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심리 약화에 달러 가치 하락

달러 지수(DXY00)가 16일(현지시간) -0.41%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소비자심리지수(미시건대 조사)가 예상을 밑돈 것이 주요 배경이다. 더불어 재닛 베센트 재무장관이 연준(Fed)에 금리 인하 폭을 사실상 지시했다는 해석이 외국인 투자자 사이에서 확산되며,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통화정책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달러를 압박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4bp 상승했음에도 달러 약세를 상쇄하지 못했다.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이날 오후 예정된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관세 및 유가, 나아가 유럽 안보 구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달러 지수 그래프

미국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시장 예상치(+0.6%)를 소폭 밑돌았다. 다만 6월 수치는 +0.6%에서 +0.9%로 상향 조정돼 전반적으로는 중립적 결과로 평가됐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로 컨센서스와 일치했으나, 6월(수정치 +0.8%) 대비 둔화됐다.

미시건대 8월 잠정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달 대비 -3.1포인트 하락, 시장 예상치(62.0)를 큰 폭으로 밑돌았다. 응답자의 58%가 인플레이션으로 지출을 줄이겠다고 밝힌 가운데, 1년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4.9%, 5~10년 기대치는 3.9%로 모두 상승했다.

같은 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 오르며 예상치(+0.1%)를 상회했고, 전년 대비 낙폭은 -0.5%에서 -0.2%로 축소됐다. 석유류를 제외한 수입물가는 +0.3%로 집계됐다.

7월 미국 산업생산은 -0.1%로 예상치(0.0%)를 밑돌았으나, 6월 수치는 +0.3%에서 +0.4%로 상향됐다. 제조업 생산은 0.0%로 컨센서스를 충족했다.

뉴욕연은이 발표한 8월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11.9로 시장 예상치(0)와 전월(5.5)을 모두 크게 웃돌았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지속적 인플레이션 압력이 나타나지 않는지 추가 물가 지표를 한 번 더 확인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그는 7월 CPI의 높은 서비스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면서도, “단일 지표에 과도하게 의존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일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3.3%(명목), 근원 3.7%로 예상을 웃돌면서 시장은 인플레이션 전망을 재조정했다. 이에 따라 9월 FOMC에서 -50bp 인하 기대는 소멸됐고, -25bp 인하 확률도 100%에서 93%로 낮아졌다.

금·은 가격 전망

중국의 7월 경제지표도 부진했다. 소매판매는 +3.7%로 예상(+4.6%)과 6월(+4.8%)을 모두 밑돌았고, 산업생산 역시 +5.7%로 기대치(+6.0%) 이하였다. 실업률은 5.0%에서 5.2%로 상승했다. 이는 미·중 관세 갈등과 중국 정부의 시장 안정 조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관세 전쟁 재점화

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다음 주와 그다음 주에 철강·반도체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에 최대 300% 관세를 시사하면서, 제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기업은 예외로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평균 관세율이 기존 13.3%에서 15.2%로 상승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미·중 90일 관세 휴전 연장,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두 배 인상(25%→50%), 의약품 관세 신설 등도 잇따라 발표됐다.

금융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연방기금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을 85%, 10월 추가 인하 확률을 40%로 반영하고 있다. 유로/달러(EUR/USD)는 달러 약세로 +0.47% 상승했으며, ECB의 9월 인하 가능성은 5%에 불과하다. 달러/엔(USD/JPY)은 -0.56% 하락했다. 베센트 장관이 일본은행(BOJ)의 후행적 대응을 지적하며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언급한 점이 엔화에 일부 지지력을 제공했다.

금 가격 차트

12월물 은 -0.02% 하락한 반면, 9월물 은 -0.25% 떨어졌다. 연준의 9월 인하 확률이 낮아지며 금리 민감도가 높은 금 가격이 조정받은 것이다. 다만 우크라이나·중동 갈등, 관세 리스크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안전자산 수요를 지탱하고 있다. ETF 금 보유량은 2년래 최고, 은 보유량은 3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 중이다.

용어 해설

달러 지수(DXY)는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연방기금선물은 시장이 예상하는 연준 기준금리 경로를 반영한다. PPI는 생산 단계의 물가를, CPI는 소비 단계의 물가를 측정한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지수는 뉴욕주 제조업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표다.

리치 애스플런드 필자는 본 기사에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으며, 모든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임을 명시했다.

본 번역·작성물은 원문 기사의 의미와 맥락을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한국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조를 재편성하고 전문적 통찰을 추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