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들이 바(Bar)에서 한 잔을 즐기기 위해 지불해야 할 비용이 올라갈 전망이다. 영국·유럽연합(EU)산 주류에 대한 미국 정부의 관세가 가격을 끌어올리면서, 특히 스카치위스키 애호가는 잔당 평균 1달러(약 1,330원) 추가 지출을 감수해야 할 수 있다는 업계 분석이 나왔다.
2025년 8월 21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분석은 미국 주류 도매업협회(WSWA)의 의뢰로 뉴욕 소재 경제연구사 존 던햄&어소시어츠(John Dunham & Associates)가 실시했다. 연구진은 EU·영국산 주류 수입액 약 100억 달러 규모에 적용되는 관세가 도매단 가격을 갤런당 평균 0.82달러, 맥주의 경우 0.03달러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세 적용 배경과 세부 내용관세(tariff)는 특정 국가·품목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보호무역 정책의 일환이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EU산 제품에 15%, 영국산 제품(스카치위스키 등)에 10%의 관세를 부과했다. 그 결과 스카치위스키 750㎖ 병 하나당 평균 1.92달러의 관세가 붙으며, 바(Bar) 판매가가 병당 12달러 이상 상승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병당 약 12잔(2온스 기준)이 제공된다고 가정하면 잔당 1달러 추가 부담이다.
시장의 직접적 영향 미국은 서구권 주요 주류업체들에게 최대 시장이다. WSWA 차기 회장 커터 스미스(Cutter Smith)는 “관세가 유지된다면 결국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부 브랜드의 도매가격이 이미 인상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페르노리카(Pernod Ricard)와 디아지오(Diageo) 등 다국적 주류업체는 이번 분석에 별다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 전반에선 10월부터 이어지는 미국 연휴 시즌(할로윈·추수감사절·연말)에 판매량이 급증하는 만큼, 관세 효과가 매출에 즉각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 행동 변화와 장기 전망 최근 물가 상승과 건강 트렌드로 미국 내 주류 소비는 감소세다. 갤럽이 2025년 8월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알코올 섭취량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고가 프리미엄 브랜드 소비자는 가격 탄력성이 낮아 영향을 덜 받겠지만, 중저가·대중 브랜드는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한다.
“관세는 단순히 세수 확보에 그치지 않고, 도·소매업 일자리와 지역경제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 WSWA 보고서
보고서는 관세 수익이 약 9억8,7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판매 감소로 인한 손실과 일자리 축소를 고려하면 순효과는 불확실하다고 지적한다.
세부 품목별 영향
• 와인: 15% 관세로 도매가 갤런당 평균 0.86달러 상승.
• 증류주(위스키·보드카 등): 0.82달러 상승.
• 맥주: 0.03달러 상승.
아울러 아일랜드산 위스키와 폴란드산 보드카에 부과된 비교적 낮은 관세 역시 도소매 유통과정에서 잔당 0.26~0.52달러 상승으로 ‘가격 눈덩이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업계 대응 전략 일부 업체는 관세 시행 전 미국 재고를 선적해 무관세 ‘재고 쿠션’을 확보했다. 또 캄파리(Campari)와 디아지오는 당분간 가격 동결 또는 비용 흡수 전략으로 소비자 충격을 완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재고가 소진되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문가 해설: ‘관세 전가’ 메커니즘
• 1단계 수입업체가 관세 납부
• 2단계 도매업체가 증가분을 도매가에 반영
• 3단계 소매업체가 마진·세금 추가
• 결과 최종 소비자가 겪는 가격 인상은 초기 관세보다 훨씬 커진다.
이 같은 체계는 유통망이 복잡할수록 증폭 효과가 크다. 특히 미국 주류시장은 주(State)별 세율, ‘리커 라이선스’(주류 판매 인허가) 구조가 달라 관세 전가 속도가 빠르면서도 지역별 편차가 클 가능성이 높다.
향후 변수와 관전포인트
1) 미국 정부의 관세 지속 여부 및 EU·영국과의 통상 협상 결과.
2) 미국 내 인플레이션 추이와 소비 심리 회복 속도.
3) 국내 주류업체의 점유율 확대 여부와 잠재적 보복 관세.
종합적으로, 이번 관세는 단순 가격 인상을 넘어 글로벌 주류 공급망과 브랜드 경쟁 구도에 장기적 변화를 유발할 것이라는 것이 업계와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