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가 미국 국채(티노트) 수익률 상승의 지원을 받아 반등했다. 9월 9일(현지시간) 달러지수(DXY00)는 1.5개월 만의 최저치에서 회복해 0.36% 상승 마감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2025년 9월 1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국채 금리 상승이 달러 금리차(interest rate differentials)를 확대해 숏커버링(Short Covering·매도 포지션 청산)을 유발한 것이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장 초반 달러는 예상보다 부진한 미국 고용 데이터 수정 발표에 흔들리다가, 금리 상승에 힘입어 방향을 틀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예비 벤치마크 고용 수정치는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고용을 91만1,000명 하향 조정해 시장 예상치(-70만 명)를 크게 밑돌았다. 이는 노동시장의 숨은 약세를 시사하지만, 연준의 완화 가능성을 키워 달러 강세를 일정 부분 제한했다.
연준 완화 기대 vs. 독립성 우려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방준비제도(Fed)는 9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0.25%포인트) 인하가 기정사실화된 상태다. 스와프 시장은 10월 28~29일 회의에서 두 번째 -25bp 인하 확률을 75%로 반영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연방기금금리가 총 73bp 인하돼 3.65%에 도달할 것으로 가격에 선반영됐다.
그러나 연준의 독립성을 둘러싼 정치적 리스크가 달러에 부담을 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리사 쿡 Fed 이사를 해임하려는 시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의 스티븐 미란이 자문직을 유지한 채 Fed 이사로 지명되려는 움직임이 외국인 투자자의 달러 자산 매도 우려를 키웠다.
“정치가 통화정책에 개입할 가능성이 커질수록 해외 투자자는 안전자산을 재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월가 관계자의 진단이 나오고 있다.
유로·엔, 개별 변수에 따라 혼조
유로/달러(EUR/USD)는 장중 1.5개월 만의 고점을 찍은 뒤 0.50% 하락했다. 프랑스 7월 제조업 생산이 전월 대비 -1.7%로 14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하며 유로 약세를 부추겼다. ECB(유럽중앙은행)가 12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낮게 평가받는 가운데, 시장은 연말까지 Fed가 세 차례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어 중앙은행 간 디버전스(divergence)가 부각됐다.
정치 불확실성도 유로를 짓눌렀다. 프랑스 의회는 8일(현지시간) 불신임안 통과로 프랑수아 바이루 총리가 사임했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며 외교 해결 실마리가 엿보이지 않는다.
엔/달러(USD/JPY)는 0.03% 하락해 3주 만에 엔 강세 흐름을 보였다. 블룸버그는 “BOJ(일본은행) 내부에서 올해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견해가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일본 8월 공작기계 수주가 전년 대비 8.1% 증가해 5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 엔 매수세를 지지했다. 다만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사퇴 선언과 자민당(LDP) 참패로 인한 재정 확대 전망이 엔 강세 폭을 제한했다.
금·은, 안전자산·산업수요 기대 엇갈려
12월물 금 선물은 0.13%(+4.80달러) 상승해 계약 최고가를 경신했고, 최근월물 기준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3,670.40달러를 찍었다. 연준 인하 기대와 중국인민은행(PBOC)의 10개월 연속 금 매입(8월 6만 온스 추가) 흐름이 투자 수요를 밀어 올렸다.
반면 12월물 은 선물은 1.34% 하락했다. 고용 부진이 산업금속 수요를 약화할 것이란 우려가 가격을 짓눌렀다. 금·은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입세는 지속되고 있어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여전히 견조함을 보여준다. 특히 금 ETF 보유량은 2년 3개월 만의 최고치, 은 ETF는 3년 만의 최고치를 각각 새로 썼다.
용어 풀이 및 투자 시사점
T-note yield란 만기 2~10년 구간의 미 재무부 국채 수익률을 뜻하며, 달러 가치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Interest rate differentials는 미국과 해외 주요국 간 금리 차이로, 차이가 벌어질수록 상대적으로 고수익을 제공하는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FOMC는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로, 기준금리 결정 및 경제 전망을 발표한다. Swaps는 시장 참여자가 향후 금리 경로를 거래하는 파생상품이다.
종합하면 국채 금리와 정치적 리스크가 엇갈리며 달러 방향성을 결정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금리차 확대가 달러를 부양하지만,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와 고용시장 둔화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향후 고용지표와 연준 의사록,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개입 신호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