.2%)은 실적 가이던스 부진 및 투자의견 하향으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국채·유럽 채권 시장
10년 만기 미 국채 선물은 5.5틱 하락했고, 영국 길트·독일 분트 금리도 각각 5.6bp, 7.6bp 상승했다. 유로존 투자자들은 9월 유럽중앙은행(ECB)의 25bp 인하 가능성을 5% 미만으로 본다.
실적 시즌 주요 추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 500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사전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했다. 보고를 마친 기업의 82%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향후 일정·관전 포인트
투자자들은 9월 16~17일 FOMC 회의에서 연준의 첫 번째 금리 인하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또한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결과가 관세 및 유가, 유럽 안보에 미칠 파장을 놓고 경계감을 유지하고 있다. 18일 예정된 Palo Alto Networks와 XP 실적 발표도 업종별 변동성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