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HINGTON—미 노동부가 14일(현지 시각) 발표한 주간 고용지표에 따르면, 8월 9일로 끝난 주에 계절조정 기준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4,000건으로 전주 대비 3,000건 감소했다.
2025년 8월 14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이 예상한 228,000건(로이터 설문)보다 적은 수치다. 이는 해고 규모가 여전히 낮다는 점을 시사하지만, 국내 수요 부진에 따른 고용 확대 지연이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부각한다.
미국 기업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특히 수입 관세율이 10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높아진 점—이 불확실성을 키우면서 신규 채용을 주저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 3개월 동안 월평균 고용 증가 폭은 35,000명에 그쳤으며, 이는 노동시장 회복 속도가 눈에 띄게 둔화됐음을 의미한다.
고용 시장의 이중 구조
현재 노동시장은 해고는 적지만 채용은 제한적인 ‘스플릿(split) 상황’에 놓여 있다. 2분기 국내 수요 증가율은 2022년 4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 수치만 떼어 놓고 보면 노동시장 여건은 견조해 보인다. 그러나 지난 3개월간 임금명세서(페이롤) 추이를 더 중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준다.”—라이트슨 ICAP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루 크랜달(Lou Crandall)
지속 수당 청구(Continuing Claims) 동향
한편 1차 청구 이후에도 계속해서 실업급여를 받는 인원을 나타내는 지속(계속) 청구 건수는 8월 2일로 끝난 주에 195만 3,000명으로 전주 대비 15,000명 감소했다.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추세가 7월 4.2%였던 실업률이 8월에는 4.3%로 상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한다.
※ 용어 설명 • 신규(Initial) 청구: 고용보험을 처음 신청한 건수 • 지속(Continuing) 청구: 1차 청구 이후에도 고용보험을 계속 수령하는 인원으로, 기업의 채용 의지 및 흡수력을 가늠하는 보조 지표다.
통화정책 및 물가 변수
노동시장 약세가 부각되자 금융시장은 다음 달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이미 가격에 반영했다. 하지만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서비스 부문의 인플레이션 지속과 관세 인상으로 인한 재화 가격 상승 전망이 정책결정자들의 선제적 완화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경계한다.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4.25%~4.50% 범위에 다섯 차례 연속 동결했다. 이는 물가가 목표치(2%)를 상회하는 상황에서 ‘데이터 의존적’ 접근을 지속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단기적으로 해고 규모가 소폭 줄어든 데다 지속 청구 역시 감소 흐름을 보이면서, 고용시장 붕괴를 우려할 필요는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채용 둔화가 이어질 경우 실업률이 4.5% 선까지 올라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필자는 특히 △관세가 기업 비용 구조에 미치는 충격 △소비 심리 위축 △연준의 금리 결정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향후 투자자들은 8월 말에 발표될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 및 9월 연준 회의에서 제시될 도트플롯(위원별 금리 전망)을 주목해야 한다. 두 지표는 시장 변동성의 출발점이 될 공산이 크다.
에디터의 통찰
이번 데이터는 ‘해고 감소=고용 호조’라는 단순 프레임을 경계할 필요가 있음을 재확인시킨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관세 장벽, 고금리 등 구조적 요인이 맞물리면서 미국 노동시장은 ‘구인난과 실업률 상승’이라는 역설적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필자는 연준이 단일 지표가 아닌 종합적인 경기·물가 흐름을 기반으로 금리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