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국채 수익률 급등 압력 속에 약세를 보였다. 21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18%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5%, 나스닥 100 지수는 -0.16% 떨어졌다. 동일 만기 선물인 9월물 E-mini S&P와 E-mini Nasdaq 선물 역시 각각 -0.18%, -0.16% 내렸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소비 둔화 신호와 국채 10년물 수익률 상승(3bp↑, 4.32%)이 동시에 주는 부담을 의식하고 있다. 특히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제프리 슈미드 총재가 “물가 위험이 고용시장 위험보다 약간 높으며, ‘완만하게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발언한 것이 금리 상승을 부추겼다.
월마트의 실적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0.68달러로 시장 예상치(0.74달러)를 밑돌자, 주가는 장중 −4% 이상 빠지며 다우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노드슨은 매출이 전망을 웃돌며 +6% 상승해 대조를 이뤘다.
고용·제조·주택 지표: 긍정과 부정의 혼재
주간 실업수당 초기 신청건수는 11,000건 늘어난 235,000건으로 2개월 최고치에 달했다. 계속수당 수급자는 30,000명 증가한 197만2,000명(3.75년 최고)으로 재취업 난관을 시사했다. 같은 날 발표된 필라델피아 연은 경기 전망 지수는 −0.3으로 예상치 6.5를 크게 하회했다.
그러나 S&P 글로벌 8월 제조업 PMI는 53.3으로 예상을 깨고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7월 기존주택 판매도 전월보다 2.0% 증가해 시장 예측(−0.3%)을 상회했다. 제조·주택의 회복 신호가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를 희석시킬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준이 9월 FOMC에서 25bp 인하할 가능성은 75%로 낮아졌고, 10월 추가 인하 확률은 49%에 머물렀다.” — 연방기금선물시장
국제·정책 변수: 우크라이나 평화협상·관세 확대
미 빈스 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이 “안보 보장과 러시아가 점유하지 않은 영토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푸틴–젤렌스키 회담을 추진 중이며, 성과가 있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3자 정상회담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무역정책 측면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관세 적용 품목을 400여 종 소비재로 확대했고, 반도체에도 최대 300% 관세를 예고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평균 미국 관세율이 15.2%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한다.
금리·채권시장 동향
9월 만기 미 국채 10년물 선물은 8틱 하락했고, 금리는 4.326%로 3.5bp 상승했다. 유럽에서도 10년물 독일 분트는 2.742%(+2.5bp), 영국 길트는 4.702%(+3bp)로 동반 상승했다. 반면 고용지표 부진은 하락폭을 일부 제한했다.
전문용어 해설: E-mini 선물은 S&P 500·나스닥 등 주요 지수를 소액 계약으로 거래할 수 있게 설계된 파생상품이다. T-note는 만기 2~10년의 미국 재무부 채권을 일컫는다. 연방기금선물은 연준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예상치를 거래하는 선물로, 시장의 금리 전망을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
기업별 주가 변동
하락 종목
– 월마트 (WMT): 실적 실망으로 −4%
– 인스타카트 운영사 Maplebear(CART): Wedbush 투자의견 하향, −2%
– 샤크닌자(SN): 대주주 블록딜, −2%
– 길리어드 사이언스(GILD): CVS 처방목록 제외, −1%
– 먼데이닷컴(MNDY): BoA 투자의견 하향, −1%
– 킬로이리얼티(KRC): 골드만 매도, −1%
상승 종목
– 노드슨(NDSN): 매출 서프라이즈, +6%
– PDD 홀딩스(PDD): 중국 증시 강세, +3%
–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모건스탠리 비중확대, +3%
– 휴마나(HUM): RBC 목표주가 상향, +2%
– 데이포스(DAY): 토마브라보 123억달러 인수, +2%
– 다비타(DVA): 20억달러 자사주 매입 확대, +1%
해외 증시
유럽 Euro Stoxx 50 지수는 −0.20% 하락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최고치를 경신하며 +0.13% 상승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1주일 만의 저점으로 −0.65% 떨어졌다.
향후 일정 및 실적 캘린더
시장 주초점은 8월 22일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제시할 금리 가이드, 그리고 추가 관세 정책·우크라이나 협상 진전 여부다. 8월 21일 기준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 기업은 인튜이트(INTU), 루이지애나-퍼시픽(LPX), 로스스토어스(ROST), 월마트(WMT), 워크데이(WDAY), 줌(ZM) 등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 500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사전 전망치 2.8%를 크게 웃돌았다. 93% 기업이 실적을 공개한 가운데 83%가 이익 전망을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한편 연준 이사 리사 쿡은 트럼프 대통령의 사퇴 요구에도 불구하고 “직을 지킬 것”이라고 밝혀, 향후 연준 구성 변화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