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로이터) — 미 소비자금융보호국(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Bureau, CFPB)의 전직 고위 집행 변호사 세 명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기관 억제 이후 기업의 위법·부당 관행으로부터 대중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적 집행 프로젝트’를 출범한다고 친소비자 단체가 수요일 발표했다다.
2025년 11월 12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Protect Borrowers라는 소비자 편익을 지향하는 단체가 공식 성명을 통해 공개한 것으로, 기관의 공백 속에서 소비자 보호 소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다.
에릭 핼퍼린(Eric Halperin), 카라 피터슨(Cara Petersen), 타라 미키리넨니(Tara Mikkilineni) 등 CFPB의 전직 최고 집행 변호사들이 이번 노력을 주도한다다. Protect Borrowers의 성명에 따르면, 이들은
“노동자, 소비자, 소상공인을 착취하는 제품과 관행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소송”
을 제기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다.
핵심 배경(‘THE TAKE’)
이번 움직임은 CFPB의 사실상 기능 붕괴로 생긴 집행 공백을 소비자 옹호 단체와 민주당계 주(州) 법무장관들이 메우려는 흐름을 보여준다다. 트럼프 행정부는 기관이 정치적으로 치우친 집행을 했다며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올해 CFPB를 무력화하여 집행 및 감독 부서를 사실상 유휴화하고, 진행 중이던 집행 조치들을 중단하는 등 중대한 변화를 단행했다다.
핵심 발언(‘KEY QUOTE’)
“노동자와 소비자에게 깊은 경제적 고통의 지표가 선명한 적신호를 띠는 반면, 기업 이익은 치솟고 있다. 이는 우연이 아니다. 기업이 공중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강제하는 연방 집행 장치가 부재한 상황에서는, 기업이 소비자를 착취해 사익을 챙기기가 너무나 쉽다.” — 에릭 핼퍼린, 전 CFPB 집행국장
무엇이 달라지는가: ‘전략적 집행’의 의의
전략적 집행 프로젝트는 개별 사건 대응을 넘어 시장 전반의 관행 변화를 목표로 한 전략적 소송을 뜻한다다. 기사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특히 노동자, 소비자, 소상공인에게 피해가 집중되는 제품과 영업 관행을 겨냥해 새로운 소송을 조직할 방침이다다. 이는 제도적 집행이 약화된 환경에서 민간·비영리 영역의 법적 대응을 통해 억지력(deterrence)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다.
왜 지금인가: 집행 공백과 시장 유인
로이터 보도는 올해 트럼프 행정부가 CFPB의 기능을 무력화하고 감독·집행 부서를 유휴화했으며, 기존 집행 사건의 중단까지 초래했다고 전한다다. 이는 연방 차원의 집행 장치 약화로 이어졌고, 그 결과 기업이 규제 리스크를 낮게 평가하며 공격적 관행을 확대할 유인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다. 이런 배경에서 민간 차원의 소송 네트워크를 구축, 집단적 억지력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번 프로젝트의 전략적 가치로 해석된다다.
누가 주도하는가: 전직 최고 집행 인사의 역할
핼퍼린, 피터슨, 미키리넨니는 모두 CFPB 집행 업무에서 핵심 경험을 쌓은 인물들로 소개된다다. Protect Borrowers에 따르면, 이들은 현장 집행과 소송 전략에 정통하여 소비자 피해의 구조적 원인을 파악하고, 법적·절차적 수단을 통해 시장 관행을 교정하는 접근을 이끌 전망이다다. 기사에는 구체적 사건명, 소송 제기 시점, 자금 조달 방식 등 세부 실행 계획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다.
용어 풀이와 맥락
CFPB(소비자금융보호국)은 금융상품과 서비스와 관련해 소비자 보호를 담당해 온 미국 연방 기관이다다. 기사에서 말하는 ‘전략적 집행’은 개별 분쟁의 해결을 넘어, 시장 전반의 규칙과 사업 관행에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려는 법적·정책적 개입을 뜻한다다. 민주당계 법무장관은 미국 각 주(州)의 민선 법 집행 최고책임자로, 통상 소비자 보호와 공정 경쟁을 위한 주법 집행을 담당한다다. Protect Borrowers는 기사에서 친소비자 단체로 설명되며, 소비자·차용인 보호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으로 소개된다다.
시장과 법 집행의 균형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CFPB의 집행이 정치화되었다고 비판하며 기관 폐지 주장까지 제기했다다. 이 같은 정책 기조 변화는 감독·집행 기능의 축소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연방 차원의 즉응적 개입능력이 약화되었다다. 이러한 공백은 주정부·민간의 보완적 역할을 확대시키며, 소비자 옹호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다. 본 건은 그 연장선에서 전직 연방 집행 핵심 인력이 민간 플랫폼으로 결집해 소송을 통한 시정에 나서는 사례로 해석된다다.
핵심 이해관계자별 시사점
소비자·노동자·소상공인에게는 피해 구제 경로의 복원이 기대된다다. 기업에는 규정 준수(compliance)의 재점검과 소송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다. 주(州) 법무장관과 소비자 옹호 단체에는 연대적 집행을 통한 억지력 강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다. 다만 기사 범위에서 우선 타깃 산업, 소송 수, 일정 등은 특정되지 않았다다.
핼퍼린 발언의 함의
핼퍼린 전 집행국장은 경제적 고통의 지표가 ‘붉은 경고등’이라며, 연방 집행 장치의 부재가 기업의 소비자 착취를 용이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다. 이는 소비자 보호 집행의 부재가 시장 실패와 불공정 관행으로 귀결될 위험을 강조한 발언으로, 소송을 통한 교정의 필요성을 부각한다다. 발언은 기업 이익의 급증과 소비자·노동자의 고통을 대비시키며, 책임 추궁 메커니즘의 복원이 핵심임을 시사한다다.
관전 포인트
– 소송의 범위: 보도는 노동자·소비자·소상공인 착취에 초점을 밝힌다다. 어떤 제품·관행이 대상이 될지 주목된다다.
– 연대 구도: 민주당계 주 법무장관과 소비자 옹호 단체의 협업 가능성이 관건이다다.
– 억지력의 회복: 연방 집행 공백을 전략적 소송이 어느 수준까지 보완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다.
결론
Protect Borrowers가 발표한 전략적 집행 프로젝트는 CFPB의 사실상 마비로 생긴 집행 공백을 메우려는 민간 차원의 구조적 대응으로 평가된다다. 전직 CFPB 최고 집행 인사가 전면에 나섬으로써 법정에서의 전략적 교정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다. 기사에 제시된 정보로 볼 때, 이는 소비자·노동자·소상공인 보호의 재가동을 도모하면서도, 기업의 책임성과 규정 준수를 재정렬하려는 시도로 요약된다다. 향후 구체적 소송의 윤곽과 주(州) 차원의 협업이 어떤 결실을 낼지가 관건이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