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금리 상승에 달러 다시 강세…유로·엔 약세, 금값 하락

[환율·채권·귀금속 종합] 18일(현지시간) 달러화가 미 국채 금리 상승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hawkish) 발언에 힘입어 0.50% 올라 105선 중반을 향해 재차 상승했다.

2025년 9월 18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이 전한 바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전일 “재화(상품) 가격 인상이 물가에 파고들고 있으며, 물가는 내년까지도 계속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하며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을 제약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러한 발언이 이어진 가운데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상보다 크게 감소하고, 9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전망 지수가 8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뛰어올랐다.

달러 인덱스 차트

주목

■ 달러 강세 요인과 Fed 독립성 우려
달러화 강세는 경제지표 호조와 금리 상승이 주된 배경이지만, 동시에 대통령실의 연준 인사 개입 시도 탓에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가 부각되고 있다는 점은 달러에 부담 요인이다.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리사 쿡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는 시도를 진행 중이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소속 스티븐 미런은 현 직책을 유지한 채 연준 이사직에 오르려 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이 이를 이유로 달러 자산을 줄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전주 대비 3만 3,000건 감소한 23만 1,000건으로, 시장 예상치 24만 건을 밑돌았다.”

또한 9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전망 지수는 23.2(직전치 -0.3)로 8개월 만의 최고치였고, 8월 경기선행지수는 -0.5%(전월 대비)로 4개월 만의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다.

EUR/USD 차트

■ 유로화 약세·ECB와 Fed의 온도 차
유로/달러는 0.20% 내렸다. 독일 재무청이 4분기 국채 발행 규모를 905억 유로(당초 계획 대비 150억 유로 증가)로 확대한다고 밝히면서 재정 악화 우려가 가중됐다. 반면 시장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추가 금리 인하 사이클을 사실상 종료했다고 평가하고 있어, Fed와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유로 약세를 제한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이달 30일 예정된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은 2% 수준에 불과하다.

주목

■ 엔화 1주일 만의 최저…닛케이 사상 최고·안전자산 수요 둔화
달러/엔 환율은 0.59% 올라 엔화가 1주일 만의 저점을 찍었다. 일본 증시 대표지수인 닛케이225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위험회피 수요가 줄어든 점이 엔 약세를 조성했다. 앞서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이 자민당 총재 경선 출마를 선언, 통화정책에 간섭하지 않는 재정확장파로 평가받는 점도 엔화 약세 재료로 꼽힌다.

금 선물 차트 은 선물 차트

■ 금·은,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에 동반 하락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39.50달러(-1.06%) 내린 3,690달러 선에 마감했다. 은 선물 역시 0.08% 하락했다. 달러 강세와 글로벌 금리 상승, 그리고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된 점이 안전자산인 귀금속 가격을 끌어내렸다. 다만 연준이 전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고 연내 50bp 추가 인하를 시사한 점, 그리고 ETF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하락 폭을 제한하는 요인이다.

■ ETF 자금 유입·지정학 리스크는 지지 요인
가장 근월물 금 선물(U25)은 이틀 전 사상 최고가 3,698.60달러를 기록했으며, 은 가격은 14년 만의 최고치를 찍었다. 금 ETF 보유량은 2년 3개월 만의 최고, 은 ETF는 3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늘었다. 여기에 미국 관세 정책, 유럽·일본 정치 불확실성 등도 안전자산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 용어 풀이
Carryover는 전일 혹은 이전에 형성된 시장 분위기나 포지션이 다음 날까지 이어지는 효과를 말한다. T-note는 만기 2~10년 사이의 미 재무부(국채)를 지칭하며, 통상 10년물 금리가 장기 금리의 대표 지표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