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채권] 미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달러 인덱스(DXY)가 오름세를 보였다. 19일(현지 시각) 오후 2시 30분 기준 DXY는 전일 대비 0.22% 상승해 강달러 흐름이 지속됐다.
2025년 9월 19일, 바차트닷컴(Barchart.com) 보도에 따르면, 10년물 미 국채(T-note) 수익률이 오르면서 달러 매수가 강화됐다. 여기에 영국 파운드화 약세가 달러 강세를 거들었다. 영국 8월 정부 차입 규모가 예상치를 웃도는 것으로 발표되자 파운드는 2주 만에 최저치로 밀렸다.
그러나 달러는 장중 고점에서 소폭 밀려났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준) 니일 카쉬카리 총재가 “올해 추가 2회 25bp(0.25%p) 금리 인하를 전망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1. 연준 독립성 우려와 정치 리스크
시장에서는 연준의 독립성 훼손 가능성이 달러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을 시도하고, 스티븐 미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Economic Advisors) 위원이 연준 이사직을 겸임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외국인 투자자가 달러 자산을 줄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2. 미 FOMC 추가 인하 기대
연방기금(FF) 선물 가격에 따르면, 10월 28~29일 FOMC에서 25b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은 91%로 가격에 반영됐다.
3. 유로존: 독일 PPI 충격
EUR/USD 환율은 0.25% 하락했다. 독일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2.2%로 15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졌다. 독일 정부는 4분기 국채 발행 규모를 기존 계획보다 20% 증액해 국방 및 인프라 지출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ECB 내부 발언은 엇갈렸다. 비둘기파 마리우 센테누(포르투갈) 이사는 “유로존 성장률이 잠재치에 못 미치고, 물가상승률이 목표 이하로 장기간 머물 가능성이 크다”며 추가 완화를 지지했다. 반면, 매파 마르틴 뮐러(에스토니아) 이사는 “현 통화정책은 이미 다소 완화적이며 추가 인하 필요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시장 스왑금리는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2%로 반영해 추가 인하 기대가 미미함을 시사했다.
4. 일본: BOJ 보유 ETF 매각 발표
USD/JPY는 0.08% 하락했다. 일본은행(BOJ)은 연간 3,300억 엔 규모로 보유 ETF를 매각하겠다고 밝혀 긴축 신호를 줬다. 다만, 8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7% y/y로 예상치를 소폭 밑돌아 완화적 스탠스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BOJ는 이날 7 대 2로 기준금리(–0.10%·단기) 및 10년물 국채금리(0.50% 상한) 목표를 동결했다.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미·중 관세 영향 등을 점검할 추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 귀금속: 안전자산 수요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15.40달러(+0.42%), 은 선물은 0.492달러(+1.17%) 상승했다. 카쉬카리 총재 및 센테누 이사의 완화적 발언이 금·은 선물을 끌어올렸다.
다만 강달러와 글로벌 금리 상승, 주식시장 랠리로 귀금속 상승폭은 제한됐다. 뮐러 이사의 매파적 발언도 금값을 눌렀다.
시장 변동성 확대,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독립성 공격, 프랑스·일본의 정치 불확실성 등 지정학적 리스크는 귀금속의 안전자산 가치를 부각시켰다. 실제로 전날 금 ETF 보유량은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은 ETF 보유량은 3년 만에 최대치로 늘었다.
[용어 해설]
달러 인덱스(DXY)는 유로화·엔화·파운드화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산출한 지수다. T-note는 만기 2~10년 미국 재무부 발행 국채이며, 여기서는 10년물 수익률을 지칭한다.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물가로, 공급 단계의 물가압력을 측정하는 지표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로, BOJ는 금융완화를 위해 ETF를 대거 매입해 왔다. bp(basis point)는 금리·수익률 변동 단위로 1bp는 0.01%p를 뜻한다.
[전문가 시각]
카쉬카리 총재의 발언으로 미·유럽 통화정책 디커플링이 심화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정치 리스크가 현실화해 해외투자자 신뢰가 흔들린다면, 달러 자산에 대한 프리미엄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가 이미 상당 부분 가격에 반영된 만큼, 10월 FOMC 직전까지는 채권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은 듀레이션(만기) 관리와 통화 헤지 전략을 병행해야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귀금속 ETF 자금 유입이 지속되는지는 인플레이션 전망과 달러 흐름의 핵심 선행지표가 될 것이다. 특히 금·은 비율(Gold/Silver ratio)의 추세 변화에 주목하면 단기 투기적 수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다. 기사에 언급된 모든 수치는 원문 기준이며,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 저자는 해당 종목에 직접·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