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부, 중국산 흑연에 93.5% 예비 반덤핑 관세 부과 방침

[워싱턴]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흑연(graphite)에 대해 93.5%의 예비(暫定)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2025년 7월 17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상무부는 흑연이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의 불공정 보조금 지원이 있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93.5%라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예비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치는 중국 기업의 부당한 가격책정으로부터 미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상무부 관계자의 발언이 인용됐다.*


● ‘반덤핑 관세’란?
반덤핑 관세(anti-dumping duty)는 수입품이 자국 시장에서 ‘덤핑’(채산성을 무시한 저가 판매)되고 있다고 판단될 때 부과되는 추가 세금이다. 이는 자국 산업이 불공정 경쟁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통상 정책 수단이다.

● 흑연(Graphite)의 산업적 의미
흑연은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스마트폰 등 현대 산업 전반에 필수 소재로 꼽힌다. 천연 흑연뿐 아니라 인조 흑연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은 세계 흑연 공급망의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에서 미국·유럽·일본·한국 등 다수 국가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리쇼어링(Reshoring) 또는 프랜드쇼어링(Friend-shoring)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이러한 공급망 재편 흐름에 추가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블룸버그의 해당 보도 내용을 현재로서는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며, 상무부 공식 발표가 나올 때까지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업계 및 시장 파급 효과에 대한 관측
본 기자의 견해로는, 90%가 넘는 고율 관세는 사실상 수입 차단 효과를 가진다. 특히 미국 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단기적으로 원재료 가격 상승 압력을 겪을 수밖에 없다. 반면, 미국 또는 제3국 흑연 생산 기업에는 기회 요인이 될 여지가 있다.

또한 이번 관세는 이미 고조된 미·중 무역 갈등을 더욱 심화할 변수로 평가된다. 최근 3년간 미국은 반도체·태양광·희토류 등 전략 물자에 대해 잇달아 제재·관세 조치를 확대해 왔다. 중국 역시 맞대응 차원의 수출 통제와 제소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세계 공급망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전망이다.

● 한국 기업에 미칠 잠재적 영향
국내 배터리 3사는 흑연 조달선 다변화를 이미 추진 중이나, 미국 현지 공장 물량 비중 확대를 고려할 때 관세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이번 조치가 최종 확정될지 여부는 상무부의 공식 발표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 판정에 달려 있다.

향후 일정으로는 상무부가 예비 판정 이후 업계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최종 관세율을 확정하게 된다. 최종 판정이 내려질 때까지는 통상 4~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주:* 발언 출처는 블룸버그 보도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