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앞두고 하락 마감

【뉴욕 증시 마감 동향】
미국 주요 주가지수는 1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했다. S&P 500 지수는 -0.25% 내린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5%, 나스닥 100 지수는 -0.36% 떨어졌다. 9월물 E-mini S&P 500 선물은 -0.28%, 9월물 E-mini Nasdaq 선물은 -0.40% 하락해 현물 시장과 동일한 약세 흐름을 보였다.

2025년 8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앞두고 차익 실현과 포지션 정리에 나서며 위험 자산 비중을 줄였다.

장중 흐름과 변동성
장 초반 S&P 500은 1주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나스닥 100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인플레이션 지표 변동성을 우려한 매도세가 유입되며 상승폭을 모두 반납했다.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 발언이 이어지며 연내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커진 점은 지수 하락폭을 일부 제한했다.

Fed 이사 미셸 보우먼(Michelle Bowman)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첫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며, 올해 총 3차례 인하가 필요하다”

보우먼 이사의 발언 이후,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에서 9월 -25bp 인하 확률은 40%에서 88%로 급등했다.


무역·지정학 리스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원래 12일 만료 예정이었던 협정으로, 첨단 기술 부문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낳았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대(對)인도 수입 관세를 25%→5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황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15일 알래스카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지만 “탐색적 회담(feel-out meeting)”이라고 선을 그으며 신속한 휴전 합의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같은 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영토 양보는 없다”고 못 박으면서 평화 협상 기대감도 식었다.


주요 경제 지표 전망
• 13일(화) 발표될 7월 CPI 예상치는 전년 대비 +2.8%(6월 +2.7%)
• 근원 CPI(식료·에너지 제외)는 +3.0%(6월 +2.9%)
• 14일(목)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2만5천 건(-1천)
• 같은 날 발표될 7월 PPI는 +2.5%(6월 +2.3%), 근원 PPI는 +2.9%(6월 +2.6%)
• 15일(금)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자동차 제외 +0.3% 예상
• 7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비 변동 없음으로 전망
•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2.0(+0.3p) 예상

E-mini·FF 금리선물 용어 해설
E-mini 선물은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S&P 500·나스닥 지수의 소액 계약으로, 개인도 참여하기 쉬운 파생상품이다. 연방기금금리선물(FF 선물)은 FOMC의 향후 기준금리 결정 가능성을 시장에서 가격화한 상품으로,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가늠할 때 자주 인용된다.


비트코인·가상자산 동향
비트코인 가격은 +1% 상승하며 4주 최고치에 올랐다.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기관·기업 투자자들이 약 1,130억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보유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코인베이스(Coinbase),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ARA 홀딩스가상자산 연관주가 모두 1% 넘게 상승했다.


개별 종목별 등락
▼ 하락 종목
먼데이닷컴 -29%: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12.2억→12.3억 달러로 상향하지 못한 점이 실망을 줌.
C3.ai -25%: DA 데이비슨이 실적 부진을 근거로 투자의견 ‘언더퍼폼’(목표가 13달러)으로 하향.
AAON -10%: 2분기 EPS 0.19달러(컨센서스 0.32달러) 발표.
업스타트 -7%: 2032년 만기 전환사채 5억 달러 발행 계획 발표.
애틀라시안 -5%: 실적 발표 이후 평균 목표주가 11% 하향 조정.
허쉬 -4%: 코코아 가격 6주 최고치 경신으로 수요 둔화 우려.

▲ 상승 종목
TKO 그룹 +10%: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가 UFC 중계권(7년·77억 달러)을 취득했다는 소식.
ELF 뷰티 +10%: 모건스탠리, 투자의견 ‘비중 확대(Overweight)’·목표가 134달러로 상향.
일렉트로닉 아츠 +5%: ‘배틀필드 6’ 베타 테스트 흥행.
알버말 +7%: 중국 주요 리튬 광산 가동 중단→향후 공급 과잉 해소 기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4%: 회계 4분기 매출 전망 112억 달러(기존 107억 달러)로 상향.
크레이토스 디펜스 +2%: 캐너코드, 신규 ‘매수’·목표가 74달러로 커버리지 개시.
Sapiens International +8%: 모회사 포뮬라 시스템즈, 20억 달러 규모 지분 매각 협상 중이라는 현지 보도.


채권·금리 시장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은 2틱 상승, 이에 10년물 금리는 4.279%로 0.4bp 하락했다. 보우먼 이사의 금리 인하 지지 및 트럼프 대통령의 스티븐 미란 Fed 이사 후보 지명(디플레이션 전망 강조)이 국채 매수세를 자극했다.

유럽채 금리는 혼조. 10년 독일 국채금리는 +0.6bp(2.696%), 영국 길트금리는 -3.6bp(4.565%)였다. 스와프시장은 9월 유럽중앙은행(ECB) -25bp 인하 가능성을 단 6%로 평가했다.


기업 실적·향후 일정
Bloomberg Intelligence에 따르면 S&P 500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실적 시즌 전 예상치(+2.8%)를 큰 폭 상회했다. 이미 82% 기업이 발표를 마쳤으며, 그 가운데 82%가 시장 기대를 앞질렀다.

12일(화) 장 마감 뒤 카디널헬스·카바그룹·H&R블록·매디슨스퀘어가든스포츠·온러닝(ON)·스미스필드푸즈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 유의 사항
본 기사 작성 시점에 원문 저자인 리치 아스플런드는 해당 기업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