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스마트폰 시장서 삼성, 폴더블 돌풍 타고 애플 점유율 잠식

삼성전자가 폴더블 스마트폰을 앞세워 미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2025년 8월 16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2분기 미국 스마트폰 출하량 조사 결과 삼성의 시장점유율은 전 분기 23%에서 31%로 급등한 반면, 애플은 56%에서 49%로 하락했다1.

Samsung Galaxy Z Fold 7 행사 사진

스마트폰 업계에서는 “화면 전쟁의 귀환”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14년 삼성의 대화면 갤럭시와 애플의 첫 ‘Plus’ 모델(iPhone 6 Plus)이 맞붙은 이후 10여 년 만에 다시 디자인·폼팩터 다변화 경쟁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1. 폴더블이 이끄는 삼성의 질주

삼성은 7월 Z Fold 7Z Flip 7을 공개했다. Z Fold 7은 화면을 펼치면 태블릿(7.6인치)에 준하는 크기로 전환되며, Z Flip 7은 접으면 손바닥에 들어오는 ‘클램쉘’ 형태다. 출고가는 256GB 모델 기준 1,999달러, 1TB 모델은 2,419달러에 달한다.

특히 유튜브·틱톡 등 소셜미디어에서 ‘내구성 실험’ 콘텐츠가 폭발적 반응을 얻었다. 한 이용자가 Z Fold 7을 20만 회 넘게 접었다 펴는 라이브스트림이 1,500만 회 이상 조회되며 ‘튼튼한 폴더블’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소셜 분석업체 스프라우트소셜은 지난 한 달간 삼성 프리미엄 제품 관련 언급 5만 건 가운데 83%가 긍정·중립이었다고 집계했다.

“더 이상 폴더블을 선택하며 감수해야 할 단점은 없다”— 드루 블래커드, 삼성전자 북미 모바일 제품관리 부사장

삼성은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블래커드 부사장은 전작 대비 사전예약 25% 증가·판매 속도 50% 급증을 언급했다.


2. 가격 스펙트럼과 관세 변수

카날리스 애널리스트 루나르 비요르후데는 “갤럭시·Z 라인업은 650달러~2,400달러에 걸쳐 있어 모든 가격대 소비자를 포섭한다”고 평가했다. 실제 2분기 점유율 상승분 상당수는 400달러 이하 보급형 모델이 견인했다.

또 다른 요인은 관세다. 분석가들은 “제조사가 관세 충격을 완화하려고 생산·물류 전략을 재조정하면서 출하량에 변동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삼성·구글 생태계는 AI 서비스 ‘제미나이’(Gemini)를 즉시 제공한다. 제미나이는 이미지·텍스트를 동시 이해하며, 화면을 삥 둘러 동그랗게 표시하면 해당 객체 정보를 검색하는 ‘서클투서치’ 기능을 포함한다. 폴더블 대화면에서는 원본·결과 창을 동시에 띄워 생산성이 높다는 평가다.


3. 애플의 대응과 과제

애플 주가는 올해 7.5% 하락해 테슬라를 제외한 ‘빅7’ 기술주 가운데 최하위다. 월가에서는 하반기 실적 변동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2025년 들어 약 35% 상승했다.

애플은 9월 초 두께 5.5mm의 슬림형 ‘아이폰 Air’를 공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루프캐피털의 존 도노번은 “새 폼팩터가 매출 반등의 열쇠”라고 분석했다. JPMorgan Chase의 사믹 챠터지는 보고서에서 “2026년 9월 아이폰18 라인업에 첫 폴더블 모델이 포함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가장 비싼 아이폰은 1TB 저장용량의 아이폰 16 프로맥스로 1,599달러다. 반면 Z Fold 7 최상위 모델은 2,419달러다. 챠터지는 “애플 폴더블 역시 1,999달러에 책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AI·프리미엄 수요로 삼성의 2분기 미국 판매량이 16% 증가했다고 밝혔다.


4. 전문가 시각 및 향후 관전 포인트

① 생태계 경쟁 — 아이폰 사용자는 iOS·맥·애플워치·에어팟으로 얽힌 ‘락인 효과’ 덕분에 즉각 이탈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AI 비서멀티디바이스 연동이 핵심 가치로 부상하면서 구글 제미나이와 삼성 생태계가 돌파구를 만들 수 있다.

② 기술 성숙도 — 삼성은 2019년 1세대 폴더블 출시 당시 ‘주름·파손’ 논란을 겪었으나, 5년간 힌지·UTG(초박형 유리)를 개선했다. 현재 주름 깊이가 70% 얕아졌고, 힌지 내구수명은 40만 회를 넘어섰다사내 자료 기준.

③ 가격 구조 — 부품 원가 하락과 양산 효율이 꾸준히 개선되면서 폴더블 출고가가 3년 새 평균 20% 인하됐다. 향후 1,000달러 이하 중급 폴더블이 등장할 경우, 시장 판도는 다시 요동칠 전망이다.

기자는 “2026년은 폴더블 대중화 원년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기존 ‘바’ 형태 스마트폰 혁신이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화면 크기·AI 융합·착용성(웨어러블)이라는 세 축을 둘러싼 플랫폼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애플·구글·삼성·퀄컴 간 AI 반도체 로드맵이다.

Samsung Z Flip 7


5. 용어 설명

폴더블 스마트폰은 화면을 반으로 접을 수 있어 휴대성과 대화면 사용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클램쉘은 위아래로 접히는 조개껍질형, 북북은 책처럼 좌우로 접히는 형태를 뜻한다.

캔디바 디자인은 일반적인 직사각형 일체형 스마트폰을 지칭한다. 락인 효과는 특정 플랫폼 제품·서비스를 복수로 사용해 전환 비용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UTG(Ultra-Thin Glass)는 두께 30μm 이하 초박형 강화유리로 플라스틱 필름 대비 내구성·투명도가 우수하다. 힌지(Hinge)는 폴더블 접히는 축 부분을 말한다.


ⓒ 2025, CNBC 번역·재가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