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마감 동향]
1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물가 압력 완화에 따른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되며 혼조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0.30%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고, 나스닥 100 지수도 4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8% 하락했다.
2025년 9월 1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2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02% 올랐다.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전일 대비 6bp 내린 4.03%로 5개월 최저치를 기록하며 주가 상승을 뒷받침했다.
📌 물가 지표 둔화가 불러온 ‘비둘기파(통화완화)’ 기대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PPI(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해 시장 예상치(3.3%)를 밑돌았다.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도 2.8% 올라 전망치(3.5%)를 크게 하회했다. 이에 따라 시장은 9월 16~17일 열리는 FOMC에서 25bp(0.25%p) 금리 인하를 100% 반영하고 있으며, 10% 확률로 50bp 인하 가능성까지 가격에 내재했다.
시장 베팅에 따르면 연말 기준 연방기금금리는 현행 4.38%에서 3.65%로 73bp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수별 성과와 특징주
· Oracle : 클라우드·AI 인프라 수요 급증 기대 속에 35% 폭등, 사상 최고가 경신.
· Apple : 신형 아이폰·워치·에어팟 공개에도 시장 실망감이 커지며 3%대 하락, 다우지수 하방 압력.
· Salesforce : 오라클 실적이 전통적 소프트웨어 수요 부진을 부각시키며 3% 넘게 밀려.
· AI 인프라 테마 : CoreWeave 17%, Broadcom 9%, Arista 6%, Nvidia 3% 이상 급등.
· 전력주 동반 랠리 : AI 전력 수요 확대 기대에 Vertiv 9%, Vistra 8% 상승.
🔎 용어 풀이와 시장 맥락
• E-미니 선물 : CME에서 거래되는 소형 주가지수 선물로, 현물지수 대비 약 1/5 규모의 계약 단위를 갖는다.
• PPI : 생산단계의 물가를 측정, 기업 비용 구조를 파악해 향후 소비자물가(CPI) 흐름을 예측하는 선행지표 역할을 한다.
• 비둘기·매파 : 통화완화적 스탠스를 선호하면 ‘비둘기파’, 긴축을 선호하면 ‘매파’라 부른다.
해외 변수: 유럽·중국·지정학 리스크
유럽에서는 폴란드 영공을 침범한 러시아 드론을 폴란드군이 격추한 사건이 ‘침략 행위’로 규정되며 지정학적 긴장을 높였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1개월 만에 최저치인 2.631%까지 내려갔다. 중국의 8월 CPI는 –0.4% y/y로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 하락했고, PPI는 –2.9% y/y로 35개월 연속 마이너스였다. 중국발 디플레이션 우려가 글로벌 성장 전망에 부담을 주고 있다.
미국 경제·금융 지표 일정
• 12일(목) : 8월 CPI 발표(전년比 2.9% 예상),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23만5천 건 예상)
• 13일(금) :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예상 58.0)
채권시장 동향
12월물 10년 T-노트 선물 가격은 7.5틱 상승했고, 미 재무부 10년물 입찰(390억 달러)에서는 bid-to-cover 2.65로 최근 10회 평균(2.56)을 상회했다. 하지만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점과 주간 119억 달러 규모 국채·국채입찰 물량은 채권 가격 상단을 제한했다.
개별 종목 뉴스
상승 종목
· Travere Therapeutics : FDA가 희귀 신장질환 치료제에 대해 자문위 심사를 생략하겠다고 통보, 26% 급등.
· BILL Holdings :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대규모 지분 취득 소식에 4% 상승.
· GameStop : 2분기 하드웨어·액세서리 매출 5억9,210만 달러로 컨센서스(4억3,480만 달러)를 크게 상회, 3% 상승.
· Johnson Controls : 분기 배당을 0.40달러로 상향(예상 0.37달러), 1% 상승.
하락 종목
· Synopsys :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12.76~12.80달러)가 컨센서스(15.11달러)를 크게 밑돌며 35% 폭락.
· Chewy : 기대 이하 실적 해석 속 16% 급락.
· Arcadia Healthcare : BofA의 투자의견 하향(매수→중립) 여파로 9% 급락.
· Trade Desk : 모건스탠리 투자의견 하향(비중확대→동일비중)으로 11% 하락.
· HP : 에버코어 ISI가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로 내리며 2% 하락.
전문가 시각 및 전망
현재 시장은 ‘금리 인하→밸류에이션 확장’ 경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중국발 디플레이션과 유럽 지정학 변수가 수요 측 충격을 확대할 경우, 경기 모멘텀 약화로 실적 추정치 하향이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주가지수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FOMC 이벤트 드리븐(정책 의존) 장세’가 심화되는 양상은 변동성 급등 리스크를 내포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① 연준의 점도표와 실업률·임금 지표 변화를 주시하고, ② AI 인프라처럼 구조적 성장 스토리가 확실한 섹터를 선별하되, ③ 고평가 영역에서는 이익실현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채권시장은 실질금리 하락 구간에 진입했지만, 재정적자 확대에 따른 장기물 공급 압력이 만만치 않아 만기별 분산 전략이 유효하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물가 둔화→정책완화→리스크 자산 랠리’가 이어질 공산이 크나, 정책 의존도가 높아진 시장은 작은 변수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방어적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