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발 — 미국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척 슈머(Chuck Schumer)와 하원 민주당 원내대표 하킴 제프리스(Hakeem Jeffries)가 20일(현지시간) 토요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부 셧다운을 막기 위한 즉각적인 회동”을 요청했다. 두 지도부는 9월 30일로 예정된 연방정부 자금 고갈을 앞두고 예산안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년 9월 20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지도부는 “초당적 지출 협정”을 위해 백악관이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면 회의를 공식 요구했다.
두 지도부는 공동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민주당은 미국 가정의 삶을 개선하고 공화당의 보건의료 위기를 해결하는 양당적 지출 합의를 위한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이어
“그러나 우리는 보건의료에 대한 공화당의 공격을 지속시키는 ‘더러운 지출 법안’을 지지할 수 없다“
며 강경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
용어 설명 – 정부 셧다운(Government Shutdown)은 의회가 예산안을 제때 통과시키지 못해 연방정부의 비필수 부문이 일시적으로 문을 닫는 상황을 뜻한다. 이 기간 동안 많은 공무원들이 무급휴가를 떠나거나 임시 폐쇄 조치가 시행되며, 사회·경제 전반에 상당한 파급 효과가 발생한다.
전문가적 시각 – 이번 사안의 핵심은 9월 30일이라는 시한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점이다. 민주·공화 양당이 합의에 실패할 경우, 연방정부가 부분적으로 가동을 멈추면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공공 서비스 차질, 소비 심리 위축 등이 예상된다. 특히 공화당이 추진해 온 보건의료 예산 삭감이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이해득실을 우선시할지, 초당적 절충안을 수용할지가 셧다운 여부를 가를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정치 분석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재도전을 공식화한 이후 본 사안을 지지층 결집의 기회로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여론조사에서 셧다운 책임론이 백악관에 집중될 수 있다는 위험을 고려할 때, 극적인 타협안 마련이 이뤄질 여지도 남아 있다.
당장 9월 30일 이후 연방정부의 주요 부처가 자금 부족으로 운영 중지에 들어갈 경우, 항공 보안 검색·식품의약품안전청(FDA) 검사 지연·국립공원 폐쇄 등이 현실화될 수 있다. 200명 이상의 하원 공화당 의원이 강경 보수 예산안을 고수하고 있어, 민주당은 상원·하원 모두에서 초당적 태스크포스 구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민주당 지도부의 이번 서한은 셧다운 시계가 ‘D-10’으로 다가온 시점에 백악관을 압박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풀이된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회담에 응할지, 그리고 어떤 형태의 지출 타협안이 도출될지가 미국 정치·경제 전반의 향배를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